대부분의 동양 고전에서 언급되는 '두견이'에 대한 내용은 소쩍새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두견이(두견, 두견새) Lesser cuckoo | |
학명 | Cuculus poliocephalus Latham, 1790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목 | 뻐꾸기목(Cuculiformes) |
과 | 뻐꾸기과(Cuculidae) |
아과 | 뻐꾸기아과(Cuculinae) |
족 | 뻐꾸기족(Cuculini) |
속 | 뻐꾸기속(Cuculus) |
종 | 두견이(C. poliocephalus)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뻐꾸기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종명인 poliocephalus는 그리스어로 '회색 머리'라는 뜻이며, 한자로는 杜鵑이라고 적는다. 고전 시가에 한 번씩은 나오는 자규(子規)의 정체가 바로 두견새다. 우리나라도 접동새라는 표현이 있었고 고려가요의 정과정에서도 등장한다.꽤 넓은 지역에서 사는 새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아프리카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세이셸, 파키스탄 등에서도 발견된다고. 한국에서는 2005년부터 천연기념물 제447호로 등록되어있다. 가까운 친척인 뻐꾸기와 유사하게 탁란을 한다. 주로 휘파람새, 동양개개비같은 참새목 새한테 탁란한다.
뻐꾸기의 한 종류로 여겨질 정도로 뻐꾸기와 닮은 새로, 조류도감 등지에서나 언급되는 등 인지도는 그다지 없는 새이다. 뻐꾸기와 두견이 모두 두견이과인데, 두견이과는 두견이목(Cuculiformes)을 이루는 단일 과 (두견이 과) 중의 하나이며 검은등뻐꾸기나 그냥 뻐꾸기, 두견이 등을 포함하는 과로 일반적으로 칭하는 '뻐꾸기'는 뻐꾸기 종을 뜻한다. 두견이과, 두견이목은 상황에 따라 '뻐꾸기과', '뻐꾸기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종 단위에서는 뻐꾸기와 두견이는 다른 새다.
2. 문학
동양 고전(전설, 설화)의 소재로서 언급되는 두견이는 이 소쩍새와 함께 그 서글픈 울음소리로 인하여 한과 슬픔을 상징한다. 다만 사실 '두견'은 소쩍새의 이명이라는 설도 있다.동양 고전에서 확실한 '진짜' 두견이가 나온 사례로 센고쿠 시대의 울지 않는 두견새와 삼국연의에서 두견이가 이따금 나오는 부분이 있다. 일본에서는 근대에 도쿠토미 로카가 쓴 가정소설 호토토기스가 유행하여 당시 조선에까지 "불여귀"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퍼지기도 하였다.[1]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화투의 4월 흑싸리 열끗패에 나오는 동물도 두견이다.3. 대중매체에서
- 화투패 중 흑싸리 열끗에 그려져 있는 새가 바로 두견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