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0:09:53

라이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웹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라이크(LIK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과거 고기필름 명칭을 사용했던 웹드라마 유튜브 채널에 대한 내용은 LIKE 라이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영단어
1.1. 좋아하다1.2. ~처럼
2. 장르 명칭
2.1. 문서가 있는 -like류2.2. ~like류로부터 별도의 장르 명칭이 정착한 예2.3. 기타

1. 영단어

Like

like에는 크게 2개의 의미가 있다. 오늘날에는 옥스퍼드 영영사전에도 다의어로 분류되지만 어원은 달랐던 것 같다.#1

1.1. 좋아하다

"좋아하다"라는 뜻을 가리킨다. 동사 like는 감정을 나타내고 있어 현재진행형이 잘 쓰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반댓말은 dislike이다. like보다는 많이 쓰이지 않는 감이 있다. hate보다는 조금 덜한 싫음을 가리킨다. 명사로서 '좋아하는 것'의 의미로도 쓰인다. 반댓말 dislike와 합쳐 likes and dislikes라고 쓰곤 한다.

1.2. ~처럼

전치사로 쓰일 때는 '~처럼'이란 뜻을 가진다. 전치사로서의 의미는 독일어 접미사 '-lich'와도 동원어이다.

2. 장르 명칭

게임에 새로운 장르의 용어가 필요할때 그 장르의 선구자적 게임 뒤에 라이크를 붙여 사용한다. 한국어로 치면 '-'()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뱀서라이크는 한국에서 '뱀서류'로도 불리곤 하는 등 두 표현은 섞여서 쓰이곤 한다. 유래는 위 단어의 1.2 의미(~처럼)이다.

소비자와 인디 개발사에선 편의나 홍보 목적으로 활발하게 사용하는 구분법이지만 중견 규모 이상의 개발사에서는 이 용어를 피하고 대체로 자신들이 만든 새로운 명칭을 미는 편이다. 그도 그럴 것이 '-like'라는 장르명은 이들 장르의 게임이 원조격 게임의 장르 법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아류작이라는 뉘앙스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체 시도는 제법 성공적이어서 시간이 흐르면 대체로 교체되는 편이다. 개발사 측에서 새로운 명칭을 열심히 밀어붙이는 영향도 있겠지만, 세월을 거듭하면서 원조 A에서 점점 멀어져 'A-like' 식의 장르명이 더이상 직관적이지 않게 되는 시점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가령 오늘날 로그라이크를 하는 이들 중 적잖은 비율이 원조 로그를 해보지 않았을 것이다.

다만 일부는 교체되지 않고 여전히 쓰이기도 한다. 위에서처럼 게임사에서 바꾸려고 할 때도 많지만 소비자인 게이머들 사이에서 여전히 쓰이는 것을 감안해, 게이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게임 제작자들이 스스로 그런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만만치 않게 많다.

2.1. 문서가 있는 -like류


아래는 멸칭으로 사용되는 사례다.

2.2. ~like류로부터 별도의 장르 명칭이 정착한 예

'~라이크'인 것이지 해당 작품의 다른 버전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각의 '~라이크' 게임들도 각자 이것저것 차별점을 두려 하며, 더 나중에 나온 만큼 여러 발전된 요소를 새로 넣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면 별개의 장르로 굳어지곤 한다.

2.3. 기타


[1] 체크 포인트와 숏컷을 기반으로하는 스테이지 구성과 모든 플레이어들에게 동일한 체험을 위한 고정된 난이도 설정, 죽었을때의 패널티로 인해 긴장감있는 난이도 설정 등[2] 원신도 야숨라이크 작품 중 하나일 뿐인데 굳이 특별취급하여 별도로 장르화하는 것에 반감을 가지는 사람이 많다.[3] 게임 자체가 리니지와 비슷하다는 의미는 아니고, '악질적인 BM'과 '그런 게임을 접지 못하고 계속 돈을 써주는 유저들'이라는 요소가 적용되는 사례가 흔하다보니 다소 강도높은 멸칭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편이다.[4] 환불 사태와 별개로 훨씬 이전부터 메이플스토리는 농담이든 진담이든 2030 버전 리니지라고 불릴 정도로 악명이 꾸준히 높았다. 리니지와 달리 PVP가 없기에 유저간 경쟁요소는 없지만, 지나치게 확률에 의존하는 스펙업이나 어지간한 과금액으로는 사실상 아무것도 못하는 구조, 그리고 무엇보다 게임을 하나의 오락으로 보지 않고 현금거래 시세에 굉장히 민감한 악성 유저들의 행보 등이 그러한 인식의 원인.[5] 2022년 6월 큰따옴표 검색 결과 4000여건 #[6] 2023년 4월 큰따옴표 검색 결과 10000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