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000,#e0e0e0><colbgcolor=#f5f5f5,#2d2f34><tablewidth=100%><width=22%><tablebgcolor=#fff,#1c1d1f> 패션 용어 ||기본템 · 룩북 · 드레스 코드 · SPA · 부티크 · 하이패션 · 오트쿠튀르 · 프레타포르테 · 럭셔리 · 매스티지 · 컨템포러리 · 미니멀리즘 · 코스프레 · 프릴 · 슈퍼모델 · 옷차림 · 톤온톤 · 톤인톤 · 오버핏 ||
스타일 갸루 · 고스 룩 · 고프코어 · 그런지 패션 · 남친룩 · 놈코어룩 · 독기룩 · 로리타 패션 · 록 패션 · 메탈 룩 · 미니멀룩 · 밀리터리 룩 · 상수룩 · 스쿨룩 · 스트리트 패션 · 시밀러룩 · 아메카지 룩 · 애슬레저 · 올드머니 룩 · 워크웨어 룩 · 캐주얼 · 커플룩 · 펑크 룩 · 페미닌룩 · 포멀룩 · 프레피 룩 · 오피스룩 직업 패션 디자이너 · 스타일리스트 · 패션 모델 · 피팅 모델 행사 패션쇼 · 패션 위크 · 멧 갈라 · 트렁크쇼 패션 잡지 보그 · 하퍼스 바자 · W · 엘르 · 마리끌레르 · 코스모폴리탄 · GQ · 데이즈드 · 에스콰이어 · NYLON · i-D · 인터뷰 · 얼루어 패션 스쿨 센트럴 세인트 마틴 · 에스모드 · 파슨스 디자인 스쿨 · 런던 패션 대학 · 패션 공과대학교 · 앤트워프 왕립예술학교 · 프랑스 패션학교 커뮤니티 스타일쉐어 기타 패션·뷰티 관련 정보 · 패션 외교 · 금수저 모델 · 입을 옷이 없다 · 패션의 완성은 얼굴 · 옷이 날개 · 패션쇼 제작사 · 꽉끈 · 공항 패션 · 머슬핏 · 올블랙 · 청청 패션 · 꾸안꾸 · 미시룩 · 언더붑 · 하의실종 · 단벌신사
#!if 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PurpleEnchantingCheerfulTreatment|토론]]을 통해 매스티지 사례(혹은 예시)는 기자나 전문가 등이 매스티지를 주제로 다룬 책이나 기사 등에서 예시를 소개한 경우 혹은 특정 브랜드가 스스로 매스티지 브랜드를 자칭하거나 매스티지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경우에 한정하며 그러한 사례를 등재할 때는 근거를 첨부해서 등재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PurpleEnchantingCheerfulTreatment|토론]] - 매스티지 사례(혹은 예시)는 기자나 전문가 등이 매스티지를 주제로 다룬 책이나 기사 등에서 예시를 소개한 경우 혹은 특정 브랜드가 스스로 매스티지 브랜드를 자칭하거나 매스티지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경우에 한정하며 그러한 사례를 등재할 때는 근거를 첨부해서 등재한다.'''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1. 개요
Masstige. 대중(Mass)과 명품(Prestige product)을 조합한 신조어로, 명품[1]으로 판매되는 비교적 저렴한 대량 생산 제품을 의미한다.[2]국립국어원에서 선정한 우리말 순화어는 '대중명품'이다.#
2. 역사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매스티지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건 1996년이라고 한다. 그 후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 마이클 J. 실버스타인과 전 빌라봉 CEO 닐 피스케가 2003년에 Trading Up: The New American Luxury라는 책과 경제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낸 기사 Luxury for the Masses(대중을 위한 명품)을 통해 대중화시킨 단어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현재 영미권에서 Masstige가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Masstige의 사용 빈도는 단어 100만개 당 0.01개 미만이라고 한다.#3. 쓰임새
영미권에서 매스티지는 사전적인 의미보다는 하향 브랜드 확장[3]을 뜻하는 마케팅 용어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영어 위키백과에도 그런 식으로 설명되어 있고, 마케팅 관련 논문에서도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반면 한국에서는 매스티지를 브랜드 급을 나눌 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영미권에서는 mid-luxury로 분류되는 브랜드를 한국에서는 매스티지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문제는 사람들마다 기준이 제각각인 데다 국립국어원에서 일찌감치 대중명품이란 단어로 순화했음에도 불구하고 명품에 살짝 못 미치는 준명품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언론 등에 의해서 매스티지로 분류되는 브랜드들 중에는 졸지에 브랜드 급이 낮아져 버리는 것과 다름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언론에서는 준명품 운운하며 MCM을 매스티지 브랜드로 소개했지만,# MCM은 매스티지라는 단어가 생기기 한참 전인 1976년에 설립된 브랜드이고, 일반적으로 국내외에서 명품 브랜드로 분류되고 있는 브랜드이다.##
그 외에 일부 한국 언론에서는 매스티지를 명품의 대중화 현상, 비교적 값이 싼 명품을 소비하는 경향이라고 소개하기도 했지만# 이런 의미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4. 관련 문서
[1]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는 luxurious or prestigious라고 나와 있다.[2] 옥스포드 영어 사전 masstige[3] 명품 브랜드가 세컨드 브랜드를 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