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22:17:34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3세대

파일:2003 머큐리 로고 투명.png
<bgcolor=#FFF> 파일:1998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png
Grand Marquis

1. 개요2. 상세 (1997~2002)
2.1. 파워트레인2.2. 판매량
1. 둘러보기

1. 개요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의 3세대 차량이다.

2. 상세 (1997~2002)

파일:1998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전면부.png 파일:1998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후면부.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1998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운전석.png
}}}}}}}}} ||
차량의 전후면부
<bgcolor=#FFF>
2000년 3세대 차량 광고 (한글자막)

1997년에 1998년형으로 출시된 3세대는 2세대의 측면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와 사실상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지만, 형제차인 크라운 빅토리아와 타운 카가 풀체인지되었고 그랜드 마퀴스 역시 나름 외부 및 실내의 변화가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차량 역시 기존 2세대와는 개별 세대로 구분한다.[1]

이러한 풀체인지의 배경은 포드 토러스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고 1992년형으로 출시된 형제차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가 경쟁차종인 1991년형 쉐보레 카프리스보다는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외관 디자인이 그랜드 마퀴스에 비해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었고 비록 플릿 수요나 경찰차량으로의 판매 비중은 크라운 빅토리아가 우위에 있었음에도 판매량 면에서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그랜드 마퀴스가 크라운 빅토리아의 판매량을 제치고 더 많이 판매되자 디자인에 대한 호불호 요소가 강화되었고 이를 주목한 포드에서는 3세대 차량에서 이러한 디자인 요소를 그랜드 마퀴스는 유지하는 대신 크라운 빅토리아에서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이루어진 역학적인 디자인을 버린 형태로 변경되었다.

이 시기부터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통적인 후면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 외에도 크라운 빅토리아와 그랜드 마퀴스가 같은 같은 후면 지붕선을 적용하기 시작했고 이는 2011년형을 끝으로 4세대 그랜드 마퀴스가 단종되고 3세대 크라운 빅토리아의 단종까지 계속 적용되었다. 또한 1996년부터 수익성을 보면서 SUV나 픽업트럭 위주로 방향을 선회한 경쟁사에서 기존에 판매하던 대형차 라인업을 단종시킨 덕에 그랜드 마퀴스의 경쟁 차량은 오히려 크라운 빅토리아가 되는 상황까지 벌어지기도 했으며, 성공 신화는 계속 이어져 연간 100,000대 이상을 생산하기도 했다.

3세대에서는 전후면 범퍼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외부 트림이 줄어들어 헤드램프 위에 있던 크롬 장식이 사라졌다. 후면 패널은 크라운 빅토리아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후미등 사이에 붉은 렌즈 패널이 사용되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전면 그릴 부분은 1995년~1997년형 그랜드 마퀴스에 적용된 그릴에서 더 커진 형태를 띄고 있었다.

실내의 경우, 1995년형 차량의 것을 계속 유지하고는 있었지만 4스포크 스티어링 휠은 2스포크 형태로 변경되었다. 또한 칼럼식 변속기와 방향 지시등 레버에 적용된 크롬 장식이 제거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포드 차량들에 적용된 시계 기능이 통합된 라디오가 2001년형부터 적용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기존에 탑재되던 디지털 시계는 단종되었다.

전장은 5,382mm, 전폭은 1,986mm, 전고는 1,443mm였으며, 4세대 차량 초기까지 이 수치가 유지되었다. 차량의 휠베이스는 이전 세대에서 2,913mm로 늘어난 팬서 플랫폼이 적용되었다.

조향 능력의 향상을 위해 후륜에 적용된 3링크 서스펜션을 와트의 링크가 적용된 4링크 형태로 변경이 이루어졌음에도 후륜의 견고함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제동력 부분에서는 4륜 디스크 브레이크에 전면 로터용 이중 피스톤 캘리퍼가 탑재되었고 16인치 휠이 탑재되었다. 옵션으로 적용되던 트랙션 컨트롤은 어떤 속도에서든 작동할 수 있게 변경되었으며 2002년형부터는 ABS 브레이크가 기본 탑재되었다.

2.1. 파워트레인

파일:2000년형 그랜드 마퀴스 엔진.png
2000년형 차량의 엔진

3세대의 경우 1995년형~1997년형 그랜드 마퀴스에 탑재된 4.6L 포드 모듈러 DOHC V8 엔진이 계속 탑재되었으며 이와 함께 4R70W형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연식변경이 이루어지면서 엔진에 파워 스티어링 탱크가 장착되었고 냉각수 오버플로우 탱크를 라디에이터[2] 쪽에 재배치하는 등 후드 아랫 부분의 재구성이 이루어졌다.

다른 변화로 이중 스피드 전기 팬을 활용해 실패-안전 냉각 방식이 적용된 코일 온 플러그 점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1998년형 차량의 파워는 단일 배기 엔진 기준 기존 190마력에서 200마력으로 상향이 이루어졌고 핸들링 서스펜션 패키지에서는 4.6L 이중 배기 엔진 버전이 탑재되어 215마력의 출력을 냈다. 이후 2001년형부터는 220마력과 235마력으로 회귀가 이루어졌다. 단일 배기 엔진 사양의 후륜의 비율은 2.73:1이었고 핸들링 서스펜션 패키지에서는 조금 더 높은 비율의 후륜 차축이 적용되었다. 2000년형과 2001년 초기형에는 3.55:1의 후륜 차축이 사용되었으나 다른 사양에서는 3.27:1 비율의 후륜 차축이 적용되었다.
3세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파워트레인
엔진명 4.6L 포드 모듈러 V8 엔진
생산 기간 1998년~2002년
엔진 형태 SOHC 16밸브 V8 엔진
최고 출력(단일) 200마력[3]/220마력[4]
최고 출력(이중) 235마력[5]/239마력[6]/221마력[7]
최고 토크(단일) 359Nm~386Nm
최고 토크(이중) 359Nm~373Nm
최고 토크(이중,수출형) 412Nm
적용 변속기 4R70W형 4단 자동변속기

2.2. 판매량

3세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판매량
연식 미국 시장 판매량
1998년 134,155대
1999년 142,372대
2000년 132,870대
2001년 100,774대
2002년 96,034대
총 판매대수 606,206대

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808080><tablealign=center><tablebgcolor=#808080>
파일:머큐리로고 투명 화이트.png
머큐리 (1938~201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 차급 단종 차량
소형차 밥캣
준중형차 토파즈 · 코멧 · 사이클론 · 모나크 · 링크스/LN7 · 트레이서
중형차 몬테고(1968~1976) · 제퍼 · 미스틱 · 밀란
준대형차 마퀴스 · 세이블 · 몬테고(2004~2007)
대형차 에이트 · 몬테레이(1952~1974)/몬테레이 선 밸리 ·
커스텀 · 메달리스트 · 미티어 · 몽클레어/몽클레어 선 밸리 ·
턴파이크 크루저 · 머라우더 · 몬테고(1968~1976) ·
파크 레인/파크 레인 브로엄 · 콜로니 파크 ·
보이저 · 커뮤터 · 그랜드 마퀴스
스포츠카 쿠거 · 카프리
준중형 SUV 마리너
준대형 SUV 마운티니어
픽업트럭 M 시리즈
MPV 빌리저 · 몬테레이(2004~2007)
{{{#!wiki style="margin:-16px -11px" 포드의 차량
에드셀의 차량
머쿠어의 차량
링컨의 차량
컨티넨탈의 차량 }}}}}}}}}}}}



[1] 이전 세대 차량과 공유하는 부분은 지붕 도장 및 도어 부분만 있었다.[2] 정확히는 2개 모두 펜더 쪽에 위치하고 있었다.[3] 98년형~00년형[4] 01년형~02년형[5] 98년형~00년형[6] 01년형~02년형[7] 98년형~02년형,GCC 국가 수출 사양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