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6 11:07:16

미나르디 F1 팀

미나르디 F1
minardi F1 team
파일:minardi.jpg
<colbgcolor=white>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창단 1979년[1]
본부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라벤나 현 파엔차
설립자 잔카를로 미나르디(Giancarlo Minardi)[2]
주요 스태프 구스타브 브러너(Gustav Brunner)
폴 스토다트(Paul Stoddart)[3]
주요 드라이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르루이지 마티니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크 제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카 바도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크리스티안 피티팔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미켈레 알보레토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요스 베르스타펜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파일:영국 국기.svg 저스틴 윌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잔카를로 피지켈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르노 트룰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알렉스 융
연혁 미나르디 F1 팀 (1985~2005)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06~2019)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0~2023)
레이싱 불스 포뮬러 원 팀 (2024~)
차량
섀시 M185, M185B(M186), M187, M188, M188B(M189), M189B(M190), M190, M191,
M191B(M191L, M192), M193, M193B(M194), M195, M195B, M197, M198,
M01, M02, PS[4]01(PS01B), PS02, PS03, PS04B, PS04B(PS05)
엔진 모토리 모더니, 포드, 페라리, 람보르기니, 하르트, 폰드메탈, 유러피언, 아시아테크, 코스워스
레이스 참가 횟수 346회 참가 (340회 출발)
최고성적 4위[5]
최고 그리드 위치 2위[6]

1. 개요2. 상세
2.1. 포뮬러 22.2. 포뮬러 12.3. 호주 사업가 스토다트의 인수2.4. 레드불 인수 후
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f1 minardi.png
미나르디의 역대 차량들.

파일:Fernando-Alonso_Minardi-1.jpg
2001년 미나르디 PS01을 주행하는 페르난도 알론소.[7]

이탈리아의 전 포뮬러 1 팀. 1985년에 설립된 오래된 레이싱 팀이지만, 그 역사는 하위권 성적으로 점철된 팀이었다. 창단 이후 3시즌을 내리 노포인트로 마친 후 4시즌째인 88년이 되어서야 고대하던 첫 포인트를 따내고 시즌을 1포인트로(...) 마친다. 그러나 이 비운의 팀은 이후로도 최하위권을 박박 기다가 결국 2005시즌을 끝으로 레드불에게 인수. 인수되기까지 이 팀이 두자릿수 포인트를 기록한 적은 단 한 시즌도 없었다. 이 팀의 역사적 의의를 그래도 굳이 찾아본다면, 페르난도 알론소, 마크 웨버, 잔카를로 피지켈라, 야르노 트룰리와 같은 상위 드라이버들이 이 팀을 통해 데뷔했다는 것 정도.

2. 상세

2.1. 포뮬러 2

2.2. 포뮬러 1

2.3. 호주 사업가 스토다트의 인수

2.4. 레드불 인수 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나르디 팀 매각 이후, 폴 스토다트는 2008년부터 '유러피언 미나르디 F1 팀 Ltd'라는 새로운 팀으로 합류하겠다는 의사를 2006년에 밝혔지만 해당 신청은 실패했다. 대신 미국 기반의 챔프 카 시리즈로 관심을 돌카고 2006년 12월 18일에 CTE 레이싱-HVM 챔프 카 팀의 주요 지분을 매입했으며 팀 이름이 미나르디 팀 USA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

3. 여담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fff {{{-1
컨스트럭터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colbgcolor=#f5f5f5,#2e2f34> 남아프리카 공화국 LDS(1962-1963, 1965, 1967-1968) · 알파 스페셜(1963, 1965)
네덜란드 보로(1976-1977) · 스파이커(2007)
뉴질랜드 아몬(1974)
독일 페리타스(1951-1953) · 알렉스 폰 팔켄하우젠 모토렌바우(1952-1953) · 그라이프추(1953) · 아이제나허 모토렌베르크(1953) · 메르세데스(1954-1955, 2010-현재) · 클렝크(1954) · 포르쉐(1957-1964) · 베라-포르쉐(1959-1960) · 아이펠란트(1972) · ATS(1977-1984) · 카우젠(1979) · 차크스피트(1985-1989) · 리알(1988-1989) · 아우디(2026 예정)
러시아 미들랜드(2006) · 버진(2010-2011)[1] · 마러시아(2012-2015)[2]
로디지아 리알파(1965)
말레이시아 로터스(2010-2011) · 케이터햄(2012-2014)
멕시코 레바케(1979)
미국 니컬스(1950, 1954) · 디트(1950-1952) · 랭글리(1950) · 레소브스키(1950-1953, 1956-1960) · 레이(1950) · 마르케이즈(1950-1951) · 무어(1950-1959) · 스노버거(1950) · 스티븐스(1950-1956) · 애덤스(1950) · 올슨(1950) · 왓슨(1950-1960) · 웨터로스(1950) · 유잉(1950, 1960) · 브롬메(1951-1954) · 셔먼(1951-1952) · 슈로더(1951-1955) · 쿠즈마(1951-1960) · 트레비스(1951-1952, 1955, 1960) · (1951, 1954-1955) · (1951) · 델로이(1953) · 터너(1953) · 팬크라츠(1954-1955) 필립스(1954-1960) · 에퍼리(1955-1960) · (1957-1960) · 살리(1957-1960) · 서턴(1959) · 엘더(1959) · 커티스(1959) · 크리스텐슨(1959-1960) · 메스코우스키(1960) · 스캐랩(1960) · 이글(1966-1969) · 섀도우(1973-1980)[3] · 펜스키(1974-1977) · 파넬리(1974-1976) · US(2010) · 하스(2016-현재) · 캐딜락(2026 예정)
벨기에 에키프 나시오날 벨주(1962)
브라질 피치파우지(1975-1982)
스위스 MBM(1961) · 벨라시(1970-1971) · 아폴론(1977) · 자우버(1993-2018, 2024-현재)[4]
스페인 브라보(1993) · HRT(2010-2012)
아일랜드 조던(1991-2005)
영국 알타(1950-1952) · 잉글리시 레이싱 오토모빌스(1950-1952) · 쿠퍼(1950, 1952-1969) · BRM(1951, 1956-1977) · HWM(1951-1955) · 애스턴 버터워스(1952) · 코노트(1952-1959) · 프레이저 내시(1952) · 반월(1954-1960) · 에머리슨(1956, 1961-1962) · 로터스(1958-1994) · 애스턴 마틴(1959-1960, 2021-현재) · JBW(1959-1961) · 프라이(1959) · 길비 엔지니어링(1961-1963) · 퍼거슨 리서치(1961) · 롤라(1962-1963, 1967-1968, 1974-1975, 1985-1991, 1993, 1997) · 브래범(1962-1987, 1989-1992) · BRP(1963-1964) · 시로코(1963-1964) · 맥라렌(1966-현재) · 섀넌(1966) · 마치(1970-1977, 1981-1982, 1987-1989, 1992) · 서티스(1970-1978) · 티렐(1970-1998) · 콘유(1972) · 프랭크 윌리엄스 레이싱 카즈(1972-1976) · 엔사인(1973-1982) · 린카(1974-1975) · 토큰(1974) · 트로잔(1974) · 헤스케스(1974-1978) · (1975) · LEC(1977) · 애로우즈(1978-2002) · 윌리엄스(1978-현재) · 톨먼(1981-1985) · RAM(1983-1985) · 스피릿(1983-1985) · 오닉스(1989-1990) · 레이턴 하우스(1990-1991) · 심텍(1994-1995) · 퍼시픽(1994-1995) · 스튜어트(1997-1999) · BAR(1999-2005) · 재규어(2000-2004) · 피닉스(2002) · 프로드라이브(2008) · 브런(2009) · 로터스(2012-2015) · 매너(2016) · 레이싱 포인트 포스 인디아(2018) · 레이싱 포인트(2019-2020)
오스트리아 레드불(2005-현재)
이탈리아 마세라티(1950-1960) · 밀라노(1950) · SVA(1950) · 알파 로메오(1950-1951, 1979-1985, 2019-2023)[5] · 페라리(1950-현재) · 오스카(1951-1953, 1958) · 치시탈리아(1952) · 란치아(1954-1955) · 아르차니-볼피니(1955) · 데 토마조(1961-1963, 1970) · ATS(1963) · 테크노(1972-1973) · 메르치오(1978-1979) · 오셀라(1980-1990) · 미나르디(1985-2005) · 베네통(1986-2001)[6] · 콜로니(1987-1991) · 달라라(1988-1992) · 유로브룬(1988-1990) · 퍼스트(1989) · 라이프(1990) · 모데나(1991) · 폰드메탈(1991-1992) · 안드레아 모다(1992) · 포르티(1995-1996) · 토로 로쏘(2006-2019) · 알파타우리(2020-2023) · 레이싱 불스(2024-현재)
인도 포스 인디아(2008-2018)
일본 혼다(1964-1968, 2006-2008) · 마키(1974-1976) · 코지마(1976-1977) · 도무(1997) · 토요타(2002-2009) · 슈퍼 아구리(2006-2008) · 디렉시브(2008)
캐나다 스테브로(1963) · 울프(1977-1979)
프랑스 심카-고르디니(1950-1953) · 탈보-라고(1950-1951) · 고르디니(1952-1956) · 부가티(1956) · 마트라(1967-1972) · 리지에(1976-1996) · 르노(1977-1985, 2002-2011, 2016-2020)[7] · 마르티니(1978) · AGS(1986-1991) · 벤투리(1992) · 라루스(1993-1994) · DAMS(1995) · 프로스트(1997-2001) · 알핀(2021-현재)
호주 맥과이어(1977)
홍콩 시어도어(1978, 1981-1983)
밑줄: 현재 포뮬러 1 시즌에 출전 중인 컨스트럭터
기울임체: 인디애나폴리스 500에만 출전했던 컨스트럭터
취소선: 섀시 제작, 팀 구성 등 포뮬러 1에 출전할 준비 및 계획이 있었지만 결국 출전하지 못한 컨스트럭터
{{{#!folding [ 각주 보기 ] }}}}}}}}}}}}

[1] 버진은 2010년까지 영국 국적 팀이었으나 이후 러시아로 국적을 변경했다.[2] 마러시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러시아 국적 팀이었으나, 2015년에는 영국 국적으로 변경했다.[3] 섀도우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국적으로 출전했지만 이후 영국 국적으로 바꿔 출전했다.[4] BMW가 자우버를 인수한 BMW 자우버 F1 팀은 독일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5] 알파 로메오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는 자우버의 브랜드로 활동하며 스위스 국적을 가졌다.[6] 베네통은 1986년부터 1995년까지는 영국 국적을,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이탈리아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7] 2011년에 르노 F1 팀은 영국 국적을 가지고 있었다.


[1] F1 참가는 1985년부터[2] 현재 FIA 1인승 위원회 회장이자 이몰라 서킷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3] 팀 수장[4] 폴 스토다트의 이니셜[5] 91년 산마리노 GP와 포르투갈 GP에서 피에르루이지 마르티니가 기록, 그리고 93년 남아프리카 GP에서 크리스티안 피티팔디가 기록함.[6] 90년 미국 GP에서 피에르루이지 마르티니가 기록함.[7] 아직도 홈페이지가 살아 있다! 게다가 최신 소식도 꾸준히 올라오는 편이다.[8] 이후 스파이커, 미들랜드, 포스 인디아, 레이싱 포인트 시절을 거쳐 현재는 애스턴 마틴으로 참가 중이다.[9] 미쉐린 타이어를 쓰는 나머지 7개 팀.[10] 이 시기의 포인트 배분 기준은 1위부터 6위까지 순서대로 9-6-4-3-2-1점을 부여했다. 때문에 미나르디는 인디게이트 때와 같은 순위를 얻어내고도 획득한 포인트는 이 때가 더 적었다.[11] 미나르디의 스포츠 디렉터였던 존 월튼이 심장마비로 사망했을 때, 그의 고향인 런던에서 그를 추모하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