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00:09:52

란치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란치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란치아 로고 글씨 화이트.svg
[ 틀 펼치기 · 접기 ]
----
이탈리아자동차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페라리 로고.svg 파일:피아트 로고 다크.svg파일:피아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알파로메오로고.png 파일:마세라티 로고.svg파일:마세라티 로고 화이트.svg 파일:란치아 로고.png 파일:아바스 최신 로고.png 파일:이베코 로고 2023.svg파일:ivecologowhite.png
페라리 피아트 알파 로메오 마세라티 란치아 아바스 이베코
파일:람보르기니 로고 2024~.svg 파일:이탈디자인 주지아로 로고.svg파일:이탈디자인 주지아로 로고 화이트.svg 파일:파가니 로고.svg파일:파가니 로고 화이트.svg 파일:PFlogo2.png 파일:이소 자동차 로고.png 파일:데 토마조 로고 평면.png파일:데 토마조 로고 화이트.png 파일:ATS_오토모빌리_로고.webp
람보르기니 이탈디자인 파가니 피닌파리나 이소 리볼타 ATS
파일:피아지오 로고.png파일:피아지오 로고 화이트.png 파일:이소타 프라스키니 로고 컬러.png파일:이소타 프라스키니 로고 화이트.png 파일:마잔티로고.png 파일:달라라 로고.png 파일:프란지벤토 로고.svg파일:프란지벤토 로고 화이트.svg 파일:스파다 로고.png 파일:팜부페티_로고.png
이소타 프라스키니 마잔티 달라라 FV 프란지벤토 스파다 팜부페티
파일:오토모빌리 에스트레마 로고.png 파일:DR 오토모빌 로고.png 파일:치제타로고.png 파일:MAT 로고.png 파일:Alkè logo2.jpg 파일:비짜리니로고투명.png 파일:Casalini_Logo.png
에스트레마 DR 오토모빌스 치제타 M.A.T. 알케 비짜리니 카살리니
파일:피치오 아이콘.png파일:피치오 아이콘 다크모드.png 파일:astralogo.svg 파일:XEV logo.png 파일:Fioravantilogo.gif 파일:Giotti Victorialogo.png 파일:Corbellatilogo.jpg 파일:Wolf Racing Carslogo.png
피치오 아스트라 XEV 피오라반티 지오티 빅토리아 울프 레이싱 카즈
파일:italcarlogo.jpg 파일:아레스로고투명.png 파일:아이코나 로고.svg 파일:Intermeccanicalogo.png 파일:bertonelogo.webp 파일:Covini Engineeringlogo.jpg 파일:osellalogo.png
이탈카르 아레스 모데나 아이코나 디자인 인터메카니카 베르토네 코비니
파일:자가토 로고.png파일:자가토 로고 화이트.png 파일:토리노 디자인 로고.png파일:토리노 디자인 로고 화이트.png 파일:퓨리탈리아 로고.png 파일:Perlinilogoblack.png파일:Perlinilogowhite.webp 파일:카로체리아 투어링 슈퍼레제라 로고.jpg 파일:autoevologo.png 파일:Effeffe logo.png
자가토 밀라노 토리노 디자인 퓨리탈리아 페를리니 투어링 슈퍼레제라 오토에보 에페페 베를리네타
파일:lamborghinitrattorilogo.png파일:람보르기니트라토리로고화이트.png 파일:samelogo3.png 파일:키메라 오토모빌리 로고.png
람보르기니 트라토리 SAME 키메라
오토모빌리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padding-right:15px; margin-right:15px;
[[스텔란티스|[[파일:Stellantis_Logo.png|height=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요 주주
아녤리 가문(엑소르 N.V.)푸조 가문(EPF)프랑스 공공 투자 은행둥펑자동차블랙록
주요 인물
존 엘칸회장-CEO로베르 푸조부회장
계열사 및 사업부
승용차 푸조시트로엥DS 오토모빌오펠복스홀피아트알파 로메오마세라티크라이슬러닷지지프란치아
상용차 스텔란티스 프로 원(피아트 프로페셔널램 트럭스세벨)
고성능
브랜드
SRT아바스
모터스포츠 푸조 스포트시트로엥 레이싱DS 퍼포먼스마세라티 레이싱오펠 모터스포트
조립
공장
아시아 사이파 공장이란 카샨코드로 공장이란 테헤란둥펑 우한 후베이 공장중국둥펑 청두 공장중국카라치 공장파키스탄
아프리카 스텔란티스 케니트라 공장모로코
유럽 스텔란티스 뮐루즈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프와시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렌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소쇼 공장프랑스세벨 노르드프랑스오펠 아이제나흐 유한회사독일오펠 뤼셀스하임 유한회사독일오펠 젠트가트하르트헝가리스텔란티스 미라피오리이탈리아스텔란티스 카시노 공장이탈리아마세라티 모데나 공장이탈리아스텔란티스 포미글리아노 디아르코 공장이탈리아SATA이탈리아세벨 수드이탈리아오펠 매뉴팩처링 폴란드스텔란티스 망괄데 공장포르투갈크라구예바츠 공장세르비아스텔란티스 트르나바 공장슬로바키아스텔란티스 비고 공장스페인오펠 자라고자 공장스페인스텔란티스 부르사 공장튀르키예복스홀 엘즈미어 포트영국
아메리카 스텔란티스 브램턴 조립 공장캐나다스텔란티스 윈저 조립 공장캐나다살티요 트럭 조립 공장멕시코살티요 반조립 공장멕시코톨루카 자동차 조립 공장멕시코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제퍼슨미국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맥미국스털링 하이츠 조립 단지미국워렌 트럭 조립 단지미국톨레도 조립 단지미국세벨 아르헨티나폐지
자동차 연구 센트로 리서치 피아트
엔진 제조사 VM 모토리
부품 제조사 모파테크시드PCMA
산업 시스템 COMAU
자율주행 ai모티브
차량 공유 쉐어 나우
헤리티지 재단 FCA 헤리티지
금융 스텔란티스 파이낸셜 서비스
리스 리지스
소매 스텔란티스&고객, 세일즈 앤드 서비스
합작사 ACC둥펑 푸조-시트로엥50%E모터50%PSA AVTEC50%사이파 시트로엥50%IKAP푸조 50%GAC-스텔란티스(파산)NextStar Energy50%
지분 제휴 립모터20%(립모터 인터내셔널51%)|토파쉬37%베르자야 오토 얼라이언스29%
해외 지사 스텔란티스 유럽스텔란티스 캐나다스텔란티스 폴란드FCA 인디아 오토모빌스피아트 크라이슬러 호주피아트 아일랜드시트로엥 칠레시트로엥 인디아피아트 세르비아스텔란티스 아르헨티나스텔란티스 구룬말레이시아스텔란티스 코리아 }}}}}}}}}

Lancia
란치아
파일:란치아 로고.png
<colbgcolor=#00387B><colcolor=white> 정식 명칭 Lancia S.p.A.
한국어 명칭 란치아 주식회사
설립자 빈센초 란치아(Vincenzo Lancia)
설립일 1906년
본사 소재지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토리노
CEO 사드 체합, 안토넬라 브루노
업종 자동차 제조
모기업 스텔란티스
홈페이지 공식 사이트

1. 개요2. 역사3. 모터스포츠
3.1. 포뮬러 원3.2. 랠리3.3. 내구 레이스
4. 생산 차량
4.1. 판매중4.2. 단종
5. 미디어
5.1. 만화5.2. 게임5.3. 영화5.4. 드라마

[clearfix]

1. 개요


Beauty Will Drive the World.
1906년 11월 9일 이탈리아의 빈센초 란치아(Vincenzo Lancia, 1881~1937)가 창업한 회사로, 현재 스텔란티스 산하 프리미엄 브랜드로 존치되고 있으며 입실론 1종을 판매중이다.

2. 역사

파일:역대 란치아 로고.png

창업자인 빈센초 란치아는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나서 19세에 피아트의 테스트 드라이버가 될 정도로 실력있는 드라이버이자 기술자였으며, 레이서로 발탁되어 레이서로 활동하던 중에 동료와 함께 란치아를 창업했다.

유럽에서 최초로 전기점화장치를 쓰기 시작했으며 모노코크(차체 일체형 섀시), DOHC, 풍동을 통한 공기역학 중심 디자인, 5단 변속기, 복서 엔진 등의 선진기술을 도입했다. 또한 란치아는 한때 성능과 수려한 디자인으로 전세계에서 인기를 끌기도 했었다. 당시 란치아의 주력 차종이었던 베타나 감마, 풀비아, 2000같은 차들이 "기술적 감성의 정수", 즉 기술력 중심의 고급차로 인정받았고,[1][2]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1970~80년대의 랠리 경기와 F1 등에서 큰 활약을 했으며, WRC 1974~76년 3회 연속 우승, 그리고 1987~1992년 연속우승을 하는 등 여러 기록을 남겼지만 현재 WRC에선 1990년대 초반 이후를 기점으로 철수한 상태이다.

창립 초기부터 1970년대 초까지 상용차를 생산하기도 했고, 군용차도 생산한 이력이 있다.

1960년대 이후 경영난을 이유로 피아트 그룹 산하에 인수되었으며, 1980년대까지는 나름 준수한 차들을 출시했었던 전적에 비하면 최근에 나오는 차들은 뭘 잘못한건지 괴랄한 수준의 엽기적인 디자인을 하고 나오거나, 개념 디자인임에도 뭔가 1%의 결점을 꼭 안고 나오는 차들이 많다. 1990년대부터 란치아 차량에 다소 복고적인 코드의 디자인을 도입했는데, 이러한 복고 코드로만 오래 머문 것도 자동차 시장에서 란치아가 설 자리가 좁아지는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3] 그 외에도 베타, 감마같은 차들이 뛰어난 상품성과 성능과는 별개로 심각한 품질 문제, 차체 부식 문제[4]로 브랜드 이미지를 퇴색시킨 적이 있었고, 때문에 판매량을 회복하지 못한 채 1993~4년부터는 우핸들 국가 시장에서 철수했다.[5]

게다가 근래 피아트와 크라이슬러의 병합 이후 크라이슬러 산하로 들어간 뒤로 크라이슬러 차량에 로고만 란치아로 바꿔놓고 팔아먹고있는 추세. 크라이슬러의 대형세단 300C를 로고만 바꾸어 20년만에 모델 체인지된 란치아 테마라고 내놓는 꼴을보면 참 답이 안나온다. 2010년대 초반에 출시한 란치아 보이저, 테마, 플라비아는 각각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 300, 200을 로고만 갈아끼운 것. 이 마저도 유럽 시장에 최적화된 세팅을 한 게 아닌 계기판 단위 변경, 방향지시등 색깔 변경만 해서 수입했던 것이었다. 즉 이 회사의 고유모델은 입실론과 델타, 딱 둘 뿐이었으나 델타가 2014년 단종되며 결국 입실론 1종만 남았다. 심지어 영국과 아일랜드 시장에서는 모든 모델이 크라이슬러 뱃지를 달고 판매되다가 다시 철수했다.[6]

그리고 2015년에 피아트 크라이슬러에서 밝힌 바로는, 기존의 크라이슬러 베이스 차종들도 싹 철수시킨 뒤 입실론만 2018년까지 이탈리아 내수용으로 판매하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2016년 현재로서는 3세대 입실론의 페이스리프트 버전만 이탈리아 내수에서 판매중이다. 그나마 란치아 브랜드 자체를 부활시키거나 폐지하는 일은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산하에서 없을 거라고 못박아둔데다가[7] 페이스리프트가 예정되어 있고, 푼토와 입실론을 한 차종으로 통합한 후속차종 개발안을 고려중이라는 소식이 있다는 게 희소식이라면 희소식이다. 한동안은 미술 관련 이벤트에 협찬하는 등으로 근근히 버티다가, 2017년 11월에 피아트크라이슬러에서 신형 파이어플라이(Firefly) 엔진과 새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장착한 부분변경 입실론을 출시한다는 루머가 나왔다.(#/#/#)[8]

2017년 5월 9일 기준으로 란치아는 이탈리아를 제외한 유럽 나머지 지역에서는 판매를 중단한 채 애프터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다. # 이탈리아 내수에서도 입실론 판매와 각종 판촉, 문화행사 후원에 집중하고 있다.[9][10]

한편, 한동안 감소치를 보이던 입실론의 판매대수가 2018년 11월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언론사에 따르면 10월에 이탈리아 내수 시장의 위축과 함께 판매량이 같이 낮아졌음에도 11월에 판매량이 13.97% 증가하고 12월에는 아예 38.65%의 성장세를 보여 시장점유율도 올라갔다고 한다. 이후 2019년 1월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11] 결국 2019년 3월, 마이크 맨리 FCA 회장이 란치아 브랜드가 이탈리아 내수용으로 존속할 것이라고 제네바 모터쇼에서 발표했다. 이후에도 입실론이 하도 잘 나가서 알파 로메오의 판매량[12]을 역전할 정도로 꾸준히 팔리고 있다.#

한국에는 80년대 후반 수입차 시장이 개방되면서 금호그룹, 한보그룹을 통해 피아트와 함께 수입되었다. 그러나 외환위기로 인해 딜러사 역할을 했던 한보그룹이 부도가 나면서 철수하였다. 현재 피아트 일부 차량이 크라이슬러를 통해 국내에 판매되고 있어서 마음만 먹으면 크라이슬러를 통해 판매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월, FCA와 PSA의 합병으로 스텔란티스가 성립되자 란치아 브랜드의 존속이 확정되었다. 알파 로메오, DS와 함께 프리미엄 브랜드로 분류되었다. 스텔란티스의 회장을 맡게된 FCA의 총수인 존 엘칸은 란치아와 알파 로메오에 더 큰 투자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1년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스텔란티스의 로드맵이 발표되었는데, 2028년부터 순수 전기차 브랜드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선언하였다. 지금까지의 브랜드 성격상 스포티함 대신 편안함과 고급스러움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13] 2024년에는 입실론이 STLA 스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전기차 라인업으로 출시 예정이며 길이는 지금의 3.8미터에서 4미터 정도로 커질 것이라고 한다. 2026년에는 아우렐리아가 약 4.6m 길이의 크로스오버 스타일로 순수 전기차로 출시되며 STLA 미디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고 한다. 2028년에는 델타를 전기차로 출시하며 해치백 스타일은 유지한다고 한다. 델타의 길이는 4.4m 정도로 같은 스텔란티스 브랜드의 DS4와 크기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플랫폼은 STLA 미디움일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

스텔란티스 미디어 사이트를 통해 2022년 11월 28일에 란치아 디자인 데이가 열릴 것이라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향후 란치아의 방향성 등을 소개함과 동시에 향후 공개할 입실론, 아우렐리아, 델타에 대한 정보들을 일부 공개할 것으로 예측된다. # # 하지만 해당 모델들에 대한 정보는 나오지 않았고 대신 란치아의 새로운 로고가 공개됐으며 비행접시를 닮은 Pu+Ra Zero 컨셉트카를 통해 미래 란치아 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끝났다. #

2023년 2월 말, 한 기사에 따르면 란치아가 2023년 4월에 새로운 컨셉트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하나 더이상의 자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해당 기사에 따르면 란치아는 향후 출시할 신차들에 재활용 소재들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3년 4월 16일, 스트라토스에서 영감을 얻은 Pu+Ra HPE 콘셉트를 공개했다. #

하지만 지금까지 "아우렐리아"라는 이름이 될 것으로 알려진 차종은 "감마"라는 이름의 5도어 스포트백 스타일의 해치백이 될 것이라고 한다. 4.7미터 길이의 D 세그먼트 세단이며 STLA 미디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순수 전기차로 완충시 주행거리는 700km에 란치아 브랜드의 플래그십 역할을 한다고 하며 2026년 출시 예정이라고 한다. #

2024년 3월, 고성능 서브 브랜드 HF(High Fidelity)를 부활시키면서 새로운 HF 로고 역시 발표했다. 그러면서 2025년에 입실론의 고성능 모델 입실론 HF가 공개될 예정이라는 사실 역시 알려졌다. 순수전기 차량으로 최고출력 237마력에 0→100km/h 가속 5.8초를 발휘할 것이라고 한다. #

3. 모터스포츠

이탈리아 브랜드답게 레이싱에서 화려한 전적을 남긴 브랜드이다. 지금은 별 볼 일 없지만, 1980년대만 해도 랠리에서 란치아를 이길 수 있는 차는 없었다.

3.1. 포뮬러 원

파일:external/petergiddings.com/Spa%201955.jpg

포뮬러 원 초창기에 참전한 적이 있었다. 섀시는 란치아-페라리 D50A. 나름 선방했고 1956년에는 전설의 후안 마누엘 판지오가 페라리로 가기 전에 잠깐 몸을 담았었다.

3.2. 랠리

파일:external/image1.redbull.com/lancia-s-greatest-hits.jpg
(맨 뒤부터 란치아 스트라토스, 빨간 차가 풀비아, 맞은 편이 랠리 037, 그 앞이 초기 델타 HF 4WD, 맨 앞이 중기 델타 HF 인테그랄레)

란치아의 랠리 참가 실적은 WRC가 출범하기 몇 해 전인 1972년, 전륜 구동 승용차 풀비아 HF부터 시작된다. 이후 WRC 출범 이후 오직 WRC 우승을 위해 개발하고 호몰로게이션을 받은 희대의 명차 스트라토스를 내놓아 1974년, 1975년, 1976년 시즌을 석권했다. 이탈리아 브랜드답게 페라리 V6 엔진을 넣고 오직 랠리만을 위해 태어난 차였다. 이후 1983년 전설의 그룹 B가 신설되자, 이 똘끼 충만한 스피드 프릭들은 직렬 4기통 2리터 트윈캠 엔진에 265~325마력을 뿜어내는 란치아 랠리라는 괴물을 공개했다. 발터 뢸, 마르쿠 알렌, 헨리 토이보넨과 같은 전설적인 랠리스트들이 이 차를 거쳐 갔고 아우디 콰트로, 푸조 205와 같은 당시 우수한 랠리카들과 진검승부를 벌여 1983년에는 제조사 종합 우승을 획득하기도 했다.

1980년대부터 아우디를 필두로 한 경쟁자들이 사륜구동의 단점을 개선하자 란치아는 그에 대항하기 위해 델타 S4를 만들었다. 출력을 높이고 저회전 영역의 출력을 받쳐주기 위해 슈퍼차저까지 탑재한[14] 그야말로 광기의 끝판왕. 아무튼 이후로도 아우디 콰트로를 상대로 호각의 성능을 보였으나 이 차는 결과적으로 그룹 B라는 클래스 자체를 없앤 랠리카가 되고 말았는데 이전부터 랠리 환경에 비해 극단적인 컨트롤을 요구하는 랠리카의 특성상, 조금씩 일어났던 인명 사고가 하필 란치아의 차량에서 결국 제대로 터진 것. 델타 S4가 낭떠러지 아래로 추락하고 완전히 전소되어 드라이버[15]와 코드라이버의 시신조차 수습을 못하는 초유의 사건이 터진 것이었다. 이후 FIA는 바로 그룹 B를 폐지하게 되었고, 속된 말로 똘기 충만했던(...) 그룹 B의 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16]

이후 WRC는 그룹 A로 재편되어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그룹 A 또한 출력이 만만치 않은 차들이었지만 1,000kg 정도의 300마력 정도의 출력을 가진 충분히 인간 한계 안에 있는 차들이었다.(...) 란치아는 기존의 델타를 베이스로 란치아 델타 HF 인테그랄레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결과... 란치아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왕좌에서 내려오지 않았다. 아우디푸조 등 그룹 B 시절 숙명의 라이벌들이 랠리에 관심이 없어졌고, 그 결과 이렇다 할 호적수가 사라지면서 그렇게 란치아는 랠리의 전설이 되고 말았다. 이때 미키 비아시온, 디디에 오리올, 유하 칸쿠넨 등이 이 차를 타고 활약하며 당시 슬슬 WRC에서 치고 올라오던 토요타스바루 같은 일본 브랜드를 상대로 선전을 했다.

란치아의 기록이 얼마나 대단하냐면 시트로엥세바스티앙 로브를 태우고 무쌍을 찍기 전까지 랠리의 아이콘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란치아가 철수하기 이전까지 획득한 WRC 제조사 타이틀만 10개 드라이버 타이틀은 6개나 달성했다. 1973년에 출범한 WRC 역사의 5분의 1을 다 해먹었다는 것.

농담 삼아 F1에는 페라리, GT1에는 마세라티, WRC에는 란치아가 있다고 한다. 얼마나 대단했는지 은퇴한지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란치아가 제조사 우승 10회로 여전히 1등이다.(2위는 시트로엥이 획득한 8회)

2025년에 입실론으로 랠리에 복귀할 수도 있다는 루머가 보도되었다.#

2024년 5월 27일, 입실론 HF 랠리4를 공개하며 모터스포츠계에 복귀함을 정식 확정했다. 적용된 리버리도 마티니 스타일의 리버리를 오마주함과 동시에 란치아의 역대 랠리 출전기록 중 제조사 타이틀을 획득한 연도들이 적혀 있다.#

3.3. 내구 레이스

파일:란치아 LC2.jpg
란치아 LC2
1982년부터 1986까지 내구 레이스에 출전했었다.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운용된 란치아 LC1은 그룹 6 스포츠 프로토타입이었고, 이후 규정 변경으로 83년부터 그룹 C 프로토타입 레이스 카인 란치아 LC2를 운용했다. 란치아는 내구 레이스에서 눈에 띌만한 성적을 보여주진 않았다.

4. 생산 차량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7B><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87B>
파일:란치아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387B> 경차 - Y10
소형차 입실론 Y
준중형차 - 알파 · 다이얼파 · 베타(1909) · 엡실론 ·
델타(1911) · 테타 · 카파(1919) · 디카파 ·
람다 · 아테나 · 아피아 · 델타 · 프리즈마
중형차 감마(2세대)예정 풀비아 · 베타 · 데드라 ·
리브라 · 트레비 · 플라비아(2011)
준대형차 - 플라비아(1961) ·
감마(1세대) · 테마 · 카파 · 테시스
대형차 - 플라미니아
그랜드 투어러 - 오렐리아
스포츠카 - 몬테카를로 · 스트라토스
레이스카 - 랠리 · LC1 · LC2
MPV - 제타 · 페드라 · 무사 · 보이저 · 베타
트럭 - 3Ro
장갑차 - 1ZM
}}}}}}}}} ||


란치아 모델들 중 일부 차종에 적용된 작명법으로 그리스 문자(알파, 베타, 감마 등)의 단어를 사용한다.

4.1. 판매중

4.2. 단종

5. 미디어

5.1. 만화

5.2. 게임

5.3. 영화

5.4. 드라마


[1] 즉 외적으로도 고급스러우면서도 기술적인 면의 감성, 즉 핸들링과 승차감, 섀시, 서스펜션 세팅, 무게배분같은 면에서 이상적인 균형을 잡고자 한 업체였다.[2] 이에 대한 증명으로, 1970~80년대만 해도 란치아에서는 자사 차들을 운전자 중심의 차로 홍보하고 다녔다.#/#/#[3] 이는 1980년대 후반에 알파 로메오가 피아트로 들어오면서 란치아, 알파 로메오를 구분지으려고 단행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있다. 둘 다 운전역학을 무기로 내세우던 브랜드였으니 둘 간의 구분점을 두어 좀 더 스포티한 알파 로메오를 스포티하게, 고급감이 남아 있었던 란치아를 프리미엄 중심으로 재배치한 것으로 보인다.[4] 특히 1970년대 초중반 당시의 엔트리급이었던 란치아 베타가 심각한 부식문제(특히 골격)로 영국 시장에서 홍역을 치렀다. 소련에서 철강을 가져다가 사용했다는 루머가 돌 정도였으며, 이때 딜러 차원에서 리콜을 단행해 문제가 있는 차들은 폐기처분하고, 베타를 보유한 기존 고객들에게는 자사 차량을 구매할 때 할인을 해 주었다. 1970년대 중후반에 출고된 후기형 베타는 부식방지 처리가 개선되었다.[5] 또한 이탈리아 다음 가는 주력 시장이었던 영국의 경우, 1세대 델타가 현역일 동안 란치아에서 델타의 랠리카 실적을 마케팅에 잘 활용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었다.[6] 영국의 경우, 1970년대 중후반에 란치아 베타라는 고급 준중형차의 심각한 골격 부식 문제로 인해 홍역을 제대로 치른 적이 있었으며 1994년에 철수할 때까지 이미지를 회복시키지 못했다. 때문에 란치아 브랜드 대신, 그나마 그런 브랜드 이미지가 덜한 크라이슬러 브랜드로 차를 수출한 것으로 추정된다.[7] 란치아 건은 후임자가 맡을 일이라고 공언했다.[8] 실제로 등장한 2018년식 입실론은 외장 색상 옵션을 변경하는 데서 마무리되었다는 제보가 있다.[9] 가장 최근 행보 중 하나는 2018년 10월에 진행된 이탈리아의 핑크리본 유방암 환우 캠페인의 스폰서를 맡았다는 소식. 입실론을 퍼레이드 차량으로 투입했다.#[10] 입실론의 후속이 나올 수 있다는 루머도 간간히 나오고 있다. 세르지오 마르치오네가 생전에 한 발언들이 란치아의 생사를 명확히하지 않고 열린 결말로 남겨놓았기 때문.#[11] 관계자에 따르면 판촉행위로 인해 판매량이 늘어났다고 한다.[12] 줄리아와 스텔비오 이후 완전 신차의 부재, 경쟁사 대비 다양하지 못한 라인업 등을 이유로 최근 1~2년간 고전하고 있다.[13] 스포티함에 초점을 맞춘다면 브랜드 정체성에도 맞지 않을 뿐더러 같은 스텔란티스 지붕 아래에 있는 알파 로메오와 포지셔닝이 겹치는 문제도 있다.[14] 이 과정에서의 출력은 리미터 발동 상태에서 480마력(...)이었다.[15] 헨리 토이보넨.[16] 결국 참가할 곳이 없어져 실업자 신세가 되어버린 그룹 B 차량 제조사들은 파익스 피크WRX로 옮겨 갔고, 폐지 직전 뒤늦게 참가를 결심했지만 참가가 무산된 페라리와 포르쉐는 GTO959라는 걸출한 슈퍼카를 출시했다.[17] 이 인테그랄레는 WRC에서 6번 우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