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7dda> | 브롤스타즈의 브롤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 [[8비트(브롤스타즈)| 8비트 R-T 거스 게일 그레이 그롬 그리프 나니 니타 다이너마이크 대릴 더그 드라코 래리 & 로리 러프스 레온 로사 롤라 루 리코 릴리 |
ㅁ ~ ㅂ | [[맥스(브롤스타즈)| 맥스 맨디 메그 메이지 멜로디 모 모티스 미스터 P 미코 미플 바이런 발리 버스터 버즈 베리 벨 보 보니 불 브록 비 비비 |
ㅅ ~ ㅈ | [[샌디(브롤스타즈)| 샌디 샘 서지 셰이드 쉘리 스퀴크 스튜 스파이크 스프라우트 안젤로 애쉬 앰버 에드거 엘 프리모 엠즈 오티스 올리 윌로우 이브 자넷 재키 제시 주주 진 |
ㅊ ~ ㅎ | [[찰리(브롤스타즈)| 찰리 척 체스터 칼 켄지 코델리우스 콜레트 콜트 크로우 클랜시 키트 타라 틱 파이퍼 팸 팽 펄 페니 포코 프랭크 행크 |
- ⠀[ 희귀도순 ]⠀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쉘리|]]쉘리<nopad> 희귀 [[니타|]][[콜트(브롤스타즈)|니타]][[불(브롤스타즈)|콜트]][[브록(브롤스타즈)|불]][[엘 프리모|브록]][[발리(브롤스타즈)|엘 프리모]][[포코(브롤스타즈)|발리]][[로사(브롤스타즈)|포코]]로사<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다이너마이크|제시]][[틱(브롤스타즈)|다이너마이크]][[8비트(브롤스타즈)|틱]][[리코(브롤스타즈)|8비트]][[대릴|리코]][[페니(브롤스타즈)|대릴]][[칼(브롤스타즈)|페니]][[재키(브롤스타즈)|칼]][[거스(브롤스타즈)|재키]]거스<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엠즈|보]][[스튜(브롤스타즈)|엠즈]][[파이퍼(브롤스타즈)|스튜]][[팸(브롤스타즈)|파이퍼]][[프랭크(브롤스타즈)|팸]][[비비(브롤스타즈)|프랭크]][[비(브롤스타즈)|비비]][[나니(브롤스타즈)|비]][[에드거(브롤스타즈)|나니]][[그리프(브롤스타즈)|에드거]][[그롬(브롤스타즈)|그리프]][[보니(브롤스타즈)|그롬]][[게일(브롤스타즈)|보니]][[콜레트(브롤스타즈)|게일]][[벨(브롤스타즈)|콜레트]][[애쉬(브롤스타즈)|벨]][[롤라(브롤스타즈)|애쉬]][[샘(브롤스타즈)|롤라]][[맨디(브롤스타즈)|샘]][[메이지(브롤스타즈)|맨디]][[행크(브롤스타즈)|메이지]][[펄(브롤스타즈)|행크]][[래리 & 로리|펄]][[안젤로(브롤스타즈)|래리 & 로리]][[베리(브롤스타즈)|안젤로]][[셰이드(브롤스타즈)|베리]][[미플(브롤스타즈)|셰이드]]미플<nopad> 신화 [[모티스|]][[타라(브롤스타즈)|모티스]][[진(브롤스타즈)|타라]][[맥스(브롤스타즈)|진]][[미스터 P|맥스]][[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미스터 P]][[바이런(브롤스타즈)|스프라우트]][[스퀴크|바이런]][[루(브롤스타즈)|스퀴크]][[러프스|루]][[버즈(브롤스타즈)|러프스]][[팽(브롤스타즈)|버즈]][[이브(브롤스타즈)|팽]][[자넷(브롤스타즈)|이브]][[오티스(브롤스타즈)|자넷]][[버스터(브롤스타즈)|오티스]][[그레이(브롤스타즈)|버스터]][[R-T|그레이]][[윌로우(브롤스타즈)|R-T]][[더그(브롤스타즈)|윌로우]][[척(브롤스타즈)|더그]][[찰리(브롤스타즈)|척]][[미코(브롤스타즈)|찰리]][[멜로디(브롤스타즈)|미코]][[릴리(브롤스타즈)|멜로디]][[클랜시(브롤스타즈)|릴리]][[모(브롤스타즈)|클랜시]][[주주(브롤스타즈)|모]][[올리(브롤스타즈)|주주]]올리<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크로우(브롤스타즈)|스파이크]][[레온(브롤스타즈)|크로우]][[샌디(브롤스타즈)|레온]][[앰버(브롤스타즈)|샌디]][[메그|앰버]][[서지(브롤스타즈)|메그]][[체스터(브롤스타즈)|서지]][[코델리우스|체스터]][[키트(브롤스타즈)|코델리우스]][[드라코(브롤스타즈)|키트]][[켄지(브롤스타즈)|드라코]]켄지<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탱커[[불(브롤스타즈)|]][[엘 프리모|불]][[로사(브롤스타즈)|엘 프리모]][[대릴|로사]][[재키(브롤스타즈)|대릴]][[프랭크(브롤스타즈)|재키]][[비비(브롤스타즈)|프랭크]][[애쉬(브롤스타즈)|비비]][[행크(브롤스타즈)|애쉬]][[버스터(브롤스타즈)|행크]][[올리(브롤스타즈)|버스터]][[메그|올리]][[드라코(브롤스타즈)|메그]]드라코
어쌔신[[스튜(브롤스타즈)|]][[에드거(브롤스타즈)|스튜]][[샘(브롤스타즈)|에드거]][[셰이드(브롤스타즈)|샘]][[모티스|셰이드]][[버즈(브롤스타즈)|모티스]][[팽(브롤스타즈)|버즈]][[미코(브롤스타즈)|팽]][[멜로디(브롤스타즈)|미코]][[릴리(브롤스타즈)|멜로디]][[크로우(브롤스타즈)|릴리]][[레온(브롤스타즈)|크로우]][[코델리우스|레온]][[켄지(브롤스타즈)|코델리우스]]켄지
서포터[[포코(브롤스타즈)|]][[거스(브롤스타즈)|포코]][[팸(브롤스타즈)|거스]][[베리(브롤스타즈)|팸]][[맥스(브롤스타즈)|베리]][[바이런(브롤스타즈)|맥스]][[러프스|바이런]][[그레이(브롤스타즈)|러프스]][[더그(브롤스타즈)|그레이]][[키트(브롤스타즈)|더그]]키트컨트롤러[[제시(브롤스타즈)|]][[페니(브롤스타즈)|제시]][[보(브롤스타즈)|페니]][[엠즈|보]][[그리프(브롤스타즈)|엠즈]][[게일(브롤스타즈)|그리프]][[미플(브롤스타즈)|게일]][[진(브롤스타즈)|미플]][[미스터 P|진]][[스퀴크|미스터 P]][[루(브롤스타즈)|스퀴크]][[오티스(브롤스타즈)|루]][[윌로우(브롤스타즈)|오티스]][[척(브롤스타즈)|윌로우]][[찰리(브롤스타즈)|척]][[샌디(브롤스타즈)|찰리]][[앰버(브롤스타즈)|샌디]]앰버
대미지딜러[[쉘리|]][[니타|쉘리]][[콜트(브롤스타즈)|니타]][[8비트(브롤스타즈)|콜트]][[리코(브롤스타즈)|8비트]][[칼(브롤스타즈)|리코]][[콜레트(브롤스타즈)|칼]][[롤라(브롤스타즈)|콜레트]][[펄(브롤스타즈)|롤라]][[타라(브롤스타즈)|펄]][[이브(브롤스타즈)|타라]][[R-T|이브]][[클랜시(브롤스타즈)|R-T]][[모(브롤스타즈)|클랜시]][[스파이크(브롤스타즈)|모]][[서지(브롤스타즈)|스파이크]][[체스터(브롤스타즈)|서지]]체스터
저격수[[브록(브롤스타즈)|]][[파이퍼(브롤스타즈)|브록]][[비(브롤스타즈)|파이퍼]][[나니(브롤스타즈)|비]][[보니(브롤스타즈)|나니]][[벨(브롤스타즈)|보니]][[맨디(브롤스타즈)|벨]][[메이지(브롤스타즈)|맨디]][[안젤로(브롤스타즈)|메이지]][[자넷(브롤스타즈)|안젤로]]자넷
투척수[[발리(브롤스타즈)|]][[다이너마이크|발리]][[틱(브롤스타즈)|다이너마이크]][[그롬(브롤스타즈)|틱]][[래리 & 로리|그롬]][[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래리 & 로리]][[주주(브롤스타즈)|스프라우트]]주주
}}} ||
관련 문서 |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마스터리 · 스킨 · 칭호 · 템플릿 |
| ||||
<rowcolor=#000,#fff> 셰이드 | → | 미플 | → | 올리 |
미플
MEEPLE
MEEPLE
| |||||
<colbgcolor=#7d00ff><colcolor=white> 등급 | 영웅 | ||||
역할군 | | ||||
코드 네임 | Meeple | ||||
출시일 | 2025년 1월 9일[1][2] 2025년 2월 6일[3] | ||||
성우 | 안드레 레피그 | ||||
플레이어 칭호 | 반칙쟁이 |
[clearfix]
1. 개요
Time for a game-changing play!
게임을 뒤집을 때가 왔군!
게임을 뒤집을 때가 왔군!
Meeple knows the rules to every board game in exsistence and if you break him... Well let's just say you don't want to break them. They hate cheaters and those who don't follow the rules. There's one exception to the rules... Meeple themselves!
미플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보드게임의 규칙을 꿰뚫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확실히 말씀드리죠... 규칙을 어기고 싶지는 않으실 겁니다. 미플은 속임수나 규칙 위반을 극도로 싫어하거든요. 하지만 깐깐한 미플의 규칙에도 단 하나의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미플 자신은 속임수를 써도 된다는 것이죠!
미플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보드게임의 규칙을 꿰뚫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확실히 말씀드리죠... 규칙을 어기고 싶지는 않으실 겁니다. 미플은 속임수나 규칙 위반을 극도로 싫어하거든요. 하지만 깐깐한 미플의 규칙에도 단 하나의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미플 자신은 속임수를 써도 된다는 것이죠!
- 보드게임 트리오의 첫번째 일원이며 모든 보드게임 룰을 집착 수준으로 다 외우고 있는 보드게임 마스터라고 한다. 얼굴은 당구공[4], 어깨는 8면체 주사위, 손과 발은 체스의 폰이다.
- 이름의 유래는 보드게임에서 사용되는 사람 모양의 기물인 미플.
2. 대사 목록
로봇 브롤러들처럼 기계음으로 변조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목소리가 칼과 같이 굉장히 너드스럽다.[5] 대사에 유독 규칙을 강조한다. 독특하고 재미있는 대사 덕에 디자인 평이 안 좋던 미플의 평가를 어느 정도 상승시켜 주었다.Time for a game-changing play!
게임을 뒤집을 때가 왔군!
Let the dice decide our fate!
주사위에게 우리의 운명을 맡겨보자고!
Roll for initiative. Let's go.
계획을 위한 턴이야. 가보자고.
Tactical positioning is key, everyone!
전략적 위치 선정이 핵심이다, 모두들!
Time to roll the dice!
주사위 굴릴 시간이다!
Always play by the rules, mhmhmhmhm fools.
항상 규칙은 따르시라고, 흠흠흠, 멍청이들아.
Rules are my secret weapon.
규칙은 내 비밀 병기지.
Dice to meet you.[6][7]
만나서 반갑다이스.
Now see how a master tactician plays.
전략 게임 고인물께서 어떻게 하는지 지금 잘 봐두시라고.
I'm feeling lucky, time to roll.
감이 좋네, 주사위를 굴려야겠군.
Dice, dice baby! Mhmhmhmhmhm.
다이스 다이스 베이비! 으흠흠흠흠
리스폰 시 대사
게임을 뒤집을 때가 왔군!
Let the dice decide our fate!
주사위에게 우리의 운명을 맡겨보자고!
Roll for initiative. Let's go.
계획을 위한 턴이야. 가보자고.
Tactical positioning is key, everyone!
전략적 위치 선정이 핵심이다, 모두들!
Time to roll the dice!
주사위 굴릴 시간이다!
Always play by the rules, mhmhmhmhm fools.
항상 규칙은 따르시라고, 흠흠흠, 멍청이들아.
Rules are my secret weapon.
규칙은 내 비밀 병기지.
Dice to meet you.[6][7]
만나서 반갑다이스.
Now see how a master tactician plays.
전략 게임 고인물께서 어떻게 하는지 지금 잘 봐두시라고.
I'm feeling lucky, time to roll.
감이 좋네, 주사위를 굴려야겠군.
Dice, dice baby! Mhmhmhmhmhm.
다이스 다이스 베이비! 으흠흠흠흠
리스폰 시 대사
Intelligence wins!
똑똑한 자가 승리하는 법!
Brains before brawl.
몸보단 머리를 쓰셔야지.
The one with the rules,rules!
규칙을 가진 자가 지배한다!
Rules rule.
규칙이 지배하지.
Perfectly to the plan.
완벽히 계획대로군.
I love it when a plan comes together.
계획대로 맞아 떨어질 때가 좋아.
The king of the nerds!
너드들의 왕이다!
Ruling ruler of all the rulers.
모든 지배자들을 지배하는 지배자야.
I came in like a rolling dice,mmmhh.
주사위처럼 구르며 등장했다구,흐흠.
I kissed the dice and I like it!
주사위에 키스를 했는데 그게 참 마음에 드는군!
(비음)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똑똑한 자가 승리하는 법!
Brains before brawl.
몸보단 머리를 쓰셔야지.
The one with the rules,rules!
규칙을 가진 자가 지배한다!
Rules rule.
규칙이 지배하지.
Perfectly to the plan.
완벽히 계획대로군.
I love it when a plan comes together.
계획대로 맞아 떨어질 때가 좋아.
The king of the nerds!
너드들의 왕이다!
Ruling ruler of all the rulers.
모든 지배자들을 지배하는 지배자야.
I came in like a rolling dice,mmmhh.
주사위처럼 구르며 등장했다구,흐흠.
I kissed the dice and I like it!
주사위에 키스를 했는데 그게 참 마음에 드는군!
(비음)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Nerd rage!
너드의 분노!
I demand a reroll.
다시 굴리게 해달라고!
This violates the player agreement.
이건 플레이어 약관 위반이야!
That roll was rigged.
방금 굴린 건 사기군.
That wasn't in the rule book.
그런 건 규정집에 없었는데?
Getting dicey!
위험해지고 있어!
Time to get organized.
진행 상황을 정리해야겠군.
Follow the rules.
규칙을 따르자구.
Need to get better at min-maxing
최적화에 익숙해져야겠어.
Rules violation.
규칙 위반이야.
Who dares to defy the mighty Meeple!
누가 감히 위대한 미플에게 대항하는가?
Am I the only one around here who gives a dare about the rules?
여기서 규칙에 신경쓰는 자는 나 하나뿐인거냐?
Outlook not so good.
전망이 좋지 않아 보이네.
Eh, eh, rules violation!
에헤, 규칙 위반!
I got rigged-rolled!
주사위 사기 당했네!
피격 시 대사
너드의 분노!
I demand a reroll.
다시 굴리게 해달라고!
This violates the player agreement.
이건 플레이어 약관 위반이야!
That roll was rigged.
방금 굴린 건 사기군.
That wasn't in the rule book.
그런 건 규정집에 없었는데?
Getting dicey!
위험해지고 있어!
Time to get organized.
진행 상황을 정리해야겠군.
Follow the rules.
규칙을 따르자구.
Need to get better at min-maxing
최적화에 익숙해져야겠어.
Rules violation.
규칙 위반이야.
Who dares to defy the mighty Meeple!
누가 감히 위대한 미플에게 대항하는가?
Am I the only one around here who gives a dare about the rules?
여기서 규칙에 신경쓰는 자는 나 하나뿐인거냐?
Outlook not so good.
전망이 좋지 않아 보이네.
Eh, eh, rules violation!
에헤, 규칙 위반!
I got rigged-rolled!
주사위 사기 당했네!
피격 시 대사
If you read the player's handbook, this wouldn't have happened.
플레이어용 규칙서만 읽으셨다면 이런 일은 없으셨겠지.
Shhh
쉬잇.
You broke the rules.
규칙을 어기셨구나.
You should have followed the rules!
규칙을 따르셨어야지!
Unlucky!
운이 나쁘시네!
Them be the rules.
규칙이란게 다 그런 거야.
You should’ve listened more in school.
학교에서 제대로 배우셨어야지.
You appear to have had a critical failure.
결정적인 실패를 겪으셨던 것 같네.
You should seriously read the rules, some time.
진심으로, 너 가끔은 규정집을 읽어보셔야 하는데 말이야.
Silence is golden.
침묵이란 좋은 건데 말야.
Meeple wins, hmhm, again, hmhm.
미플 승, 흐흠, 또 다시, 흐흠.
You clearly forgot to read subsection 37 of rule 749, loser.
너 규칙 749의 37항을 읽어야 하는 걸 까먹었구나, 패배자 같으니라고.
Outlook good.
전망이 밝네.
적 처치 시 대사
플레이어용 규칙서만 읽으셨다면 이런 일은 없으셨겠지.
Shhh
쉬잇.
You broke the rules.
규칙을 어기셨구나.
You should have followed the rules!
규칙을 따르셨어야지!
Unlucky!
운이 나쁘시네!
Them be the rules.
규칙이란게 다 그런 거야.
You should’ve listened more in school.
학교에서 제대로 배우셨어야지.
You appear to have had a critical failure.
결정적인 실패를 겪으셨던 것 같네.
You should seriously read the rules, some time.
진심으로, 너 가끔은 규정집을 읽어보셔야 하는데 말이야.
Silence is golden.
침묵이란 좋은 건데 말야.
Meeple wins, hmhm, again, hmhm.
미플 승, 흐흠, 또 다시, 흐흠.
You clearly forgot to read subsection 37 of rule 749, loser.
너 규칙 749의 37항을 읽어야 하는 걸 까먹었구나, 패배자 같으니라고.
Outlook good.
전망이 밝네.
적 처치 시 대사
RNG is ruining the game!
운빨이 게임 다 망치네!
Ooh, but my calculations are..!
부..분명 내 계산은 틀림없..!
Losing to a noob, perfect.
뉴비한테 지다니, 완벽하기도 해라.
Time to reroll.
주사위를 다시 굴려야겠어.
The meta is clearly broken!
메타 꼬라지 하고선!
I lost? Ahhh..!
내가 졌다고? 으아아악..!
Skill can't fix bad game design, obviously.
실력이 좋다고 쓰레기같은 게임 설계를 고칠 수 있는 건 아니야, 확실히.
Great, I lost to another broken brawler.
참 좋다, 또 다른 사기 브롤러한테 저버렸군.
Zero skill achievement unlocked, good for you.
'딸깍' 업적 해금하셨네, 참 잘 되셨다.
Eh, eh, eh, someone ban this bot!
으하항, 누가 이 봇 좀 밴해봐!
Oh, my subreddit is gonna love this.
오, 내 서브레딧이 참 좋아하겠네.[8]
Winning by teaming, how original.
티밍으로 이기시기라, 참 똑똑하셔라.
You won’t get this lucky next time!
다음엔 이렇게 운 좋을 일 없으실 줄 알아!
*울음소리*
사망 시 대사
운빨이 게임 다 망치네!
Ooh, but my calculations are..!
부..분명 내 계산은 틀림없..!
Losing to a noob, perfect.
뉴비한테 지다니, 완벽하기도 해라.
Time to reroll.
주사위를 다시 굴려야겠어.
The meta is clearly broken!
메타 꼬라지 하고선!
I lost? Ahhh..!
내가 졌다고? 으아아악..!
Skill can't fix bad game design, obviously.
실력이 좋다고 쓰레기같은 게임 설계를 고칠 수 있는 건 아니야, 확실히.
Great, I lost to another broken brawler.
참 좋다, 또 다른 사기 브롤러한테 저버렸군.
Zero skill achievement unlocked, good for you.
'딸깍' 업적 해금하셨네, 참 잘 되셨다.
Eh, eh, eh, someone ban this bot!
으하항, 누가 이 봇 좀 밴해봐!
Oh, my subreddit is gonna love this.
오, 내 서브레딧이 참 좋아하겠네.[8]
Winning by teaming, how original.
티밍으로 이기시기라, 참 똑똑하셔라.
You won’t get this lucky next time!
다음엔 이렇게 운 좋을 일 없으실 줄 알아!
*울음소리*
사망 시 대사
I rolled a NAT21.[9]
내추럴 21이 나왔다.
A critical success![10]
중요한 성공!
NAT21!
내추럴 21!
Eh, if my calculations are correct.
에헤, 내 계산들이 완벽하다면야.
Cheat mode enabled!
치트 모드 활성화!
Time for some dicey hacks!
위험한 핵을 켜볼까!
Rule breaker, play maker!
규칙 위반자이자 공격 주도자지!
My game, my rules.
나만의 게임, 나만의 규칙.
Dice of doom-!
파멸의 주사위-!
I’m bringing dicey back, yeah!
내 주사위를 가져와야겠군, 예!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내추럴 21이 나왔다.
A critical success![10]
중요한 성공!
NAT21!
내추럴 21!
Eh, if my calculations are correct.
에헤, 내 계산들이 완벽하다면야.
Cheat mode enabled!
치트 모드 활성화!
Time for some dicey hacks!
위험한 핵을 켜볼까!
Rule breaker, play maker!
규칙 위반자이자 공격 주도자지!
My game, my rules.
나만의 게임, 나만의 규칙.
Dice of doom-!
파멸의 주사위-!
I’m bringing dicey back, yeah!
내 주사위를 가져와야겠군, 예!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핀
<rowcolor=#fff> 핀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핀 | 상태 | 희귀도 | 대사 |
| Neutral | 일반 | Time for a game-changing play! | |
| Happy | 일반 | (비음) | |
| Sad | 일반 | RNG is ruining the game! | |
| Angry | 일반 | I demand a reroll. | |
| GG | 희귀 | I came in like a rolling dice mmmhh. | |
| Clap | 희귀 | 박수 소리 | |
| Thanks | 영웅 | I kissed the dice and I like it! | |
| Phew | 영웅 | Getting dicey! | |
| Special | 영웅 | Time to roll the dice! | |
| Facepalm | 컬렉터 | - | }}}}}}}}}}}} |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
|
5. 마스터리
||<|2><tablewidth=96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color=#fff><bgcolor=#ad4d37><height=70>
우드
<rowcolor=#fff>I | II | III | I | II | III | I | II | III | |||||||||||||||||||||||||||||||||||||||||||||||||||||||||||||||||||||||||||||||||||||||||||
- | 750 코인 | 100 PP | 75 크레딧 | 200 PP | 1250 코인 | 150 크레딧 | Facepalm 핀 | 플레이어 아이콘 | 칭호: 반칙쟁이 | ||||||||||||||||||||||||||||||||||||||||||||||||||||||||||||||||||||||||||||||||||||||||||
300 800 1500 2600 4000 5800 10300 16800 24800 |
6.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HP || 이동 속도 ||
}}}}}}}}} ||
레벨 ||<width=43.5%>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 3000 | 보통 (720 = 2.4타일/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 3300 | |
3 | 3600 | ||
4 | 3900 | ||
5 | 4200 | ||
6 | 4500 | ||
7 | 4800 | ||
8 | 5100 | ||
9 | 5400 | ||
10 | 5700 |
11 | 6000 |
서지, 안젤로와 체력이 같다.
7. 스킬
7.1. 일반 공격 - 폭탄천국(BOOMHAVEN)
| <colcolor=#000,#ddd> 영어 설명 가장 가까운 적을 향해 살짝 이끌려 날아가는 강력한 발사체를 발사합니다. |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130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7.67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느림(2초) ||<width=25%> ||
130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7.67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느림(2초) ||<width=25%> ||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 파워 레벨 | 피해량 | |||||||||||||||||||||||||||||||||||||||||||||||||||||||||||||||||||||||||||||||||||||||||||||||||||
<colbgcolor=#005090> 1 | 130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090> 2 | 1430 | |||||||||||||||||||||||||||||||||||||||||||||||||||||||||||||||||||||||||||||||||||||||||||||||||||
3 | 1560 | ||||||||||||||||||||||||||||||||||||||||||||||||||||||||||||||||||||||||||||||||||||||||||||||||||||
4 | 1690 | ||||||||||||||||||||||||||||||||||||||||||||||||||||||||||||||||||||||||||||||||||||||||||||||||||||
5 | 1820 | ||||||||||||||||||||||||||||||||||||||||||||||||||||||||||||||||||||||||||||||||||||||||||||||||||||
6 | 1950 | ||||||||||||||||||||||||||||||||||||||||||||||||||||||||||||||||||||||||||||||||||||||||||||||||||||
7 | 2080 | ||||||||||||||||||||||||||||||||||||||||||||||||||||||||||||||||||||||||||||||||||||||||||||||||||||
8 | 2210 | ||||||||||||||||||||||||||||||||||||||||||||||||||||||||||||||||||||||||||||||||||||||||||||||||||||
9 | 2340 | ||||||||||||||||||||||||||||||||||||||||||||||||||||||||||||||||||||||||||||||||||||||||||||||||||||
10 | 2470 |
11 | 2600 | }}}}}} |
위 동영상에서 보이듯이 유도 기능이 있는 폰을 발사한다.
사거리나 피해량은 준수한 편이며, 유도 기능 덕에 사거리 끝자락의 적은 맞추기가 매우 쉽다. 때문에 오토에임을 써도 사거리 안에만 있다면 대부분 적중한다.
하지만 그 대가로 재장전 속도가 느린 편이고, 재장전 속도 대비 피해량이나 사거리, 연사 속도도 특출난 편이 아니라 공격 성능은 유도 기능을 달고 나온 것 치고 그리 좋진 않다.
폰은 미플의 손에서 발사되는 듯하다.
여담으로 영문명인 Boomhaven의 haven은 사실 천국을 뜻하는 단어가 아닌 항구, 피난처를 뜻하는 단어이다. 실제 천국의 스팰링은 heaven으로, h와 a 사이에 e가 빠져있다. 글룸헤이븐 레퍼런스로 보면 될 듯.
7.2. 특수 공격 - 성공의 비결(CRICTICAL SUCCESS)
| <colcolor=#000,#ddd> Meeple allows all team projectiles in the super area to pierce through environments. 20면체 주사위를 굴렸는데 숫자 21이 나오도록 미플이 속임수를 썼습니다. 10초 동안 특수 공격 범위 내 모든 아군의 발사체가 지형물을 관통합니다. |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0 ||<width=25%>사정거리
중거리(?.??타일) ||<width=25%>설명3
수치3 ||<width=25%>설명4
수치4 ||
0 ||<width=25%>사정거리
중거리(?.??타일) ||<width=25%>설명3
수치3 ||<width=25%>설명4
수치4 ||
기타 | |||||||||||||||||||||||||||||||||||||||||||||||||||||||||||||||||||||||||||||||||||||||||||||||||||||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 파워 레벨 | 피해량 | |||||||||||||||||||||||||||||||||||||||||||||||||||||||||||||||||||||||||||||||||||||||||||||||||||
<colbgcolor=#005090> 1 | [스탯]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090> 2 | [스탯]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11 | [스탯] | }}}}}} |
투척 형태로 원하는 지점을 설정해 10초 동안 원형[14] 범위를 생성한다. 범위 안에 있는 벽은 반투명화되며[15] 미플과 팀원들의 투사체 공격을 투과시킨다. 아군의 공격 전체가 아닌 투사체형 공격만 통과가 되어 비비나 버즈 라이트이어 세이버 모드의 기본 공격같은 히트스캔 식 공격은 막힌다. 적군의 투사체는 여전히 막히며, 아군이든 적군이든 투명화된 벽을 지나갈 수는 없다.
특수공격 자체는 벽 통과 효과 외에는 직접적으로 아군이나 적에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것은 이를 잘 활용하는 미플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역량이다. 셰이드의 경우와 비슷하게 적절한 지점에 설치하면 상대의 공격은 막히는데 아군은 사실상 개활지에서 일방적으로 두들겨패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여담으로 브롤볼의 공은 특수 공격의 효과를 받은 벽이라도 통과가 안 되지만, 공을 잡았을 때 특수 공격의 효과를 받은 벽을 통과할 수 있는 것처럼 표시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7.3. 가젯
7.3.1. 미플의 저택(MANSIONS OF MEEPLE)
| <colcolor=#000,#ddd> His next attack creates dice towers around the impact area and deals 1000 damage. 다음 일반 공격이 적중한 영역에 주사위 성벽을 생성해 1000의 피해를 줍니다. |
이 벽은 스프라우트의 특수공격과 같은 판정으로, 죽었을 때 잠시 부여되는 무적 방어막이나 벽을 파괴하는 공격에 닿으면 파괴될 수 있다.
옛날의 안젤로의 1가젯처럼 가젯을 누른 상태로 윌로우의 궁극기에 맞거나 더그의 궁극기에 맞고 부활하면 일반 공격이 벽을 무한 생성하는 버그가 존재했다. 브롤스타즈 팀에서 이와 관련된 점검을 진행하여 현재는 사라졌다. #[17]#
굳이, 벽 설치 용도가 아니어도 광역으로 피해를 주는 점 때문에 1000 체력 이하의 적을 처치할 때도 쓰긴 한다. 다만, 가젯의 파급 효과를 생각하면 딸피인 적이 적의 중요 지역에 있어서 킬도 따고 벽을 설치 하는 게 아니라면 비추한다.
여담으로, 사용한 직후 미플의 몸이 기괴하게 뒤틀린다. 다른 브롤러들도 다음 공격을 강화해주는 가젯을 쓸데 가끔 이상한 모션이 나올때가 있지만, 미플의 경우, 지나치게 과하다.
참고로 대부분의 가젯들이 고정된 피해를 입히고 궁극기 게이지를 충전시키지 않지만, 이 가젯은 피해 기어나 파워 큐브 등으로 피해량이 늘어나고 궁극기 게이지도 소량 충전시켜준다.
7.3.2. 분노의 종료(RAGEQUIT)
| <colcolor=#000,#ddd> He lashes out in rage at nearby enemies, stunning & knocking them back. 차오르는 분노를 이기지 못하고 가까운 적을 공격해 기절시키고 뒤로 밀쳐냅니다. 미플의 HP가 낮을 때 분노의 종료를 사용하면 적을 더 오래 기절시킵니다. |
미플이 주변의 적들에게 분노의 채찍질을 하여 적을 0.01타일 밀쳐내고 0.01초 기절시킨다. 미플의 HP가 적을수록 밀쳐내는 거리가 최대 1.33타일까지 늘어나고 기절의 지속 시간이 최대 1초까지 늘어난다. 사정거리 내에 벽이 있어도 효과가 그대로 적용되긴 하다만, 벽이 없을 때에 확정킬 같은 효과를 내는게 쉽기 때문에 후술 할 벽이 있어야 발동되는 1스파랑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
강력한 CC기인 기절과 넉백을 초광역으로[18] 즉시 발동시킨다는 무시무시한 기술로, 체력이 매우 낮다면 팽의 2가젯과 엠즈의 1가젯을 합친 것보다 방해 효율이 2배 가량 좋으면서도 범위는 훨씬 넓은 종결급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체력이 낮지 않다면 효과가 크게 떨어지며, 미플 자체의 체력도 낮아 체력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매번 그 정도 성능을 낼 수는 없다. 하지만 풀피인 상태에서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아주 잠깐 넉백과 스턴을 걸수 있기 때문에, 메그, 드라코의 탑승이나 프랭크 궁등 선딜레이가 있는 기술을 저지할 수 있으며 스턴도 같이 들어가는만큼 돌진기도 저지할수 있다.[19] 현재 버그로 풀피가 아닌 상태에서 브롤볼 공을 차고 이 가젯을 쓰면 공이 굴러가는 도중 멈춘다. 그렇기에 진의 1가젯, 팽의 2가젯, 샌디의 2가젯, 엠즈의 1가젯처럼 공을 차고 가젯을 써서 상대방을 밀쳐내거나 기절시켜서 골을 넣는게 어렵다. 또한 체공중인 적에게도 효과가 적용되고[20], 광기의 광산 열차 맵 속의 광산 열차까지 없애버릴 수 있는 버그까지 있었다.
또 팽의 2가젯과 비슷하게 일반공격을 사용하고 즉시 가젯을 쓰면 후딜레이가 삭제되어 빠르게 2번째 공격을 넣을 수 있다. 가젯 자체에 스턴,넉백이 붙어있는데다가 일반공격은 유도탄이라서 빗나가기도 힘들다.
시스템 상에서는 스턴 효과가 먼저 들어간 후 넉백 효과가 들어간다.
원문의 'Ragequit'은 '빡종' 정도의 어감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 브롤스타즈의 번역은 은어, 신조어의 사용을 지양하고 있으므로 '분노의 종료'라는 다소 싱거운 표현으로 순화되어 나왔다.
7.4. 스타 파워
7.4.1. 통행금지(DO NOT PASS GO)
| <colcolor=#000,#ddd> When he shoots through the environment, he deals 600 more damage. 지형물을 관통한 발사체의 피해량이 600만큼 증가합니다. |
미플이 궁극기를 이용해 벽을 통과시켜 상대를 공격 시 600 추가 피해를 입히는 스타파워이다.
장판 위에서의 피해량이 만랩 기준 한발당 약 3200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만랩 파이퍼의 최대 사거리 피해량과 겨우 200 차이나는 수치이다. 미플의 일반공격이 유도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한발 한발이 굉장히 위협적으로 바뀌는 셈이다.
7.4.2. 꼼수(RULE BENDING)
| <colcolor=#000,#ddd> His super increases teammates' reload speed by 20%. 치명타가 명중하면, 범위 내 아군의 재장전 속도가 20% 증가합니다.[오역] |
특수 공격 장판 안에 서 있으면 재장전 속도가 20% 빨라지는 심플한 스타파워. 미플 뿐만 아니라 아군의 재장전 속도도 증가시켜준다. 이 스타 파워 효과를 받는 미플은 재장전 속도가 2초에서 1.6초가 되어, 포코, 불, 다이너마이크, 미스터 P, 바이런, 콜레트, 이브, 거스[22]와 재장전 속도가 같아진다.
미플의 매우 느린 재장전 속도를 보완해줌과 동시에 장전 속도가 느린 다른 브롤러들과 궁합도 좋다. 메그의 공구함과 달리 범위도 꽤 넓고 지속 시간도 길기 때문에 훌륭한 버프기로 활용 가능하다. 또 개활지 맵이나 오버 타임 등 벽이 거의 없어 궁극기가 무의미한 상황에서도 특수 공격을 채워야 하는 이유를 만들어주는 스타 파워이다. 다만 미플의 특수 공격은 어디까지나 벽 관통이 메인이기 때문에 자신과 아군이 버프를 받을 수 있으면서 벽 관통 능력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위치에 던져야 한다.
8. 성능
지형지물을 무시할 수 있는 특수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전략적 운영이 필요한 서포트 브롤러로, 잘 쓰면 가두리 양식으로 일방적으로 적을 공격할 수 있으나 반대로 유도도, 지형 관통도 애매한 브롤러로 남게 될 수 있다.특수기는 마치 지형지물을 무시하고 이동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디까지 투사체 관통만 가능하며, 벽을 끼는 상황이나 엄폐하는 상황 속에서 일방적인 딜교를 노릴 수 있고, 1가젯으로 적을 아예 가둬버리거나 고립시킨 채로 특수기랑 연계가 가능하다. 여기에 유도 능력과 겹쳐져 더 높은 명중률을 보장할 수 있다.
다만 그런 이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줘야 할 운영력은 갖춰줘야 한다. 유도 능력도 좋다 싶으면서도 파이퍼의 2가젯 수준의 추적력을 갖춘건 아니라 애매하게 추적하다 마는 경우도 잦고, 스킬셋 자체도 개인보다도 팀에게 더욱 효과적인 구조를 갖춰서 개인이 판을 뒤엎기 보단 그런 무대를 만들어내는 데에 특화된 브롤러이기 때문.
8.1. 장단점
장점 |
|
단점 |
|
8.2. 변천사
브롤토크 공개 당시, 까이던 외형과는 별개로 준수한 성능을 보여줘서 이목을 받았다. 특히 가젯으로 추정되는 주사위 벽이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일반 공격이 유도탄 주제에 딜도 상당해서 사기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수 공격에 대해서는 주사위 벽과 특수 공격인 육각 장판이 같이 나갔고, 중간에 드립을 쳐서 정확히 특수 공격이 뭘 하는지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업데이트 미리보기에서 공개 후, 사기적일 것 같았지만 의외로 꽤 평범해 보인다는 반응이다. 일반 공격의 유도 기능은 미트볼 시절의 콜트처럼 확 꺾이는 것도 아니고, 유도를 대가로 느려터진 재장전 속도를 받았다. 또, 브롤토크에서 처음 공개된 주사위 벽을 생성하는 가젯인 '미플의 저택'은 지속 시간이 고작 4초 정도밖에 안 되고, 벽을 파괴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 공격들이면 쉽게 철거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져 그냥저냥으로 평가받는 중. '분노의 종료' 또한 매우 넓은 범위로 사기성을 의심받았으나, 일부 궁극기(프랭크, 맨디 등)를 캔슬시키거나 거의 죽어갈 때나 생존기로 쓸 만하고, 미플의 최대 체력이 5200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체력 관리가 꽤나 중요해 남발할 수는 없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
성능이 좋지 않다고 인식되었는지, 출시되기 전 체력이 11레벨 기준 5200에서 6000으로 꽤나 많이 상승하고 재장전 속도가 2.3초에서 2초로 빨라지는 버프를 받았다.
출시 후 평은 그리 나쁘진 않다. 다만, 1가젯을 적용한 채로 더그의 특수 능력으로 부활하거나, 상대 윌로우에게 조종당하면, 가젯을 다시 쓰거나 죽기 전까지는 무한대로 주사위 벽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버그 플레이지만 재장전 속도를 올려주는 2스파의 가치가 올라간 것은 덤. 버그를 제외한 성능만 보자면 그 전까지 사기로 나온 브롤러들과는 다르게 적당하다는 평이다. 유도 기능이 좀 까다로운 것은 맞으나 성능이 그렇게까지 좋진 않고, 연속 발사도 좀 느리며 무엇보다 재장전 속도가 느린 것이 흠. 특수 공격은 확실히 좋은 것은 맞으나 다른 브롤러들처럼 게임을 터트릴 한 방을 본인이 쓰는 것이 아니라 그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아쉽지만 좋은 평가를 받는다. 맵에 따라 2~3티어 정도로 평가받는다.
8.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23][24]으로 분류하였다.솔로 쇼다운
솔로 쇼다운에서 미플은 부실한 기본 스탯과 느린 재장전 속도로 인해 상자 파밍이 느리고 쇼다운에서 자주 보이는 근접 어쌔신들에게 매우 취약하며 생존기라고 할 수 있는 가젯도 사용하기 매우 힘들기 때문에[25] 기본적으로 추천되지 않는다.
듀오 쇼다운
솔로 쇼다운과 달리 미플의 나약한 전투력을 보조해 줄 팀원이 있고, 본인의 팀이든 상대팀이든 상관 없이 보통 팀원과 뭉쳐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수 공격으로 여러 변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특히 팀원이 적들을 견제해주는 사이에 본인은 벽 뒤에 있는 적에게 특수 공격으로 프리딜을 넣을 수 있어 매우 비열하고 치졸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팀원도 순간적인 접근에 취약한 브롤러라면, 미플과 팀원 모두 걸어다니는 파워 큐브 상자 신세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 대처력이 좋은 브롤러를 팀원으로 데리고 다니는 것이 좋다.
젬 그랩
장거리 저격수들에게는 사정거리 차이로 얻어맞고, 기동형 어쌔신들에게는 대응력 차이로 당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특수 공격으로 벽을 끼고 있는 투척수나 어쌔신을 물러나게 하거나 원거리 딜러들이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공격을 날려 죽이는 등 여러 변수를 만드는데도 능하다. 특히 불리한 상황일 때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젬 캐리어를 가둬 역전을 노려볼 수 있다.
브롤 볼
기본적으로 브롤 볼에서 미플은 느린 재장전 속도, 낮은 체력 등 저조한 기본 스탯 때문에 존재감이 별로 없어서 초반에는 팀원의 활약에 따라 미플의 성능이 좌우되는 편이다. 하지만 미플이 브롤 볼에 적합한 이유는 가젯 때문이다. 미플의 저택 가젯은 적의 동선을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골을 넣거나 아군 골대가 텅텅 비어 골이 먹힐 거 같은 상황일 때 효과적인 수비를 할 수 있다. 분노의 종료 가젯은 상대방을 잠깐동안 무력화시켜 공격 상황에서 변수를 만들어내거나 공을 들고 아군 골대로 달려드는 상대팀을 일시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하이스트
브롤 볼과 비슷하게, 느린 재장전 속도와 낮은 체력 등 부실한 기본 체급으로 인해 혼자서는 별 활약을 하지 못한다. 특수 공격과 스타파워를 이용해 팀원이 금고에 딜을 넣는 걸 도와줄 수 있어 나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고,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상대를 가두거나, 또는 아군을 보호하거나, 혹은 도탄 능력을 가진 브롤러를 이용해 금고를 털어버리는 등 나름 실전성 있는 예능 플레이도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여전히 스탯이 부족해서 다른 브롤러를 쓰는 게 낫다.
바운티
장거리 저격수들보다 한참 뒤떨어지는 사정거리, 기동형 어쌔신에 비해 낮은 대응력, 근접 브롤러보다 낮은 근접전 능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다른 브롤러들에게 밀리는 스탯을 가지고 있지만, 근중거리 브롤러들 상대로 특수 공격을 채우고 그 특수 공격으로 우위를 점하는 게 가능하다. 저격수의 비중이 이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생각보다 나쁘진 않은 편.
핫 존
가까운 적에게 유도되는 일반 공격, 투사체가 벽을 관통화 시킬 수 있게 하는 특수 공격, 적을 일시적으로 저지시키는 가젯까지, 스킬셋만 보면 핫 존에 매우 적합하다. 하지만 기본 체급이 낮은 편이라 이기고 있는 상황일 땐 승리를 굳히는 것이 중요하다.
녹아웃
요점은 작은 벽을 낀 다음 본인은 일반 공격의 유도 능력으로 적을 일방적으로 맞추고 상대방의 공격은 작은 벽 뒤에 숨어서 피하는 것이다. 적들이 미플로부터 너무 가깝지도, 그렇다고 너무 멀지도 않은, 7타일 정도의 적당한 거리에 위치해 있다면 순수한 일반 공격 싸움은 미플이 대부분 우위를 가져갈 수 있다. 다만 대응력이 떨어지는 미플 특성상 최후의 1인으로 남게 되면 좀 위험해질 수 있다. 그렇기에 전체적인 성능은 좋아도 팀빨을 은근 타는 편.
듀얼
미플의 저택과 특수 공격을 연계해 이동기나 벽 대응 능력이 부실한 브롤러들에겐 재앙과도 같은 존재로 군림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드들과 마찬가지로 장거리 저격수들에겐 사정거리, 기동형 어쌔신들에게는 대응력 차이로 당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상당히 뼈아프게 다가온다. 특수 공격을 어떻게든 채우면 투척수들과 장거리 저격수들을 어렵지 않게 상대할 수 있지만, 특수 공격을 채우려는 목적으로 거리를 내주는 플레이는 리스크가 매우 크다. 그래서 선발주자로부터 사용하지 않은 특수 공격을 양도받아 활용할 수 있는 2, 3픽에 넣는 것이 좋다.
로보 럼블
미플의 스킬셋은 '꼼수' 스타파워를 빼고는 로보 럼블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반 공격이 단일 공격이다 보니 후반부로 갈수록 쌓여가는 물량을 버티지 못하고 국물도 먹지 못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나마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잡몹들의 진입로를 차단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스프라우트의 하위 호환이다.
얘도 클랜시와 비슷하게 많은 모드에 부적합하나 자체 성능 하나만 본다면 어느 맵과 모드에서 평균 이상의 활약을 해낼수 있다. 하지만 맵빨과 팀빨이 좀 있어야 하니 주의.
9.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미플이 상대하기 힘든 브롤러[26]
- 대부분의 어쌔신, 혹은 미플과의 거리를 순식간에 좁힐 수 있는 브롤러: 미플은 특수 공격으로 벽을 관통화시키지만 어쌔신들은 대부분 이동기를 가지고 있어 미플과의 거리를 손쉽게 좁힐 수 있고, 조건부로 지형지물도 무시할 수 있어서 상당히 까다롭다.
- 미플보다 원거리 견제력이 우수하고, 소환물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브롤러: 이들은 미플보다 원거리 견제력이 더 우수한데다, 소환물까지 동원하여 싸우기 때문에 상당히 까다롭다.
- 미플의 사정거리를 상회하며, 벽 대응 능력이 준수한 원거리 브롤러: 이들은 미플보다 사정거리가 길어서 기본적인 교전이 밀리고, 벽 대응 능력이 준수한 경우가 많다.[39] 물론 벽이 좀 있는 맵에서 미플만 특수 공격이 있다면 상성을 뒤엎는 구도가 나오기는 하나 일반적으로는 불리하게 먹고 들어간다.
- 벽 대응 능력이 준수하고 미플보다 중거리 전투력이 더 높은 브롤러: 이들은 벽 대응 능력이 준수하면서도 미플보다 사정거리가 길거나, 미플보다 중거리 전투력이 높아서 상당히 까다롭다. 일부 브롤러들은 미플의 일반 공격에 유도 능력이 붙어있다는 것을 역이용 할 수도 있다.
- 미플이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54]
- 편차가 심한 브롤러
- 생존력이나 유지력이 높지만 기동성이 빈약한 근중거리 브롤러: 미플은 이들을 저지할 저지력이 빈약하지만, 이들도 미플과의 거리를 좁힐 수단이 제한적이라서 서로의 가젯과 특수 공격 유무에 따라 갈린다.
- 미플과 원거리 견제력이 비슷하거나 더 낮지만, 소환물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브롤러: 미플은 일반 공격의 유도 능력 덕분에 명중률이 매우 높아서 견제력이 미플 본인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브롤러들을 상대로 중원거리 싸움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소환물에 매우 취약하여 이들이 소환수를 소환하고 함께 싸우면 상당히 골치 아파진다.[65]
- 미플과 전투력이 비슷한 중원거리 브롤러: 미플은 이들보다 일반 공격의 화력은 상대적으로 저열하지만 유도 능력 덕분에 명중률만큼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
10. 세팅
<rowcolor=#fff> 주요 빌드 | ||
| |
<rowcolor=#fff> 차선 빌드 | |
|
추천 기어 | ||
- 미플의 저택 - 통행 금지 (주요 빌드)
상대를 일시적으로 가둬 라인을 밀고 아쉬운 재장전 속도를 대미지로 밀어 붙이는 조합. 주로 벽이 많을 때 사용된다. 또한 '미플의 저택'이 벽으로 인식되므로 가젯으로 적을 가둔 후 특수 공격을 사용해 적을 공격하면 폭발적인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 미플의 저택 - 꼼수 (주요 빌드)
특수 공격을 사용해 아군의 재장전 속도를 커버해 주는 조합. 적을 가둬서 높아진 재장전 속도로 적을 제압할 수 있다.
- 분노의 종료 - 꼼수 (주요 빌드)
상대팀에 탱커/어쌔신이나 벽을 부수는 능력이 있는 브롤러가 있거나, 개활지에서 스스로 방어하고 특수 공격으로 아군을 보조해 주는 조합. 가젯 + 일반공격으로 확정킬을 낼 수 있고, 상대의 궁이나 CC기[83]를 끊을 수 있어 방어력이 대폭 상승한다. 근접해오는 탱커, 어쌔신에게 약한 물몸인 미플에게 굉장히 강력한 조합.
- 분노의 종료 - 통행 금지 (차선 빌드)
이론상으로는 스타 파워의 대미지 증가, 그리고 CC기인 가젯으로 상대를 제압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벽이 없을 때 최고 성능을 내는 2가젯 하고 벽이 있어야 발동되는 1스파의 궁합이 맞지 않다. 그나마 벽 뒤에서 궁을 깔고 가젯을 켜서 높은 대미지로 제압 할 수 는 있다만, 조건이 너무 복잡해 잘 쓰이지 않는 조합이다. [84]
기어는 미플의 부족한 DPS를 보완시키기 위해 피해 기어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두 개의 좋은 가젯을 보유하고 있기에 나머지 한 칸에는 가젯 추가 기어, 아니면 애매한 체력을 보완 하기위해 보호막 기어도 괜찮다. 부쉬가 많다면 속도 기어도 괜찮다. 시야 기어의 경우, 미플의 일반공격에 있는 유도탄 능력이 적이 부쉬에 숨어도 적의 위치로 공격이 유도되기에 그리 쓸모가 없다.
스타파워는 전반적으로 맵빨을 안타는 2스파가 조금 더 선호되기는 하나, 벽이 많으면 1스파도 괜찮다. 가젯도 취향에 따라 고르면 되나, 전술한 "차선 빌드"만 피하자.
11. 팁
- 한 발 한 발을 소중히
- 1스파 - 특수 공격은 최대한 벽이 많은 곳에서
- 2스파 - 아군과 벽의 위치를 고려하자
12. 추천 조합
- 미플 + 엠즈
- 미플 + 래리 & 로리
13. 스킨
13.1. 기본 스킨
| |||||||||||||||||||||||||||||||||||||||||||||||||||||||||||||||||||||||||||||||||||||||||||||||||||
{{{#!folding 승리 & 패배 모션 | | | |||||||||||||||||||||||||||||||||||||||||||||||||||||||||||||||||||||||||||||||||||||||||||||||||
승리 모션 | 패배 모션 | }}} |
외형에 대해서는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 불호쪽은 너무 단순하게 생긴 건 물론 팬메이드스러운 디자인이라는 평가가 많다. 반면 호평쪽에서는 대체적으로 컨셉을 잘 살렸고, 유니크하면서도 귀엽다는 의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사가 공개된 이후에는 미플과 잘 어울린다는 여론이 많아지면서 현재까지도 불호 여론이 많은 올리와는 달리 이쪽은 외형에 호평을 내리는 유저들도 많아졌다.
승리 시 책을 읽고 글리치를 일으키다 복싱 자세를 취한다.패배 시 몸을 부르르 떨며 책을 내려치다가 글리치 상태가 일어나고 몸살나는 듯한 우울해보이는 표정을 짓는다.
13.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3.2.1. 스트라이크 미플(STRIKE MEEPLE)
| |||||||||||||||||||||||||||||||||||||||||||||||||||||||||||||||||||||||||||||||||||||||||||||||||||
희귀도 | 희귀 | 비용 | |
- 당구공이 아닌 볼링공 얼굴을 하고 있다. 팔도 볼링핀으로 바뀐 모습이다.
14. 업데이트 내역
- 출시 이전
체력이 2600에서 3000으로 증가
'폭탄천국'의 재장전 속도가 2.3초에서 2.0초로 감소
- 2025년 1월 9일
피자 플래닛에 등장
- 패치날짜 불명
분노의 종료가 공중에 있는 적에게 적용할수 없도록 변경
- 2025년 2월 6일
영웅 브롤러로 정식 출시
15. 기타
- 성별이 불명인 듯하다. 물론 him이라고 쓰이긴 했지만 재귀대명사로 themselves가 사용 됐기 때문. 다만 목소리를 맡은 안드레 레피그 성우는 남성이다.
- 찰리 이후 1년 2개월만에 출시되는 컨트롤러 역할군 브롤러이다.
- 천사 vs 악마 이벤트 직전 슈퍼셀 측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서브레딧이 생겼는데, 탭하지 마! 에서 등장한 이미지에 숨겨진 QR 조각을 조립해 접속해야 했고 포스팅의 제목은 탭하지 마! 를 눌렀을 때 나오는 문구와 반대되는 문구들이고, 내용은 특정한 좌표를 가리키고 있다. 해당 서브레딧의 생성자이자 글을 작성한 계정의 이름이 미플이다! 사실상 미플이라는 브롤러에 대한 힌트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서브레딧에 관해 설명하자면, 사전에 trick or treat이라는 힌트가 다른 경로로 제공되었고 해당 서브레딧에서 탭하지 마! 에서 등장하는 문구와 유일하게 일치하는 Gloom and Doom 포스팅에 표기된 좌표인 핀란드 슈퍼셀 본사에 trick or treat이란 힌트에 근거해 직접 방문하면 대문에 하이퍼차지 스타 드롭 1개를 제공하는 바우처 QR이 붙어 있어 획득이 가능했다. 물론 최초 발견 이후 r/brawlstars와 슈퍼셀 공식 sns에도 해당 QR이 문 앞에 붙어있는 사진이 공유되어 모두가 획득 가능했다. 반응은 그야말로 대호평.
- 출시 기념 애니메이션에서는 다른 브롤러들과 쇼다운을 본뜬[87] 보드게임을 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반칙을 즐겨 쓴다는 설정답게 시시콜콜한 규칙을 들먹이며 맨디의 설탕 광선을 불발시키고, 반칙으로 스파이크와 틱을 처치한 후 벽을 뚫는 공격은 자신의 고유 능력이라고 주장하며 다른 브롤러들을 열받게 한다.
근데 게임에서 해보면 맞긴 함하지만 정작 체스터가 미플의 말을 옮기며 정신없이 굴자[88] 규칙 위반이라며 체스터의 말을 날려버린다. 마지막엔 보니에게 허를 찔려 패배하자 이를 인정하지 못하고 폭발하는 추한 모습도 보인다. 애니메이션에서 미플이 보일 때마다 이마에 달린 삼각형의 단어가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플의 캐릭터성과는 별개로 애니 평은 매우 좋은 편. 앞으로 이런 브롤러들 간의 상호작용을 더 다룬 애니들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많다.
- 더그의 부활이나 윌로우의 궁극기를 맞으면 특정 조건에서 1가젯인 미플의 저택을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버그가 있었으나 추후 수정되었다. 쇼다운에서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기에 안고칠수도 없는 노릇.
- 미플의 애니메이션을 보면 머리가 조금 떨리거나 패배했을 때는 몸에 심각하게 글리치가 난다. 또 미플의 인게임 모션을 보면 가만히 있을 때도 몸을 부르르 떨거나, 1가젯을 쓰면 몸이 갑자기 기괴하게 비틀리는 등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인 듯하다.
[1] 피자 플래닛 등장[2] 1월 9일에 출시되긴 했지만 몇몇 유저들에게는 오류로 인해 피자 플래닛 상점에 뜨지 않았고, 결국 11일에 최종적으로 모든 유저들에게 출시되었다.[3] 정식 출시[4] 정확히는 일명 매직8볼이라 불리는, 질문을 하고 흔들어 답을 보는 수정구에 가까운 장난감이다.[5] 아예 대사에 "King of the nerds"라는 대사가 있다.[6] Nice 대신 발음이 비슷한 Dice로 말장난한 것이다.[7] 이 대사 뒤에 마치 돼지가 꿀꿀거리는 듯한 얼빠진 웃음소리를 내서 많은 유저들을 충격에 빠트렸다.[8] 실제로 미플이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셀 측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9] 내추럴 20은 TRPG 팬덤에서 쓰이는 밈인데, 아무런 보정 없이 순수하게 띄운 주사위 값이 최댓값인 20임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단 이걸 띄운 순간 무슨 괴상한 짓을 해도 판정이 성공하기에 플레이어들이 지르는 온갖 창의적인 행동들 자체가 밈이 된 것. 문제는 21이란 수는 무슨 짓을 해도 20면체 주사위에서 띄울 수 없는 숫자다.(...)[10] 특수 공격의 명칭과 같다. 팽과 비슷한 케이스.[스탯] [스탯] [스탯] [14] 얼핏 보면 육각형처럼 생겼지만, 희미한 원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다.[15] 상대편 시점에서는 투명화되지 않고 그냥 투사체가 벽을 뚫는 것처럼 보인다.[16] 가젯+궁쓰면 그냥 갇혀버린 채로 공격받는 셈. 게다가 평타는 사실상 명중이라 총 딜량 7800으로 거의 확정킬 난다![17] 듀오 쇼다운에서 더그와 함께 플레이하여 가운데 벽을 무한생성해서 이길 수 있다.[18] 범위로만 따지면 재키의 특수 공격 수준의 범위이다.[19] 돌진기를 쓰면 넉백 저항을 부여받지만 스턴 저항은 없기 때문에 이렇게 저지되는 것, 때문에 스턴 저항도 같이 받는 물 위에서는 미플의 가젯이 아예 먹히지 않는다.[20] 체공 중일 때 기절되면 그대로 하늘에 떠있게 된다.[오역] 이는 번역 오류로, 실제로는 특수 공격의 범위 내에 있는 아군의 재장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이다.[22] 이들의 정확한 재장전 속도는 황금비, 즉 [math(\displaystyle \varphi = \frac{1 + \sqrt{5}}{2} = 1.6180339887499\ldots)]초로 1.6초인 미플보다 아주 조금 더 느리긴 하다.[23]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24]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25] 미플의 저택 가젯은 조준을 잘 해야 하고, 분노의 종료 가젯은 발동 조건 때문에 안정적인 생존기로 활용하기는 어렵다.[26] 볼드체를 표기한 브롤러들은 팀전 상성도 미플이 불리하다.[27] 미플이 상대하기 가장 어려운 브롤러. 일반 공격과 특수 공격이 모두 체공기라서 미플의 유도 능력을 가진 일반 공격을 손쉽게 피하고 미플을 썰어버린다. 미플의 저택 가젯은 당연하게도 미코에겐 전혀 의미가 없으며, 그나마 분노의 종료 가젯으로 미코의 특수 공격을 취소시킬 순 있지만 그것 뿐이다. 특수 공격도 벽을 뛰어넘는 미코 상대로는 별 위협이 안되는건 덤.[28] 이쪽은 특수 공격이 밀착 메커니즘의 이동기이고, 미플은 일반 공격에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키트에게 특수 공격으로 접근을 허용당하면 그대로 패배한다. 꼭 특수 공격이 아니더라도 종이상자 가젯을 써서 본인을 은신 상태로 만들어 미플에게 몰래 접근하거나 본인에게 불리한 상황을 탈출할 수 있다.[29] 다만 이쪽은 벽에 취약한 쪽에 해당되기 때문에 벽을 잘 활용하면 어느 정도는 상대할 만한 편에 속한다. 다만 대릴은 특수 공격을 두 번 사용할 수 있어 불리한 상황을 회피한 뒤 기습할 수 있고 대릴의 특수 공격은 30초마다 자동으로 충전된다는 점이 있어 보통은 상대하기 어려운 편이다.[30] 에드거가 궁으로 접근하면 근접대응력이 약한 미플은 그대로 죽는다. 그나마 1가젯으로 에드거를 가둔다면 가능성은 있지만 난이도가 매우 어렵기 쉽지않다. 오히려 잘못썼다간 에드거와 같이 갇히는 최악의 상황이 나올수있다. 또한 2가젯으로 밀친다고 해도 에드거가 하이퍼차지를 써버리면 엄청난 속도로 다시 쫓아올수 있기때문에 최대한 에드거가 궁이 차기전에 죽여야 한다.[31] 숙련된 스튜 유저에게는 유도 능력도 잘 안먹힌다. 스튜는 특수 공격이 없고 미플만 특수 공격이 있어야 이길 수 있다.[32] 셰이드가 궁까지 있으면 미플의 1가젯도 무시하고 다닐수도 있기에 어려운 상대다. 게다가 셰이드는 2스파 착용시 미플에게 당하지도 않는다.[33] 일반 공격의 1차 사정거리가 미플과 비슷해서 기본적인 싸움부터 꽤나 까다로운 편인데, 2차로 튕겨서 폭발하는 범위까지 고려하면 미플의 사정거리를 아득히 뛰어넘는다. 특수 공격으로 거점과 짐꾼까지 소환하면 미플은 탄환을 지속적으로 낭비당한다. 짐꾼이 나오는 거점은 이론상 특수 공격을 써서 철거할 수 있지만 보통 거점은 맵 끝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서 철거하기 까다롭다. 미플이 벽 뒤에 숨어서 특수 공격으로 벽을 관통화시켜 공격을 날린다고 해도 미스터 P는 짐꾼 보충 가젯으로 미플을 벽에서 일시적으로 물러나게 할 수 있다.[34] 연사력은 서로 비슷하지만, 사정거리는 러프스가 한참 우위이다. 이 때문에 보통 사정거리 차이로 애를 먹는 일이 많다. 미플이 어찌저찌 러프스와의 거리를 좁힌다고 해도, 미플과 러프스의 근접전 능력은 서로 비슷해서 거리를 좁히는데 성공했음에도 러프스에게 보기 좋게 당할 수 있다. 미플이 딸피인 러프스를 노리려고 해도 엄폐물 가젯에 막혀버린다. 러프스가 보급품까지 먹으면 기본 스펙이 올라가서 더더욱 힘들어진다. 미플이 벽 뒤에서 특수 공격을 이용해 공격하려 해도, 러프스가 공중 지원 가젯을 채용했다면 미플을 벽에서 일시적으로 물러나게 할 수 있다. 제공권 스타파워라면 러프스가 특수 공격으로 미플이 숨어있어야 할 벽까지 파괴해 버리기 때문에 더 어려워진다.[35] 일단 딜교에서부터 엄청난 손해를 보는데, 물 위를 이동하기까지 해서 미플의 저택 가젯이 사실상 안 통한다. 어색한 순서 스타파워라면 첫 타부터 따끔한 딜링이 들어오며 해피 서프라이즈 스타파워라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해츨링에 탄환을 낭비당한다. 이브가 작정하고 특수 공격 + 신화 기어 + 하이퍼차지까지 동원해 해츨링 파티를 벌이면 단일 공격인 미플 입장에서는 아예 답이 없어진다.[36] 적당한 탄퍼짐, 준수한 기본 스탯, 본체의 행동을 따라하는 소환물까지 삼박자를 고루 갖춘 상대로서 미플 입장에선 재앙이나 다름없는 존재다. 미플이 벽 뒤에서 특수 공격으로 공격을 시도해도, 롤라가 대역 가젯을 채용했다면 벽 뒤에 있는 미플을 역으로 혼내줄 수 있다.[37] 느린 이동속도를 대가로 높은 체력, 흉악한 공격력, 준수한 재장전 속도를 얻은 8비트하고는 정정당당히 싸우는게 불가능에 가깝다. 8비트의 이동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을 이용하여 지형물을 끼고 8비트를 공격해 특수 공격을 채워야 한다. 그렇게 특수 공격을 채워서 공격한다고 해도, 8비트가 치트키 가젯을 채용했다면 특수 공격으로 벽 뒤에서 딜을 넣는 미플에게 대항할 수 있어서 더욱 까다로워진다.[38] 8비트와 비슷하다. 팸의 일반 공격은 집탄율은 매우 낮지만 사정거리가 미플보다 길고, 화력도 준수해서 중거리에서는 서로 입히는 유효타가 비슷하다. 이렇게 되면 기본 스탯이 높은 팸이 이기게 된다. 그래서 최대한 특수 공격을 빨리 채우고 벽 뒤에서 공격해야 하는데, 팸이 치유 터렛을 이용한 높은 유지력으로 미플의 공격을 버틸 수 있어 까다롭다. 팸이 엄마의 폭풍 압박 스타파워를 채용했다면 좁은 벽을 끼고 공격하는 미플에게 치유 터렛을 설치해 대항할 수 있다.[39] 벽 대응 능력이 준수하지 않더라도 특수 공격으로 벽을 관통화시킨 미플에게 최소한의 대항 정도는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어렵다.[40] 언뜻 보면 낮은 명중률 때문에 쉬워 보이지만 상당히 까다롭다. 미플은 사정거리가 콜트보다 짧아서 콜트한테 거리를 내주어야 하는데, 콜트는 낮은 명중률에도 불구하고 재장전 속도를 이용해 그냥 억지로 미플을 밀어붙인다. 게다가 콜트가 실버 불렛 가젯과 특수 공격으로 지형물을 모두 밀어버리면 미플은 할 게 없어진다. 미플의 저택 가젯을 써도 즉각적으로 벽을 부숴서 미플에게 대항한다.[41] 전반적으로 콜트와 비슷하다. 이쪽은 도탄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잘못 걸려들면 통통탄을 얻어맞고 그냥 녹는다. 벽에 튕기면 사정거리까지 매우 길어지기에 상대하기 어렵다. 다만 벽을 부수는 능력은 없어서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가두고 특수 공격을 이용해 치졸하게 싸울 수는 있다.[42] 피해량, 연사 속도, 기본 사정거리, 재장전 속도가 모두 맨디에게 밀리며 맨디가 저격 모드까지 발동하면 사정거리가 12타일까지 길어져서 매우 어려워진다. 미플이 벽 뒤에서 특수 공격으로 딜을 넣으려고 해도 맨디가 적과 지형물을 관통하는 특수 공격, 쿠키 부스러기 가젯으로 미플에게 대항할 수 있어 미플이 특수 공격이 있어도 절대 만만히 볼 수 없다.[43] 사정거리가 매우 길고 피해량도 높아서 거리를 좁히기가 버거우며, 특수 공격과 워프 피프 가젯을 사용해 미플에게 기습을 시도하거나 반송 가젯으로 미플의 공격을 한번 막아내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다만 팀전에서 부쉬기습으로 나니와 근접전을 할 경우 미플이 이길 가능성이 높다는 게 그나마 위안이지만, 미플 자체도 딱히 근접전이 강력한게 아니여서 리스크가 크다.[44] 사정거리는 말할 것도 없고 탄속도 빠르다 보니 교전이 일방적으로 밀린다. 부쉬기습을 시도해도 파이퍼가 특수 공격으로 도망칠 수 있다. 미플만 특수 공격이 있어야 승산이 있다.[45] 탄속은 매우 느리지만 사정거리 차이가 크다보니 상당히 어렵다. 지형지물 파괴 능력도 우수해서 미플의 무대를 모두 철거해버리면 할 게 없어진다. 잘 쓰이진 않으나 로켓 스니커즈 가젯으로 미플의 저택 가젯 + 특수 공격 플레이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다. 거리를 좁히면 이길 수 있을 거 같지만, 브록이 로켓 4호기 스타파워를 채용했다면 로켓 4개를 한꺼번에 맞고 그냥 소멸한다.[46] 거스의 벽 대항 능력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지만 일반 공격의 판정이 매우 우수해서 지형지물을 끼고 싸우는 방식이 잘 통하지 않는다. 미플이 특수 공격으로 벽을 관통화시켜도 맞 특수 공격으로 보호막을 생성해 대항할 수 있어 까다롭다.[47] 사정거리가 매우 길며, 진의 특수 공격에 끌려가면 사망 확정이다. 근접전을 시도해도 오히려 미플이 먼저 털린다. 미플만 특수 공격이 있어야 유리한 구도가 나온다.[48] 1vs1 기준으로는 불리하다. 바이런의 벽 대항 능력은 상대적으로 빈약하지만 일단 사정거리가 매우 길어서 접근이 어려우며, 일반 공격의 판정도 매우 좋아서 벽을 끼고 싸우는 방식이 잘 통하지 않는다. 그리고 벽을 넘는 특수 공격을 가졌기에 바이런이 특수 공격이 있다면 안심할 수 없다. 다만 미플만 특수 공격이 있다면 우위를 점할 수는 있다.[49] 벽 대응 능력이 높은 브롤러는 아니지만 미플보다 사정거리가 길고 미플의 저택 가젯을 쓰면 특수 공격을 써서 대항하기에 까다롭다. 물론 오티스의 벽 대응 능력은 상대적으로 빈약해서 벽을 끼고 하는 싸움은 미플이 유리하다.[50] 사정거리가 미플보다 길고 4초가량 끊임없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마주치는 순간 미플은 야무지게 익어버릴 수 있다. 게다가 특수 공격으로 벽 뒤에 기름을 부어 미플을 견제할 수 있고, 춤추는 불꽃 가젯으로 벽 뒤 부쉬에 숨어있는 미플에게 불 맛을 선사한다.[51] 사정거리 자체는 미플이 더 길고 전투력도 엇비슷해 보이지만, 방어 부스터 가젯을 채용한 행크일 경우 미플의 애매한 딜링을 뚫고 접근할 수 있어 상당히 위험하다. 게다가 일반 공격이 벽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팀전에서도 일방적으로 당해주지 않는다.[52] 분노 게이지가 없는 애쉬는 할만 해 보이지만, 썩은 바나나 가젯을 채용한 애쉬일 경우 순식간에 분노 게이지를 얻어서 빠른 이동속도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 벽이 많은 맵이라도 해도 애쉬가 특수 공격의 로봇 쥐들을 총알받이로 활용해서 미플의 어그로를 끈 다음 부쉬기습을 통해 미플을 썰어버릴 수 있다. 특히 미플의 일반 공격은 유도 기능이 있는데 이 때문에 오히려 미플의 일반 공격이 로봇 쥐들에게 모두 유도되어 애쉬를 한 대도 때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53] 여긴 아예 체력이 인 게임 1위여서 미플의 애매한 딜링은 프랭크의 일반 공격 선딜레이만 짧아지게 도와주는 꼴이 될 뿐이다. 팀전에서도 특수 공격으로 지형지물을 깔끔하게 날려버리는건 덤.[54] 미플은 느린 재장전 속도, 낮은 체력, 짧은 사정거리 등 부실한 기본 체급으로 인해 1vs1 기준으로는 유리한 상대가 그리 많지 않다. 그래도 3vs3에서는 미플의 저택과 특수 공격을 연계하는 플레이로 기동성이 극도로 뛰어나거나 벽 대응력이 준수한 어쌔신 브롤러들을 제외하면 실력으로 불리한 상성을 극복할 수 있다.[55] 미플은 장판형 공격 방식을 가진 투척 브롤러들 상대로만 유리한 상성을 지녔다.[56] 사정거리 자체는 미플이 더 길고 대미지도 미플이 더 높지만, 샌디는 일반 공격에 딜레이가 거의 없다시피 해서 중거리에서 미플과 샌디가 싸울 경우 미플의 승리를 장담하기 힘들다. 팀전에서도 미플이 특수 공격을 쓴 자리에 맞 특수 공격을 써서 모래폭풍을 깔아버리면 미플 입장에선 꼼수 스타파워를 활용할 수가 없어지는건 덤. 잘 쓰이진 않지만 수면 유도제 가젯이랑 치유의 바람 스타파워로 유지력을 올릴 수 있기에 더더욱 버겁다. 정리하자면 사정거리 차이로 인해 1대1은 미플이 약간 유리하나, 3대3은 샌디가 더 유리하다.[57] 순수한 전투력은 미플이 우위이긴 하지만 포코가 작정하고 소리굽쇠 가젯과 특수 공격의 힐링을 받고 개돌을 시전하면 도저히 막을 수가 없다. 포코가 특수 공격이 없을 때 빠르게 잡아내는게 핵심.[58] 쉘리는 근접전만 무식하게 강하지 중원거리전은 굉장히 취약한 브롤러라서 거리유지만 잘 하면 쉬울 거 같지만, 미플의 사정거리가 다른 원거리 저격수들처럼 압도적으로 긴게 아니다 보니 쉘리의 중거리 짤짤이도 상당히 아프게 들어오며 쉘리가 집중 사격 가젯을 쓰면 즉발형 일반 공격에서 묻어나오는 화력이 정통으로 들어와서 그냥 녹는다. 특수 공격으로 지형지물을 말끔히 날려버리는건 덤. 밴드에이드 스타파워로 생존력도 올릴 수 있어 상당히 까다롭다.[59] 드라코가 드래곤에 탑승하지 않았을 때는 사정거리 차이로 때려줄 수 있지만, 드라코는 탱커답게 체력이 매우 높고 사정거리도 중거리여서 거리조절에 실패하면 역으로 당하기 일쑤다. 특히 드라코가 드래곤에 탑승하면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받는 피해가 15% 감소해 더욱 답이 없어진다. 하지만 미플이 미플의 저택 가젯을 이용해 드라코를 가두거나 분노의 종료 가젯으로 드라코의 드래곤 탑승을 취소시킬 수 있으며, 팀전에서 드래곤에 탑승한 드라코가 최후의 몸부림 가젯을 켜도 돌격해도 맞가젯으로 대응할 수 있다.[60] 엘 프리모는 기동성을 특수 공격에 크게 의존하고 또한 맞아가며 특수 공격을 채울 수 있는 특성이 있어서, 엘 프리모와의 상성은 가젯의 유무에 따라 편차가 갈리는 편이다. 미플의 저택 가젯일 경우 특수 공격을 채운 뒤 미플의 저택 가젯을 써서 엘 프리모에게 프리딜을 넣을 수 있고, 분노의 종료 가젯이라면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 기습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미플이 가젯을 못 쓰는 상황이라면 엘 프리모의 풀콤보를 맞고 그대로 뻗어버린다.[61] 미플의 부실한 체급으로는 올리를 저지하기 어렵다. 올리는 탱커 중에서 사정거리가 긴 편이라 거리조절을 잘 하지 않으면 올리에게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사정거리 차이로 계속 때리거나 벽을 끼고 싸우면 미플에게도 승산이 있으며, 올리가 특수 공격을 쓸 때 분노의 종료 가젯으로 올리의 특수 공격을 취소시킬 수 있다.[62] 재키와 싸울 때는 이악물고 거리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공기압 부스터 가젯으로 미플과의 거리를 빠르게 좁힐 수 있고 특수 공격으로 미플을 끌어당겨 납작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재키는 벽 뒤 공격도 가능하기 때문에 특수 공격으로 벽을 관통화시킬 땐 벽에서 살짝 떨어져 있는 게 좋다.[63] 제 아무리 더그의 기동력이 최악이라고 해도, 미플 역시 더그를 저지할 저지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마냥 쉬운 상대는 아니다.[64] 특수 공격이 없는 로사는 일반 공격 4번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로사가 특수 공격을 쓰고 돌격하면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가두고 도망치는 방법 밖에는 없다.[65] 다만 이들도 유도 능력이 없다는 거 빼면 전투력이 미플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들과의 상성은 부쉬에서 갑자기 마주치는 등의 특정 상황이라면 소환물을 제외한다고 쳐도 편차가 크게 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6] 특수 공격이 없는 니타는 사정거리 차이로 말려죽일 수 있지만 니타가 특수 공격이 있다면 불리해진다. 다른 원거리 딜러들과 비교하면 미플의 저지력은 생각보다 애매해서 실수로 니타의 특수 공격을 채워 줄 위험이 있는 건 덤. 다만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니타와 곰을 때어놓는데 성공하면 미플이 이길 수 있다.[67] 일반 공격의 명중률은 미플이 압도적으로 우위이지만 그 외의 스탯은 서로 비슷비슷해서 서로의 상황, 특수 공격 여부에 따라 상성이 크게 갈린다. 미플의 최대 사정거리에서 교전이 일어난다면 미플이 일반 공격의 유도 능력으로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부쉬에서 갑자기 마추친다면 일반 공격의 후딜레이 차이로 인해 제시가 미플을 찍어누른다. 미플이 특수 공격이 있다면 벽 뒤에서 제시를 마음껏 때려줄 수 있지만, 제시가 특수 공격이 있다면 에너지 충전으로 터렛을 끊임없이 회복시켜 미플을 난감하게 만들 수 있으니 주의.[68] 미플은 페니를 3방에 없애지만 페니는 미플을 4방에 없애기 때문에 순수한 전투력은 의외로 미플이 우위이다. 그러나 페니가 소금통 가젯을 몸빵용으로 사용하고, 소금통 가젯으로 금화를 터뜨려 미플에게 가공할 폭딜을 선사하면 그대로 녹을 수 있다. 페니의 특수 공격도 까다로운데, 벽 뒤에서 대포알이 날라와 미플에게 치명적인 대미지를 입히기 때문이다. 다만 팀전에서는 페니의 특수 공격을 미플의 맞 특수 공격으로 손쉽게 카운터칠 수 있다.[69] 최대 사정거리 싸움은 미플이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래리가 벽을 끼고 농성하면 조금 힘들어진다. 게다가 투척수 중에서 근접전도 가장 강하다 보니 부쉬에서 마주치면 서로 동귀어진 할 가능성이 높다. 래리가 특수 공격으로 로리를 소환하면 더 힘들어지는데, 로리에게 탄창을 낭비당함은 물론이고 래리와 로리의 협공으로 미플이 감전사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팀전에서는 래리의 벽 뒤 농성을 미플의 특수 공격으로 손쉽게 카운터 칠 수 있다.[70] 타라는 근접전이 상당히 강력하지만 최대 사정거리에선 대미지가 약하게 들어오기에 생각보다 할 만 하다. 그러나 타라가 가젯이나 특수 공격의 스타파워 효과로 그림자를 소환해 접근하면 상당히 까다로워지는데, 일반 공격의 유도 능력이 독이 되어 타라 본체에게 공격이 잘 안 들어가기 때문이다. 특히 타라의 특수 공격에 당하면 끔살 확정이니 특수 공격이 있는 타라는 더욱 조심하자.[71] 기본 사정거리는 짧지만 덤불 속에선 사정리가 굉장히 길어지며, 특수 공격으로 그리그리를 소환해 미플의 탄창을 낭비시킬 수 있어서 까다롭다. 주주의 일반 공격은 착탄 시 즉발이라 근접에서 만나면 미플이 먼저 썰려버리는 건 덤. 중장거리 정도의 사정거리에서 작은 벽을 끼고 있는 주주를 본다면 일반 공격의 유도 능력을 이용해 맞춰야 한다. 물론 팀전에서는 미플의 특수 공격으로 주주의 벽 뒤 농성을 손쉽게 카운터칠 수 있다.[72] 미플의 저열한 기동성으로는 틱의 견제를 뚫어내기가 매우 벅차다. 머리 폭탄 역시 탄창을 유도당하기 딱 좋다. 어떻게든 특수 공격만 채우면 틱의 벽 농성을 카운터 칠 수 있지만 틱 상대로 특수 공격을 채우는 건 쉽지 않다. 3대3일 경우 초반에는 틱이 매우 유리하고, 후반부로 갈수록 미플이 점점 유리해진다.[73] 소환물을 주력으로 사용하지는 않으나 자연의 신비 가젯으로 고기방패를 불러내 미플의 공격을 막고 역으로 미플에게 폭딜을 선사한다. 특수 공격도 벽을 넘어 투척할 수 있어서 방심은 금물이다. 스파이크가 따뜻한 햇살 스타파워를 채용했고 스파이크와의 거리가 중원거리 수준이거나, 작은 벽을 두고 대치 중이라면 미플이 우위를 점할 수 있다.[74] 일반 공격의 화력이 굉장히 강력하지만 탄속이 느려서 상대할 만 하다. 그러나 숙련된 메이지 유저는 상당히 까다로우니 주의.[75] 다이너마이크는 근접전이 매우 취약해서 얼핏 보면 쉬운 상대처럼 보이긴 하나, 숙련된 다이너마이크 유저라면 조금 까다롭다. 화력 하나는 투척수 중에서 가장 강력하기 때문. 다이너점프 스타파워라면 미플의 저택을 탈출할 수 있으며 폭파 스타파워라면 미플이 다이너마이크의 특수 공격에 그대로 폭사당할 수도 있다.[76] 일반 공격의 명중률은 미플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명중률을 제외하고 보면 전체적인 전투력은 서로 비슷비슷하다. 미플 입장에선 그레이가 포탈을 자유자재로 넘어다니며 공격하고 지팡이 가젯으로 벽 뒤에 있는 미플을 끌어와 죽일 수 있어서 상당히 까다롭지만, 그레이 입장에서도 미플의 벽 관통 능력과 벽 생성 능력으로 인해 일방적으로 농락당할 수 있어 미플을 만만히 볼 순 없다.[77] 화력 하나는 끝내주게 강하지만 연사 속도가 빠르지 않은 연발형 공격을 하다 보니 미플이 마냥 불리하지만은 않다. 다만 팀전에서 그리프가 돼지 저금통 가젯으로 적절하게 벽 공사를 하면 특수 공격이 가진 본연의 장점을 활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78] 토큰 1단계의 클랜시는 쉽지만 단계가 올라갈수록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화력도 크게 올라서 상당히 까다로워진다. 특히 3단계의 클랜시에게 물총세례를 잘못 맞으면 그대로 황천길로 가버릴 수 있다.[79] 강화가 안된 0단계의 서지는 사정거리 차이로 그냥 때려주면 되지만 서지가 업그레이드를 할수록 이동속도와 사정거리가 증가해서 상당히 까다로워진다. 특수 공격이 벽을 넘어 점프할 수 있어서 미플의 특수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다. 파워 쉴드 가젯으로 일회성 보호막과 탄창 2개를 얻어 미플을 주스로 끈적하게 만들어버리는건 덤.[80] 사정거리가 길진 않으나 폭발 범위까지 포함하면 미플보다 약간 더 길어진다. 다만 스퀴크도 미플에겐 최대 사정거리 견제를 해야하는지라 미플을 확실하게 잡아내지 못한다. 다만 스퀴크의 가젯들은 둘다 위협적이니 주의. 와인드업 가젯은 잘 쓰이진 않지만 피해량이 강력해서 위협적이고, 불순물 가젯은 미플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하여 스퀴크가 일반 공격을 맞추기 수월해지기 때문에 치명적이다. 미플이 특수 공격으로 벽 뒤에서 공격해도, 팀전이라면 스퀴크가 맞 특수 공격을 써서 미플을 일시적으로 물러나게 할 수 있다.[81] 원거리 교전 능력이 비슷하다. 콜레트는 체력 비례 피해라서 대미지가 아프게 들어오지는 않으나 연사 속도는 콜레트가 더 빨라서 잘못하다간 콜레트의 킬 콤보를 맞고 소멸한다. 다만 콜레트는 벽 대항 능력이 상대적으로 빈약해서 미플이 벽을 끼고 특수 공격을 이용해 싸우거나 미플의 저택 가젯으로 가둬버리는 플레이를 통해 일방적으로 우위를 점할 수 있다.[82] 미플 입장에선 크로우의 일반 공격에 패시브로 붙어 있는 독 대미지가 거슬리지만, 크로우 입장에서도 기본 이동속도로는 피하기 까다로운 미플의 유도 능력이 거슬린다. 사정거리 자체는 크로우가 더 길긴 하나 크로우는 벽 대항 능력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여서 벽을 끼고 하는 싸움은 미플이 우위이다. 하지만 크로우가 작정하고 특수 공격과 하이퍼차지, 가젯까지 모두 동원해서 싸우면 저지력이 부족한 미플은 36계 줄행랑을 칠 수밖에 없다.[83] 대표적으로 메이지, 프랭크[84] 1스파랑은 1가젯이 훨씬 낫다. 2가젯을 쓸거면 2스파를 쓰자.[85] 추가로 래리 & 로리의 극카운터인 에드거도 빠르게 잡을 수 있다.[86] 흔들면 질문에 답해주는 장난감으로, 안에 대답이 적힌 20면체 주사위가 들어있다.[87] 단 보니, 스파이크, 틱, 체스터, 맨디 다섯이선 서로 싸우지 않고 미플 혼자 1대5를 하는 것을 보면 빅게임에 가깝기도 하다. 다섯이서 티밍하는 건 아닐거야...[88] 이름의 발음이 젖꼭지(nipple)랑 비슷하다고 놀리는 건 덤이다. 이는 브롤스타즈 커뮤니티 매니저인 Drew가 미플이란 이름을 제안하자 아트 디렉터인 Fernanda가 계속 nipple처럼 들린다고 놀린 일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이후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슈퍼셀 내부에서도 미플의 별명이 nipple로 굳어진 모양이다(...)[89]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생긴다.[90] 그러나 유사한 버그가 신규 브롤러에게서 나타났다. 역시 버그스타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