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9:23:06

뱀 공포증


공포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555555> 숫자 <colcolor=#000000,#ffffff>숫자 4 · 숫자 13 · 숫자 17
인물 (외적) 광대 · 남성 · 대인 · 여성 · 외국인 · 사회 · 히잡
인물 (내적) 기독교 · 동성애자 · 무신론자 · 이슬람 · 채식주의자 · 창녀
공간 고소 · 광장 · 무대 · 비행 · 심해 · 폐소 · 학교 · 화장실
행동 공포 · 구토 · 전화 · 배움 · 살인 · 스마트폰 금지 · 주사 · · 죽음
대상 거미 · 길이가 긴 단어 · · 시체 · 유령 · 첨단 · · 화학 ·
}}}}}}}}} ||

1. 개요2. 오해3. 원인4. 증상5. 치료

1. 개요

Ophidiophobia / -
에 대한 공포증.

2. 오해

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는 것은 성인이나 어린이나 평범하지만 공포증을 가지는 것과는 다르다. 뱀에 대한 두려움은 매우 흔하다. 성인 기준 절반 정도가 뱀을 마주치면 두려움이나 공포감, 불안감을 느낀다. 그러나 뱀 공포증은 성인 인구의 약 2~3%[1]가 가지고 있으며 공포 증세가 너무 심해 생활에 지장이 생길 정도이다. 이는 불안장애로 취급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 뱀 공포증일 수 있으니 심리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3. 원인

가장 큰 원인으로는 뱀으로 인한 트라우마[3]가 있으며 주변인(특히 가족)이 뱀 공포증이 있어서 환경적 영향을 받은 경우, 유전적 원인[4] 등이 있다.

4. 증상

앞서 설명한 대로, 뱀에 대한 두려움과 뱀 공포증은 심리학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5. 치료

만약 뱀 공포증이 사회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치료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딱히 치료는 필요 없다. 치료를 할 경우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90%의 환자는 공포증을 극복한다. 노출 치료[5]나 약물 치료 요법을 많이 사용한다.
[1] 이 수치도 다른 공포증들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2] 실제로 뱀을 만나는 것이 아닌 그림, 사진, 인형 등으로 뱀을 마주치는 경우.[3] 뱀에게 물리거나 독에 중독된 적이 있는 경우. 특히 어린이 시절에 트라우마를 갖게 되면 뱀 공포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붕뚫고 하이킥의 정보석이 대표적인 예.[4] 부모가 뱀 공포증이 있을 경우 자식에게 유전되기도 한다.[5] 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뱀 관련 책을 읽게 하거나 뱀 사진을 보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물론 전문가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잘못될 경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