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cd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담양 송강정(
1.#26 나대용생가및묘소
[1] 명승 제57호로 승격[2] 사적 제384호로 승격[3] 사적 제304호로 승격[4]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변경[5]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변경[6] 사적 제381호로 승격[7] 천연기념물 제489호로 승격[8]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승격[9] 사적 제392호로 승격[10]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호로 지정변경[11]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4호로 지정변경[12]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126호로 지정변경[13]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변경[14]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변경[15] 명승 제34호로 승격[16]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9호로 지정변경[17]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변경[18] 명승 제5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정운충신각
[19] 명승 제90호로 승격[20] 사적 제353호로 승격[21] 명승 제112호로 승격[22]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6호로 지정변경[23]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7호로 지정변경[24] 천연기념물 제483호로 승격[25] 명승 제89호로 승격[26]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변경[27]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변경[28]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변경[29]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2호로 승격[30]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변경[31] 천연기념물 제430호로 승격[32]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변경[33]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곡성도림사계곡
1.#126 전왕온의묘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함평금산리방대형고분
1.#176 무안용정리곰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나주장춘정
1.#226 화순 운월리 및 도장리 지석묘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5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cd00><tablebgcolor=#fff,#1C1D1F> | |
<colbgcolor=#ffcd00><colcolor=#000,#ddd> 벌교고읍리은행나무 筏橋古邑里銀杏나무 | ||
소재지 | 전남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 799번지 | |
소유자 | 보성군 | |
관리자 | 보성군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 |
수량/면적 | 1주 | |
지정연도 | 1994-01-31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 |
소재지 | |
소유자 | |
관리자 | |
분류 | |
수량/면적 | |
지정연도 | |
해제연도 | 1993-04-16 |
해제사유 | 보존가치를 상실함. |
|
1. 개요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에 위치한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전)90호였으며, 지정해제된 이후 전라남도 기념물 제147호로 지정되었다.2. 상세
70년대의 벌교의 은행나무 |
2.1. 천연기념물 지정해제와 전라남도 기념물 지정
80년대에 주민이 치성을 드리기 위해 켜놓은 촛불이 나무에 옮겨붙어 불에 타고 만다. 비록 나무가 완전히 죽지는 않았으나 원줄기 대부분이 소실되고 가지들이 고사해서 원형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이에 당시 문화재청은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가 상실되었다고 판단해 1993년에 천연기념물에서 지정해체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94년에 전라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는 나무 내부를 시멘트로 채워두었고, 나무 밑동에서부터 많은 맹아들이 상당히 크게 자라나서 지저분해보인다. 천연기념물이 아니라서 그런지 매우 협소한 공간에 자라고 있다.
3. 외부링크
4. 전라남도 기념물 제147호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벌교 고읍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40m, 둘레가 10m였으나, 원줄기가 불타고 밑에서 새로 난 싹이 자라 원줄기와 가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가지에서 발달한 혹 같이 생긴 유주(乳柱)가 특색이다. 유주는 일종의 뿌리가 기형적으로 변한 것이라고 여겨지며 일본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것으로, 천연기념물인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와 더불어 특이한 현상으로 보여진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신성시 여겨 매년 음력 정초에 치성을 드리는데, 선출된 제관(祭官) 외에는 제사 지내는 날 밤에 외출을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어느 해 제사가 끝난 뒤, 켜 놓은 촛불이 나무로 불이 붙어 불탄 가지가 옆집에 떨어져 집이 타기 시작하자 비로소 주민들이 밖으로 나왔다고 한다. 이때 은행나무 밑부분이 탔으나, 죽지 않고 다시 싹이 자라 지금의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이 나무는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특이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유주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에서는 신성시하는 나무로 보호되고 있다. 또한 이 나무의 가지를 삶아서 먹으면 해소병에 낫는다고 믿고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벌교 고읍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40m, 둘레가 10m였으나, 원줄기가 불타고 밑에서 새로 난 싹이 자라 원줄기와 가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가지에서 발달한 혹 같이 생긴 유주(乳柱)가 특색이다. 유주는 일종의 뿌리가 기형적으로 변한 것이라고 여겨지며 일본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것으로, 천연기념물인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와 더불어 특이한 현상으로 보여진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신성시 여겨 매년 음력 정초에 치성을 드리는데, 선출된 제관(祭官) 외에는 제사 지내는 날 밤에 외출을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어느 해 제사가 끝난 뒤, 켜 놓은 촛불이 나무로 불이 붙어 불탄 가지가 옆집에 떨어져 집이 타기 시작하자 비로소 주민들이 밖으로 나왔다고 한다. 이때 은행나무 밑부분이 탔으나, 죽지 않고 다시 싹이 자라 지금의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이 나무는 서울 문묘의 은행나무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특이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유주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에서는 신성시하는 나무로 보호되고 있다. 또한 이 나무의 가지를 삶아서 먹으면 해소병에 낫는다고 믿고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