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밀링 머신
'''[[기계공학|기계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기반 학문 | |
물리학{고전역학(동역학 · 정역학(고체역학 · 재료역학) · 진동학 · 음향학 · 유체역학) · 열역학} · 화학{물리화학(열화학) · 분자화학(무기화학)} · 기구학 · 수학{해석학(미적분학 · 수치해석 · 미분방정식 · 확률론) · 대수학(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통계학} | ||
공식 및 법칙 | ||
뉴턴의 운동법칙 · 토크 · 마찰력 · 응력(전단응력 · 푸아송 비 · /응용) · 관성 모멘트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이상 기체 법칙 · 차원분석(버킹엄의 파이 정리) | ||
<colbgcolor=#CD6906,#555> 기계공학 관련 정보 | ||
주요 개념 | 재료(강성 · 인성 · 연성 · 취성 · 탄성 · 경도 · 강도) · 백래시 · 피로(피로 파괴) · 페일 세이프(데드맨 스위치) · 이격(공차 · 기하공차) · 유격 · 자유도 · 방열 · 오버홀 · 열효율 · 임계열유속 · 수치해석(유한요소해석 · 전산유체역학 · 전산응용해석) | |
기계 | 공작기계 · 건설기계 · 농기계 · 수송기계(자동차 · 철도차량 · 항공기 · 선박) · 광학기기(영사기 · 카메라) · 로봇 · 시계 | |
기계설계·기계제도 | 척도 · 표현 방식(입면도 · 단면도 · 투상도 · 전개도) · 도면(부품도 · 제작도 · 조립도) · 제도용구(제도판 · 샤프 · 자 · 삼각자 · 컴퍼스 · 디바이더 · 템플릿) · CAD | |
기계요소 | 하우징 · 결합요소(나사 · 리벳 · 못 · 키 · 핀) · 동력 전달 요소(베어링 · 기어 · 톱니바퀴 · 체인 · 벨트 · 도르래 · LM · 가이드 · 볼스크류 · 축 · 슬리브 · 커플링 · 캠 · 크랭크 · 클러치 · 터빈 · 탈진기 · 플라이휠) · 관용 요소(파이프 · 실린더 · 피스톤 · 피팅 · 매니폴드 · 밸브 · 노즐 · 디퓨저) · 제어 요소(브레이크 · 스프링) · 태엽 · 빗면 | |
기계공작법 | 공작기계(선반(범용선반) · 밀링 머신(범용밀링) · CNC(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가공준비기능 · CAM)) · 가공(이송 · 황삭가공 · 정삭가공 · 드릴링 · 보링 · 밀링 · 워터젯 가공 · 레이저 가공 · 플라즈마 가공 · 초음파 가공 · 방전가공 ) · 공구(바이트 · 페이스 커터 · 엔드밀 · 드릴 · 인서트 · 그라인더 · 절삭유) · 금형(프레스 금형) · 판금 | |
기관 | 외연기관(증기기관 · 스털링 기관) · 내연기관(왕복엔진(2행정 기관 · 4행정 기관) · 과급기 · 가스터빈 · 제트 엔진) · 유체기관(풍차 · 수차) · 전동기 · 히트펌프 | |
기계공학 교육 · 연구 | ||
관련 분야 | 항공우주공학 · 로봇공학 · 메카트로닉스 · 제어공학 · 원자력공학 · 나노과학 | |
학과 |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로봇공학과 · 금형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기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 |
과목 | 공업수학 · 일반물리학 · 4대역학(동역학 · 정역학 · 고체역학 · 유체역학 · 열전달) · 수치해석 · 프로그래밍 · 캡스톤 디자인 | |
관련 기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
자격증 | ||
기계제작 계열 |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 |
산업기사 및 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조립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 일반기계기사 | ||
기능장 및 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 기계기술사 | ||
항공 계열 | 기능사 항공기정비기능사 ·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 | |
산업기사 및 기사 항공산업기사 · 항공기사 | ||
기능장 및 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체기술사 | ||
기타 |
화천밀링 | 남선시즈오카밀링(남선기공) | 통일밀링(세일, S&T) |
1. 개요
범용밀링 / Universal mill / Manual mill보통 밀링이라 하면 바로 이 범용밀링을 뜻한다. 그래서인지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실기시험에서도 출제의도가 이쪽을 거의 중점적으로 본다 CNC 밀링과 달리 수동 조작이다.
2. 구조와 구성
범용 밀링의 생김새는 선반을 세운 것과 비슷하다. 흔히 선반과 함께 밀링머신을 설명할 때 많이 하는 말로, "선반은 공작물이 돌지만 밀링은 공구가 돈다"는 말이 있다.
테이블의 좌우 이송이 가능하고 새들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며 니의 상하 이송이 가능하다. 한마디로 XYZ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퀼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약 150mm정도 드릴링이나 보링작업이 가능하다. 밀링 헤드의 좌우 틸팅이 가능하여 좌우 -45~45도 사이로 헤드를 회전시켜 가공이 가능하다. 밀링 램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여 공작물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가공이 가능하다.[1] XYZ축은 핸들을 돌려 수동이동이 가능하고 자동이송 레버를 조작하면 자동이송이 가능하다. 급이송 같은 경우 급이송 레버나 버튼을 누르는 동안 최대속도로 이송을 시킨다.
일반적으로 2호기는 NT40번 테이퍼 규격을 사용한다. 공구를 구매할 때 40번 공구를 사야한다.
범용밀링중 복합식은 수평밀링 수직밀링이 합쳐진 형태이다. 현장에서는 범용밀링을 수직밀링이라 부르기도 하며 이는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는 다르다. 학교에선 수직밀링, 만능밀링이 다른 종류라 가르치기 때문에 혼동이 될 수 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수직밀링은 현장에서는 멍텅구리밀링이나 각치기밀링이라 부르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만능밀링은 현장에서는 밀링, 수직밀링, 범용밀링이라 부른다.
멍텅구리밀링은 NT50번대 규격을 사용한다. 또한 주축 모터 마력도 5마력으로 힘이 범용밀링보다 세다. 하지만 여러 가지 가공에는 부적합한 편이다.
주축은 75~3600rpm이 가능하며 복합식의 수평축(호라이즌탈)은 보통 1400rpm 까지 가능하다. 멍텅구리같은 경우는 2000rpm을 넘지않는다. 주축을 정지시키고 벨트를 풀어 rpm조정이 가능하고 그후 저속 고속 기어로 추가 변속이 가능하다.
밀링 작업은 선반과는 달리, 센터를 맞출 필요가 없다.[2] 그렇다고 대충 세팅해도 된다는 건 아니고, 테이블의 수평+테이블과 회전축의 수직을 맞춰야 한다. 권장 수치는 1m당 0.02mm 이하. 하지만 얇은 공작물의 경우 평행자에 물려서 가공을 한다. 센터를 맞출 필요가 없는 대신 직육면체의 직각이 굉장히 중요한데, 처음 밀링머신을 하는 경우에는 직각 맞추다가 시간도 다 가고 직각도 못 맞추는 경우가 많다. 앞에서 테이블의 수평과 회전축을 맞추는 이유가 바로 이것. 기계가 세팅이 잘되어있으면 나머지는 작업자의 숙련도 문제.
밀링에서의 공구는 평면을 치는 페이스 커터와, 홈을 가공하는 엔드밀 등이 있다.
3. 가공 노하우
밀링 작업을 할 때 선반 작업과 같이 장갑을 착용하면 안된다. 선반과 달리 브레이크가 없기에 높은 RPM에 장갑이 걸리게 된다면 손이 빨려들어가 심한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 [3] 사실 학교 등 교육기관의 정석적인 교육은 장갑류의 사용을 금하지만, 실무현장에서는 손에 꽉 맞는 가죽제 장갑이나 목장갑을 사용하기도 한다.이는 작업 환경의 차이다. 교육기관의 실습은 여러 공구를 교체, 확인 등 작업 외의 행동이 많아 공구 근처로 손의 동선이 지나갈 일이 많지만, 실무현장은 일정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함으로 공구 근처로 손의 동선이 지나갈 일이 없으며 그렇게 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손에 묻는 기름과 핸들, 레버, 스위치 등 반복적인 기계사용으로 손에 피로가 가해져 작업의 능률 저하를 발생시키므로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다.
보통 밀링 작업시 디지털 카운터(디지털 스케일)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한다. 해외에서는 디지털 리드아웃이라 한다. 기어자체가 백래시가 있으므로 마이크로칼라[4]로 가공하는 건 정밀도가 떨어지며 절대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디지털이 있어야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진다.[5]
범용 밀링은 칩이 많이 날아오기 때문에, Y축[6]을 잘 조정해서 가공해야 한다. [7]
밀링 엔드밀 작업을 할 때 상향 절삭과 하향 절삭을 주의해야 하는데 엔드밀을 가공할 때 하향 절삭으로 가공하게 되면 엔드밀 날이 쉽게 부러진다. 사실 엔드밀 작업 시 중요한 것은 상향/하향인가 하는 것보다 절삭량이다. 엔드밀 날 전체가 2mm 절삭하는 것과 엔드밀 끝만 5mm 절삭하는 건 후자가 엔드밀 부하가 훨씬 적다. 엔드밀 날이 수만 원에서 수십만 원 정도니 가공할 때 주의해야 한다.
4. 기타
국내에는 화천, 남선, 통일이 알아주는 메이커로 존재한다.[8] 이 외에도 기흥, 평화, 흥환, 청송, 대일 등의 밀링이 존재한다. 기흥같은 경우는 대형밀링으로 알아준다. 통일은 세일에서 S&T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들 중 화천을 공업고등학교에서도 교육용으로 사용할 만큼 제일 최고로 쳐준다.[1] 일반적으로 가장많이쓰이는 2호기의 경우 X로 약 700 Y로 약 300 z로 약 400 정도의 이송이 가능하다.[2] 선반은 공작물이 돌고 공구가 고정 상태에서 이송하여 절삭하는 방식인 반면, 밀링은 커터 날이 회전하며 공작물이 고정되어 있고, 테이블로 공작물을 이송시키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반대다.[3] 손만이 아니라 팔, 어깨 심지어 전신에 부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4] 이송핸들에 붙은 눈금[5] 디지털은 몇개의 축에 장착했냐에 따라 1축 2축 3축 등으로 불리고 퀼에도 디지털이 붙어있으면 4축이라 한다. 보통 3축은 필수로 본다.[6] 전후 이송[7] 선반처럼 칩이 뭉쳐 나오는 게 아니라 칩이 두껍고 작게 나와 안경을 끼더라도 칩이 눈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보안경을 쓰는 게 좋다. 그리고 칩이 사방으로 흩어져서, 옷 안에 들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게다가 묘하게 뜨거워서 목으로 들어가면 대참사.. 거기에 고가의 아웃도어 옷을 입었다면 바로 옷에 구멍이 뚫린다. 진짜 조심하자[8] 해외에서는 스토닉(stonic)이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