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2:41:16

히트펌프

지구 온난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900><colcolor=#fff,#ddd> 발생 원인 <colcolor=#000000,#ffffff>온실가스 (이산화 탄소 · 메탄) · 프레온가스 · 냉매 · 계획적 구식화 (일회용품)
예상 문제 <colbgcolor=#900><colcolor=#fff,#ddd> 환경 해수면 상승 · 해양 산성화 · 환경 문제 · 기후불안증
멸종 인류멸망 (에코 아포칼립스 · 페름기 대멸종홀로세 대멸종 · 팔레오세-에오세 극열기)
해결 수단 기술 기후공학 (탄소 포집) · 대체에너지 (에너지 저장 체계 · 수소경제 · e-Fuel · 핵융합 발전 · 히트펌프) · 대체육 · 유전공학 · 환경공학
제도
실천주의
탄소금융 · 탄소 중립 (탄소중립기본법) · 유럽 배출가스 기준 · 재활용 · 분리수거 · 플로깅 · 그린뉴딜 (한국판 뉴딜) · ESG · RE100 (CFE) · 환경 운동 · 지구의 날
공식 기구 유엔 내 국제연합(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 · 유엔환경계획(UNEP) (몬트리올 의정서 · 세계 환경의 날) ·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FCCC COP) (교토 의정서 · 파리협정 · 국가결정기여온실가스감축목표(NDC) ·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 기후변화정부협의체(IPCC) (공통사회경제경로(SSP)) · 세계기상기구(WMO) ·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 녹색기후기금(GCF) ·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유엔 밖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에너지기구(IEA) · 환경지표) ·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 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P4G) · 도시기후리더십그룹(C40) · 언더2연합
국내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 국가녹색기술연구소(NIGT) · 한국국제협력단(KOICA)
비영리 단체 국제 녹색당 (글로벌 그린스) · 세계자연기금 · 그린피스 · 씨 셰퍼드 · DxE · PETA · 지구의 벗 ·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
국내 한국 녹색당 · 환경운동연합 · 녹색연합 · 에너지전환포럼 · 기후변화센터
관련 이념 생태주의 (녹색 정치 · 에코파시즘 · 에코페미니즘) · 채식주의 · 동물권 · 금욕주의 (맬서스 트랩) · 이기주의 (비동일성 문제 · 공유지의 비극 · 사회적 태만)
기타 환경운동가 · 기후난민 · 기후변화 · 친환경 · 생태학 · 지구과학 · 그린워싱 · 지구 온난화 허구설
}}}}}}}}} ||

'''열역학 · 통계역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 개념 <colbgcolor=#FFF,#111><colcolor=#000,#fff>열역학 법칙{열역학 제1법칙(열역학 과정) ·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 질량 보존 법칙 · 에너지 · 물질 · 온도(절대영도) · 압력 · (비열 · 열용량) · (일률) · (반응계 · 고립계) · · 밀도 · 기체 법칙{보일 법칙 · 샤를 법칙 · 게이뤼삭 법칙 · 아보가드로 법칙 · 이상 기체 법칙(이상 기체)} · 기체 분자 운동론
통계역학 앙상블 · 분배함수 · 맥스웰-볼츠만 분포 · 페르미-디랙 분포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 맥스웰-볼츠만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페르미온 응집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복잡계(카오스 이론) · 흑체복사 · 브라운 운동 · 역온도 · 위상 공간
열역학 퍼텐셜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자유 에너지(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 깁스 자유 에너지) · 란다우 퍼텐셜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현상 현상 가역성 · 화학 퍼텐셜 · 상전이 · 열전달{전도(열전도율 · 전도체) · 대류 · 복사} · 판데르발스 힘 · 열처리 · 열량(칼로리) · 네른스트 식 · 물리화학 둘러보기
열기관 내연기관 · 외연기관 · 열효율(엑서지) · 열교환기(히트펌프) · 카르노 기관 · 영구기관 · 열전 소자
관련 문서 화학 둘러보기 · 스털링 근사 · 전자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기계공학 · 화학공학 · 정보이론 · 맥스웰의 악마 · 볼츠만 두뇌 · 에르고딕 가설 · 브라질너트 효과 }}}}}}}}}

1. 개요2. 종류
2.1. 목적에 따른 분류2.2. 수단에 따른 분류2.3. 원리에 따른 분류2.4. 구성에 따른 분류2.5. 온도에 따른 분류
3. 성능 및 효율4. 지구 온난화 해결수단으로서의 정책 연혁5. 유관기관6. 기타

1. 개요

특정 장소의 열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기계로 냉동 기관이라고도 한다. 열기관과 반대 작용을 하며 열은 열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르는데, 히트펌프는 이를 거슬러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퍼올리는 장치다.

2. 종류

2.1. 목적에 따른 분류


2.2. 수단에 따른 분류

2.3. 원리에 따른 분류

대학 학부과정으로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나 화학공학과의 열역학에서 배울 수 있다.

2.4. 구성에 따른 분류

주로 마케팅적으로 특정 구성요소를 강조하여 호칭을 붙이는 경우들이다.

2.5. 온도에 따른 분류

18~26℃(에어컨, Air conditioner), -100~4℃(냉장고, Refrigerator), 26~140℃(히트펌프, Heat pump)로 사용하는 목적과 생산하는 온도영역별로 나누어, "따뜻한 공기와 물을 만들어내는 목적"에 한정해서 좁은 의미로 히트펌프라고 하기도 한다.

3. 성능 및 효율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난방능력이 소비전력보다 큰 것을 보고 히트펌프의 '열역학적 효율'이 100%를 넘는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열역학 제1법칙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듯이 물리적인 효율은 절대 100%를 초과할 수 없다. 흔히 홍보에서 언급되는 100% 이상의 '난방 효율'이 가능한 것은, 전체를 닫힌 계로 취급하지 않고 외부 환경을 논외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이때 아래 그림에도 있는 것처럼 투입한 에너지에 비해 대상계에 공급되는 열의 총량이 더 높기 때문에 100% 이상의 숫자가 언급되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외부 환경의 열이 소모된다.

그렇기 때문에 히트펌프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열효율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 성능계수(COP, Coefficient of Performance)를 이용한다. COP는 투입한 에너지 대비 얻은 효용으로, 냉방이 목적인 경우에는 냉방부하/투입전력, 난방이 목적인 경우에는 난방부하/투입전력으로 계산한다.
파일:cop5.png
"COP = 5"의 의미

순간의 COP보단 일정 기간 전체의 평균값이 더 중요하므로, 계절난방성능지표 (SCOP, Seasonal coefficient of performance), 계절에너지효율등급 (SEER, Seasonal Energy Efficiency Ratio), 기간에너지소비효율 (SPF, Seasonal performance factor), 생애주기환경평가 (LCCP, Life Cycle Climate Performance) 등의 지표들도 있다.

여담으로, 여름철 냉방이 시원찮다면 실외기에 물을 뿌리거나 통풍을 막지 않는 한에서 그늘을 만들어주는 것이 성능을 높이고 전기를 아끼는 팁이 될 수 있다. 히트펌프는 응축기-증발기의 온도 차가 클수록 효율이 떨어진다. 여름철 외부 온도가 뜨거워지면, 열을 방출하기 위해 실외기는 그보다 더 고온이 되어야 하고, 히트펌프의 온도 차가 커지면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 2017년 기사

위에서 설명하듯이 COP는 가변적이다. 크게 장비규모, 온도차, 대류 세가지 영향을 받으며 장비규모에 비해 에너지투입량이 많으면 COP가 떨어지고 적을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장비규모를 키우고 적절한 온도차를 가진곳에 배치하며[14] 팬을 이용해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외에도 에너지변환 과정을 최소화 하는 방법도 있다. 가령 도선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만들어 동력을 만들고 이 동력으로 마찰력을 이겨내면서 기체를 밀어내 대류와 압축과 팽창을 만들면 중간과정에서 많은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만 반도체를 이용해서 온도차를 만들면 손실이 줄어든다. 다만 이렇게 해서 늘릴수 있는 효율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저렴한것으로 장비규모를 키우는게 일반적이다. 기업용으로 납품되는 거대한 히트펌프의 경우 COP가 12를 넘기도 한다.
이 사실에서 한가지 깨달았겠지만 에어컨을 계속 켜두고 있어야 전기를 덜 먹는것도 같은 이유이다. 가동시간이 짧아지면 그만큼 짧은시간내에 공기를 차갑게 하기위해 출력을 높일수밖에 없고 장비규모는 동일한데 출력이 올라갔으니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 하지만 계속 켜놓을경우 저출력으로 높은 COP를 이용해 냉각시킬수 있으며 한번 냉각된 공기는 밀폐만 잘 되어있다면 계속 유지되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오른다.

이론상 최고 효율을 가지는 히트펌프는 역 카르노 사이클을 따르는 카르노 냉장고이다. 이 때 COP는 아래와 같이 절대온도의 비율과 열 이동량의 비율이 같다.
[math(\begin{aligned} {\rm COP_H} &= \frac{Q_{\rm H}}W = \frac{Q_{\rm H}}{Q_{\rm H}-Q_{\rm C}} \\ &= \frac{T_{\rm H}}{ T_{\rm H}-T_{\rm C}} \\ &= 1+\frac{T_{\rm C}}{T_{\rm H}-T_{\rm C}} \\
{\rm COP_C} &= \frac{Q_{\rm C}}W = \frac{Q_{\rm C}}{Q_{\rm H}-Q_{\rm C}} \\ &= \frac{T_{\rm C}}{T_{\rm H}-T_{\rm C}} \end{aligned})]

4. 지구 온난화 해결수단으로서의 정책 연혁

5. 유관기관

기업으로 가정용은 대한민국-중국이, 상업용은 미국-일본이 앞서 있다.
전시회 순위로 미국 AHR EXPO(시카고) > 중국 제냉전(상하이) > 독일 IKK칠벤타(프랑크푸르트) > 한국 HARFKO(일산 KINTEX)
에어컨 시장의 점유율이 각국의 영향력을 만든다. 한국은 4대 히트펌프 시장 겸 전시회를 가졌다고 어필한다.

기구 및 학회
표준 및 인증 및 자격증
언론 및 잡지들은 당연히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

6. 기타


[1] 수소, 헬륨, 산소, 질소, 이산화 탄소 등의 액화[2] 연료전지의 경우 난방 시 내연기관에서 쓰던 냉각계통을 그대로 쓸 수 있는점에 전비(電比)가 떨어지는 일은 거의 없는 게 반론이다.[3]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여름철 냉방을 하는 점은 변함이 없다.[4]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약 15%가 넘어가면 과잉생산 전기를 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컨대 제주도에서 2020년 생산된 신재생에너지 90% 가까이가 버려졌다. # 하지만 이 전력을 배터리로 저장하기엔 세계적으로 배터리가 너무 많이 필요하다. 전세계 배터리 업체들은 전기차를 생산하기도 벅차다.[5] 최신 함정이나 개수가 된 함정은 전기온수기를 쓴다.[6] 휘발유, 경유, 중유 등[7] LNG, LPG, 수소 등[8] 내연기관 자동차나 철도차량처럼 주기적으로 엔진오일을 갈아 주어야 하고 기름, 가스, 연탄, 화목보일러/온수기처럼 배기가스를 내보낼 연통도 필요하다. 법률상 대한민국 배출가스 규정, 유럽 배출가스 규제 적용대상이 된다.[9] 난방용이라면 공기, 온수용이라면 물[10] 이상적인 히트펌프의 경우 응축기의 입구부터 출구까지 상전이만을 거치므로 온도가 변화하지 않고 입구에서의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11] 이상적인 히트펌프라면 팽창밸브에서 냉매의 엔탈피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므로, 팽창밸브 출구에서 냉매의 엔탈피는 팽창밸브 입구에서의 엔탈피와 동일한 값이 되며, 감압된 상태에서 동일한 엔탈피를 가지기 위해서는 냉매의 건도(기체상태인 냉매량과 전체 냉매량의 비)가 증가하게 된다.[12] 역시 냉방용이라면 공기, 냉수용이라면 물[13] 압축기가 소음진동이 있다보니, 가정용 건조기 등에 소형으로 2개를 설치하는 경우.[14] 가령 에어컨의 경우 실외기가 환기가 잘 안되는 곳에 있으면 기온이 올라가서 COP가 떨어지고, 외부온도가 20도인곳에서 18도로 만들때에 비해 외부온도가 30도인곳에서 18도로 만들때에도 COP가 떨어진다. 온도차가 커질수록 열 자체가 더 많이 역류하기도 하고 열교환 시간이 길어져서 시간을 줄이기위해 같은장비로 더 높은 출력을 내게되면 COP가 떨어지기 때문이다.[15] 나머지 절반도 기존의 화석연료(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등유 등)를 태우는 보일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가스수소를 혼소(섞어서 태우다)하는 방식, 연료전지로 열병합발전하는 방식 등이다.[16] 일례로 서울특별시 송파구 기준 지하수 기반 냉난방시스템을 도시에 도입하면 기름보일러 대비 85%, 가스보일러(LNG) 대비 50%, 에어컨 대비 30%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버려지는 지하수를 냉난방 에너지로 활용하고, 버려지는 물을 땅속 대수층으로 주입시켜 싱크홀까지 예방할 수 있다. 전국 750만동 건물에 설치된 실외기 및 냉각탑도 제거할 수 있어 냉방병 및 레지오넬라균, 도시열섬 현상도 낮출 수 있다. 건축주 입장에서 보면, 수열시스템 도입을 통해 제로빌딩인증을 받게 되면 용적률도 15% 더 받을 수 있다.[17] 칠러용 냉각기의 COP가 6.5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18] 가정용 열병합 겸 차량용으로 넘어갈 수도 있는 교두보라서 보일러사들이 관심[19] 미국기계학회ASME도 부문별 학술대회가 다 시간 장소가 다르고, 대한기계학회도 부문별 학술대회가 여럿 있다.[20] 예컨대 냉매의 친환경화로 이산화탄소-물을 이용하는 히트펌프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IIR - Gustav Lorentzen Conference에 모인다.[21] 일반기계와 내용이 99% 같으므로, 함께 따면 좋다.[22] 더군다나 유럽의 히트펌프 설치사업 지원은 전쟁 이후 가스부족에 시달리면서 활성화되었고, 그마저도 얼마 되지 않아 현실적인 이유로 사실상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