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6:40

부산 버스 124/논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산 버스 124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항목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해결방안 항목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2015년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개편 목록
{{{#!folding [ 보기 · 닫기 ] 신설 124 168 185 187 1005
1011
폐지 130 135
연장 66 128-1 189 190
단축 2 40 46 58-1 63
148-1 200
변경 36 100 107 123 184
333 520
단순변경 88 115-1 155 189-1
형간 전환 1007 107 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 5-1 → 5 128-1 → 128 129-1 → 129 통합 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 ||

1. 개요2. 문제점
2.1. 비판
2.1.1. 긴 배차간격, 기형적인 선형2.1.2. 홍보 부족과 공기수송
3. 근황4. 강서공영차고지 변경 후5. 관련 문서

1. 개요

개편 발표 당시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부산시에 바란다' 게시판에 130번 노선의 폐선에 대해서 엄청난 항의글이 올라왔었다. 또한 당시 부산시의 발표 자료에 130번은 124번하고 똑같은 노선으로 변경된다고 되어 큰 혼란을 주었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하위 문서에서 특정 노선 논란 문서는 부산 버스 123/논란 문서가 최초였고, 130번 폐선 및 124번 신설이 되자 많은 논란과 비판이 끊이지 않아, 결국 123번 이어 124번 논란 문서도 만들어지게 되었다.

2. 문제점

김해 지역에서 부산대학교로 이어주는 노선이었던 130번이 폐지되면서, 2021년도에는 김해 8번 마저도 롯데백화점 동래점까지 단축되면서 김해~부산대 노선은 전멸하고야 말았다.[1] 도시철도 또한 대저역, 미남역, 동래역에서 무려 3회나 환승을 해야 한다. 특히 동래역은 부산에서는 거의 없다는 막장환승역이며, 도시철도로 가장 가깝다는 부산대역조차도 부산대학교정문까지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금정7번 마을버스로 또 다시 환승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복잡하기 때문에 부산대 학생들이 이 방법으로 가지 않는다.[2]

백양터널을 빠져나와 1004번의 경로인 동의대역을 거쳐 가야대로를 통하여 서면으로 바로 가지 않고 동평로를 통하여 당감입구랑 진양교차로를 지나 부산시민공원남문이랑 부전시장 방면으로 가는 형태라 소요시간이 제법 걸리고 배차간격도 다소 긴 20분 정도라 과연 수요가 얼마만큼 늘지도 의문이다.[3] 또한 대저안동네구포역을 지나 구남역으로 간다.

부암교차로에서 바로 당감입구를 거쳐 서면으로 넘어가는게 아니고 부산시민공원남문을 거쳐 서면까지 가는 점 때문에 백양터널(모라동,당감동) 인근 주민들의 불만이 상당히 많다. 그런데 당감동 쪽은 부산 버스 17을 이용하면 되고 모라동 쪽도 부산 버스 31을 이용하면 서면까지 빨리 갈수 있어 딱히 상관 안하는 사람들도 많다.

2.1. 비판

130번이 폐선되어 배차간격이 길고 어방동, 활천동으로 돌아가는 김해8번도 2021년도에 동래롯데백화점까지 노선이 단축되면서 구포시장 쯤에서 110번으로 환승을 해야한다. 덕천교차로 둘러 올라가 서면 방면으로 향하는 130번 대체노선+1004번의 짝퉁버전 노선이 이 노선이다.

본래는 양방향 대저역, 구포대교 직선화를 통해 빠르게 구남역 쪽으로 가게 할 계획이었으나 130번 승객들의 항의가 많이 들어오자 기존의 130번 노선구간을 빼다 박은 대저 안동네~강서구청~구포대교~북구청회차~구포삼거리~구포역~덕천교차로~구남역~신모라사거리로 다니게 되었다. 종점인 서면 회차지점 구간도 상당히 난해하고 굴곡이 심하다. 회차만 해도 6번

심지어 기형적인 서면회차구간마저 구.69-1번과 빼닮아서(...), 구.69-1번이 부활했다는 식으로 비아냥을 들었다.

2.1.1. 긴 배차간격, 기형적인 선형

구포시장~서면 소요시간이 카카오맵 기준으로 부산 버스 133은 약40분 가량이 소요되는 반면 부산 버스 124는 무려 49분 가량 소요된다. 여기에 유턴 신호 시간은 덤. 또한, 구포시장 ~ 신모라입구 소요시간도 부산 버스 128-1, 부산 버스 133, 부산 버스 148은 10분인 반면 부산 버스 124은 16분이다.

부산시에서는 동김해~서면 노선 인프라 확충이라는 이유로 동래·부산대행 노선인 구.130번을 폐선시키고 이 노선을 신설했는데,[4] 동김해에서 서면까지는 굳이 이 노선을 탈 필요 없이 1004번을 타고 가면 되기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아무리 입석버스이고 저렴한 요금으로 갈 수 있다지만, 윗선이 개입한 시민공원 활성화라는 말 같지도 않은 이유로 돌아가는 노선형태이고 배차간격도 20분이며 환승대기시간은 30분이였다가 2021년 중 1시간으로 연장된 상태이다.

게다가 본 노선의 신설 의도와 맞지 않게 130번의 북구청 회차를 그대로 물려받은데다 백양터널에서 가야대로 직통으로 서면으로 가지 않고 당감동 - 동평로 - 부암동 - 부암교차로 - 부산시민공원남문[5] - 부전역 테크를 타는 노선이라 소요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

평시에는 크게 차량이 막히지 않아 편도 1시간 30분 안팎이면 도달하지만[6], 첨두시간대에는 편도 2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7]

설상가상으로 2017년 11월 4일에는 모라주공 1단지를 추가로 경유하게되면서 노선 굴곡이 더 심화되었다. 이후의 운행소요시간은 205분으로 설정되어있다.

2.1.2. 홍보 부족과 공기수송

130번폐선되고 이 노선이 개통될 때, 부산시 소속 정류소과 차내에만 안내를 했고, 김해시에는 어떠한 안내도 하지 않았다.[8] 심지어 부산시민도 노선변경안내가 난해한지라 이해를 못하고 있었다. 130 폐지, 124 신설이 아니라 124 신설, 130 김해~서면 변경으로 안내했었다.

게다가 부산시 소속 정류소에도 행선지를 서면이 아닌 아파트 이름인 네오스포로 표기했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저걸 보고 이거 뭥미?하는 반응을 보였다. 전면 LED와 차내 노선도는 '네오스포'로만 표기했었다. 다른 네오스포 회차노선이 '서면'이라고 붙이고 다니는 것과는 대조적. 현재는 전면 LED 상에 '서면'으로 표출중.[9]

뿐만 아니라 이 노선을 운행하는 승무원들마저도 사람을 죽이는 노선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결국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노선 문서에 추가되었다.

홍보 부족 탓에 공기수송을 많이 하여 결국 차량에 구포시장 백양터널 당감시장 서면이라는 현수막을 걸고 "구포시장 경유"라는 작은 스티커도 붙여놓았다.

3. 근황

폐선된 부산 버스 130처럼 김해와 대저안동네에서 구포시장으로 그나마 이어주는 덕분에 김해~선암다리~구포시장 구간 기존 수요가 제법 존재한다. 특히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1004번이 더 이상 대저안동네로 들어가지 않게 되면서 대저안동네에서 유입이 된 걸로 보인다.

백양터널을 경유하는 노선 특성상 모라주공3,4단지 및 당감동 국제백양아파트/화인아파트~부암교차로의 수요가 차츰 늘었고 당감동(동평로)에서도 백양터널을 통과하여 북구(덕천교차로, 구포시장)로 가장 빠르게 가는 노선으로 인식이 되어[10], 해당 구간 유입 수요까지도 늘게 늘었다. 또한 모라주공을 직접 경유하게되어 모라주공 거주 경원고등학교 통학생이나 당감시장 상인들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다만 동평로를 지나가는 몇 안되는 노선임에도 배차간격과 굴곡 구간이 길어져 당감동 주민들이 적잖히 아쉬워하고 있다.

부암교차로 이남부터는 여전히 수요가 늘지 않고 있다. 부산진구청에서 냅다 시민공원과 부전시장으로 우회해버리기 때문에 긴 배차간격과 기형적인 노선형태와 심한 굴곡구간들로 인해 아직도 자리잡지 못하고 배차간격이 비슷한 88번보다 수요가 적다.

게다가 124번은 서부산권 노선 중 유일하게 동해선 부전역직간접경유하지만 83번보다 못한 애매모호한 정류장의 위치와 긴 배차간격이 서부산권에서 동해선을 이용하려는 승객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걍 33번이나 지하철 타고 말지

특히 이 노선이 부전시장입구~진구청~부암교차로~동평로~당감동 구간을 직통했더라면 그나마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배차간격이 막장화 된 88번을 커버가 가능했을터인데 문제는 진구청에서 부전시장입구 방면으로 바로 내려가지 않고, 부산시민공원 남문 ~ 부전역 순으로 돌아가다보니 서면행 수요가 거의 없다시피다. 부전동의 네오스포 입주민들이 입석버스 투입 요구[11]하여 124번이 현재의 형태로 회차하고 있는데, 배차간격이 그리 좋지 못해 네오스포 입주민들도 소수만 이용한다. 포켓몬 GO가 유행했을 당시에 부산시민공원 방문객이 상당히 늘었음에도 불구하고[12] 배차간격이 긴데다 노선의 인지도가 너무 낮아서 홍보효과를 전혀 보지 못했다.

이 노선의 경우에는 부산시민공원남문~부전역~서면 구간만 어떻게 하면 상당수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연제공용차고지 개장으로 103번의 연제공용차고지 연장으로 인해 기존구간을 철수 함에 따라 부산시민공원남문이 124번의 완전한 단독구간이 되어버려 미경유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그냥 부전역이나 부전시장에서 끊어버리면 될텐데 시민공원 남문 구간을 완전히 포기하기 힘들다면 차라리 진구청→시민공원 남문→부전역→부전시장→부전시장입구→진구청 순으로 회차한다면 마찬가지로 배차간격이 좋지 못한 66번과 88번의 상호보완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으나 현재까지 아무런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17년 5월 기준, 124번은 아직까지도 대당 운송수입금 30만원 선을 넘기지 못하고 있다. 폐선된 130번의 운송수입이 최고 38만원 수준이였고 2017년 기준 124번의 일평균 이용수는 3039명[13]으로 폐지된 130번이 2015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수 6170명[14] 이였던 걸로 따지면 딱 절반 밖에 안되는 수준이다.

게다가 2018년 7월 기준, 대당 운송수입금은 28만원이며 심지어 1대당 일평균 이용객이 125번과 같다. 이럴거면 애초에 이 노선을 신설하지말고 구.130번을 그대로 존치시켰어야 했다는 의견도 있다.

배차간격이 길고 돌아가는 탓에 여전히 1004번만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상술했듯이 부산시민공원남문~서면(네오스포) 구간을 계속 방치할 경우, 공기수송은 물론이며 적자폭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다만 김해~구포시장, 모라주공3,4단지~당감동의 구간 수요가 제법 늘고 있어 해당구간(부산시민공원~서면)만 노선을 변경 시켜도 기사회생이 가능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2017년 11월 4일 노선개편때 모라주공 1단지의 구간을 추가로 경유하게되면서 소요시간이 더 늘었다. 아마 모라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당감시장 상인들과 모라주공에서 당감동으로 가려는 수요를 확보시키기 위해 노선을 조정한 듯 보이며 다행히도 시민공원남문 정류장과는 달리 고정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공원남문 구간 폐지가 매우 시급해보인다.

2019년 기준으로도 정류장 마이너 갤러리에서 폐선되어야 할 노선 1순위로 꼽히고 있을 정도로 까이고 있다. 폐선은 쉽사리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상반기 화전공영차고지 개장으로 인하여 금진여객이 김해시에서 전면 철수함에 따라 폐선이 예정되어 있다.[15]김해시에서는 김해~구포셔틀대체 노선 911번과 부산시에서 124번의 사실상 급행 격상격인 1009-1을 신설 대체할 예정이라 한다.

4. 강서공영차고지 변경 후

2023년 7월 29일부로 강서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번호만 같고 완전히 다른 노선이 되었으며[16] 사실상 2기의 김해~서면 노선은 폐지되었다. 현재는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에서 하단역 행 셔틀노선에 충실하고 있다. 배차간격이 의외로 길지 않다는 의견들이 있다. 2기의 노선은 김해시에서 신설한 대체 노선 911번과 부산시에서 124번의 사실상 급행 격상격인 1009-1으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1009-1번은 과거 124번은 양반으로 보일 정도로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개선이 이루어지기는 커녕 124번 구포~서면 노선 자체가 급행버스로 격상되어서 수요가 2기 124번에 비해서도 훨씬 적으며, 적자 폭이 기존보다 더 커질 전망이다. 자세한 것은 부산 버스 1009-1/논란 참고.

하지만 3기 124번(강서차고지~하단)도 위의 1009-1번보다는 낫지만 승객수가 매우 적은데, 하루 승객수는 2기(김해~백양터널~서면) 운행 시절보다 1/3 밖에 못하는 수준이다. 무엇보다 3번과 명지 구간이 완전히 겹쳐서 오면 타고 안오면 버리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이 크다. 게다가 하단 넘어 다대포까지 이어주는 3번과 달리 하단에서 끊기는 것도 문제.

결국 11월 4일 대대적으로 개편되어 명지신도시 내에서도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고 마을버스만 운행하던 명지국제6로명지오션시티1로 쪽으로 운행되도록 변경되어 일각에서 좋은 평가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조치했음에도 일 평균 승객수는 여전히 1,500명을 넘기지 못하고 있다.

5.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김해 8번은 김해에서는 인제대 경유 128-1번구간 + 중간에 활천고개삼거리에서 직진해 구시가지를 통과한 후 외동사거리에서 우회전해 내외동 경유 127번 구간 코스로 가므로 구.130번보다 소요시간이 훨씬 많다. 다만 김해 ~ 부산대 구간은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교통 상황에 따라 (주로 만덕 구간 정체) 부산, 김해 밖으로 나갔다가 들어오는 것이 훨씬 낫다. 김해 ~ 해운대 시외버스를 이용한 뒤 도시철도로 환승하거나, 시외버스 김해-울산 노선을 이용한 뒤 양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16번, 1100번 혹은 1500번을 이용하여 부산대로 가면 된다.[2] 이 때문에 중복노선에 문제가 된다면, 틈새시장을 노려서 산성터널 ~ 대동화명대교를 경유하거나, 노포동을 경유한 뒤 노포IC ~ 경부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지선 ~ 동김해IC을 경유하여 변경시켰더라도 124번 보다는 나았을 거라는 말이 있다. 김해에서 노포동터미널로 바로 가는 노선이 생기는 격인 것. 일반적으로 김해에서 수도권, 충청권, 강원권으로 가기 위해서는 김해 출발 노선을 이용하거나 마산에서 환승하는 것이 정석인데, 김해 또는 마산발 시외버스가 매진되었을 때 노포동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을 차선책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고속도로 경유로 인한 입석금지가 문제가 될 것이다.[3] 1004번과 차별성을 두기 위해서 일부러 경로를 동평로로 지정한 것 같으나 애당초 서면으로 빠르게 가는 것이 목적인 김해 시민들은 이 노선보다 1004번을 더욱 선호할 것이다.[4] 경전철, 1호선, 3호선, 4호선을 이용해서 갈 수는 있지만 환승방식이 매우 번거롭다.[5] 대저안동네 보다 더 심각한 굴곡구간이다. 모 버스동호회의 게시글에 따르면 부산시 윗선 지시로 경유한다고 한다.하여간 도움 안되는 인간들[6] 평시에는 백양터널 구간이 정체구간이라 해도 유료도로인지라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컨테이너트럭 외 차량들을 제외하면 실제 이용하는 차량은 크게 많지 않다. 공식 운행소요시간은 187분이다.[7] 이 때문에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 조금만 길이 뚫려도 70km/h~75km/h를 밟기 때문에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거나(...) 저상버스로 곡예운전을 하기도 한다.[8] 12월 4일이 되어서야 표출되었고, 그 전까지 김해시 소속 정류소에는 124번에 대한 어떤 표시도 없었으며 BIS도 연동되지 않은 상태였다.[9] 비슷한 사례로 신평 단축당시 아파트 이름인 한성기린아파트라 표출했던 520번이 있다. 지금은 신평이라 표출되고 있다.[10] 169번도 당감동에서 북구로 이어주기는 하지만, 당감초교~개금주공~냉정역~주례역~서부터미널~덕포초등학교~부산에너지과학고~신모라~구포초교~구명역~덕천교차로 순으로 엄청나게 돌아간다.[11] 해당지역에는 그동안 급행버스들만 경유하고 있었다.[12] 부산에서 포켓스탑이 가장 많은 곳이 부산시민공원이라 포켓몬 고의 핫 플레이스로 등극했었다.[13] 평일 기준으론 3200여명 이다.[14] 평일 기준으론 6400여명 이었다.[15] 번호만 유지한 채 완전히 다른 노선으로 바뀌는데, 사실상 폐선이나 다름 없다.[16] 기존의 124번과 단 한군데도 만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