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20:58:39

삼성 라이온즈/2025년/시범경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삼성 라이온즈/2025년|삼성 라이온즈/2025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별 경기
}}}
스토브리그 시범경기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2025년도 팀 슬로건
파일:삼성 라이온즈 2023년 캐치프레이즈.svg
WIN OR WOW
시범경기 성적
8
경기수 승률 마진
9 3 0 6 0.333 -3
기록표 범례
🏠 홈 🚌 원정 승리 패배 무승부 취소 휴식
삼성 라이온즈 2025년 시범경기 일정
◀ 스토브리그 3/8 9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9:3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0:7
🏠 홈
10 11 12 13 14 15 16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8:5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8:11
휴식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10:5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3:5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1:5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5:11
🏠 홈 🏠 홈 🚌 원정
17 18 ▶ 3~4월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1:3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취소
🚌 원정
1. 개요2. 3월 8일 ~ 3월 9일 VS SSG 랜더스 (대구) 동률 시리즈
2.1. 3월 8일2.2. 3월 9일
3. 3월 10일 ~ 3월 11일 VS 두산 베어스 (대구) 동률 시리즈
3.1. 3월 10일3.2. 3월 11일
4. 3월 13일 ~ 3월 14일 VS LG 트윈스 (대구) 동률 시리즈
4.1. 3월 13일4.2. 3월 14일
5. 3월 15일 ~ 3월 16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 피스윕
5.1. 3월 15일5.2. 3월 16일
6. 3월 17일 ~ 3월 18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1패
6.1. 3월 17일6.2. 3월 18일 (강설취소)
7. 시범경기 총평

1. 개요

삼성 라이온즈의 2025 시범경기 일정은 대구-대구-대구-광주-대전 순으로 3월 둘째주 일정은 SSG와의 홈 2경기가 있으며, 3월 셋째주 일정은 두산과의 LG와의 홈 4경기와 광주 KIA와의 원정 2경기가 있으며, 3월 넷째주 일정은 대전 한화와의 원정 2경기가 있으며, 그 중 6경기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4경기는 원정에서 열린다.

2. 3월 8일 ~ 3월 9일 VS SSG 랜더스 (대구) 동률 시리즈

SSG 1·2차전 (대구)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선발 투수
앤더슨 1차전 최원태
김광현 2차전 백정현
경기장소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중계방송사
파일:MBC SPORTS+ 로고(2019~2025).svg

2.1. 3월 8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최원태
1 2 3 4 5 6 7 8 9
CF LF DH 1B C SS RF 3B 2B
김지찬 김헌곤 구자욱 디아즈 강민호 이재현 김성윤 차승준 심재훈
3월 8일, 13:00 ~ 15:47 (2시간 47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20,563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SSG 앤더슨 0 0 1 0 4 0 4 0 0 9 10 2 5
삼성 최원태 1 0 0 0 0 0 2 0 0 3 6 2 3
경기 기록
결승타 박지환 (5회 1사 1,3루서 좌전 2루타)
승리 투수 앤더슨 (4이닝 1실점 1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육선엽 (1이닝 4실점 2자책), 0승 1패
홈런 이지영 1호 (3회 1점)

2025년 3월 8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2.2. 3월 9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백정현
1 2 3 4 5 6 7 8 9
CF RF DH 1B 3B C SS 2B LF
김지찬 김헌곤 박병호 디아즈 전병우 김도환 이재현 양도근 홍현빈
3월 9일, 13:00 ~ 15:43 (2시간 43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23,063명 (매진)[1]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SSG 김광현 0 0 0 0 0 0 0 0 0 0 3 1 7
삼성 백정현 2 0 0 0 1 4 0 0 - 7 10 0 7
경기 기록
결승타 박병호 (1회 1사 1루서 좌월 홈런)
승리 투수 백정현 (3이닝 0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김광현 (3이닝 2실점 2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김대호 (3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홈런 박병호 1호 (1회 2점)

2025년 3월 9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bauGQEh6t3c"
}}}}}}}}}
[ 덕아웃1열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3. 3월 10일 ~ 3월 11일 VS 두산 베어스 (대구) 동률 시리즈

두산 1·2차전 (대구)
파일:두산 베어스 심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선발 투수
콜어빈 1차전 후라도
잭로그 2차전 이승현
경기장소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중계방송사
파일:MBC SPORTS+ 로고(2019~2025).svg

3.1. 3월 10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후라도
1 2 3 4 5 6 7 8 9
CF LF DH C 1B SS RF 3B 2B
김성윤 김헌곤 구자욱 강민호 전병우 이재현 윤정빈 이해승 심재훈
3월 10일, 12:59 ~ 15:53 (2시간 54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3,800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두산 콜어빈 0 0 0 3 0 0 1 2 2 8 11 2 9
삼성 후라도 0 0 0 0 4 1 0 0 0 5 7 1 0
경기 기록
결승타 없음
승리 투수 이영하 (1이닝 0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이재익 (⅔이닝 1실점 0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김호준 (1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홍원표 (⅔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육선엽 (1이닝 1실점 1자책), 1홀드
김택연 (1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세이브 투수 박치국 (1이닝 0실점 0자책), 1세이브
홈런 함수호 1호 (6회 1점), 장승현 1호 (9회 2점)

2025년 3월 10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3.2. 3월 11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이승현
1 2 3 4 5 6 7 8 9
2B RF DH 1B 3B SS CF C LF
심재훈 김헌곤 박병호 디아즈 전병우 이재현 홍현빈 김도환 함수호
3월 11일, 12:58 ~ 16:15 (3시간 17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4,800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두산 잭로그 2 0 0 3 0 0 3 0 0 8 12 2 5
삼성 이승현 0 0 4 0 2 5 0 0 - 11 12 0 8
경기 기록
결승타 구자욱 (5회 2사 1,3루서 중전 안타)
승리 투수 송은범 (2이닝 0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김호준 (⅓이닝 1실점 1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홍원표 (⅓이닝 0실점 0자책), 2홀드
이승현 (1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세이브 투수 김재윤 (1이닝 0실점 0자책), 1세이브
홈런 홍현빈 1호 (6회 4점)

2025년 3월 11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LionsTV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AT17O-zzxD4"
}}}}}}}}}
[ 덕아웃1열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1회 좌승현이 흔들리며 2점을 먼저 내주었지만 3회 로그가 어이없는 보크로 동점을 허용하고[2] 두산 유격수 박준영이 두 번의 실책을 하며 역전에 성공했고 홍현빈이 만루홈런을 치며 크게 달아났다.[3] 그러나 이날 등판한 양창섭과 배찬승은 2사 이후 주자가 출루하자 크게 흔들리며 집중타를 얻어맞아 대량실점하고 말았다.[4]
송은범, 우승현, 김재윤 등의 베테랑 투수들은 안정적으로 이닝을 무실점으로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체력이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여전히 주전급으로 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 육선엽부터 시작하여 시범경기 내내 거의 대부분의 어린 투수들이 주자 없는 상황에서는 잘하지만[5] 주자 출루 이후 급격히 흔들리는 문제점을 노출하는 것은 반드시 고쳐야 할 점이다. 오죽하면 시범경기 내내 지난 시즌 내내 공 느린 베테랑들만 불펜으로 기용하는 박진만 감독에게 어린 강속구 투수들을 중용하라고 했던 삼성 팬덤의 환상이 깨졌다고 할 정도. 오히려 결과가 안 중요한 시범경기 내내 체력에 약점을 보이는 베테랑 불펜들을 상대적으로 아끼고 가비지 이닝 처리로 신인급 투수들이나 땜빵 투수들을 내라는 의견이 더 많으며 실제로 박진만 감독의 투수 운영 역시 그렇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야수 쪽에서는 홍현빈이 만루홈런 포함 5타점을 쓸어담으며 맹활약을 했고, 디아즈와 전병우가 멀티히트를 때려내며 타격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구자욱은 이날 대타로 나와 결승타를 때리며 여전히 핫핸드를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홍현빈[6] 정도를 빼면 시범경기 내내 거의 모든 신진급 선수가 상당히 부진한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불안하다는 얘기가 많으나 시범경기는 시범경기이니만큼 결과에 연연하지 말자는 의견이 더 많다.[7]
여담으로 이 날의 승리로 두산의 시범경기 13연승 및 2025 시즌 시범경기 전승 행진을 저지하였다.

4. 3월 13일 ~ 3월 14일 VS LG 트윈스 (대구) 동률 시리즈

LG 1·2차전 (대구)
파일:LG 트윈스 심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선발 투수
송승기 1차전 최원태
이지강 2차전 양창섭
경기장소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중계방송사
파일:SBS Sports 로고.svg

4.1. 3월 13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최원태
1 2 3 4 5 6 7 8 9
CF RF LF 1B DH C 3B 2B SS
홍현빈 김헌곤 구자욱 디아즈 박병호 강민호 류지혁 심재훈 양도근
3월 13일, 13:00 ~ 15:59 (2시간 59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4,300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LG 송승기 0 0 0 3 0 0 3 3 1 10 12 0 7
삼성 최원태 0 1 2 0 0 0 2 0 0 5 7 0 4
경기 기록
결승타 문보경 (7회 1사 1,2루서 우전 2루타)
승리 투수 우강훈 (⅔이닝 0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오승환 (1이닝 3실점 3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김진성 (1이닝 2실점 2자책), 1홀드
홈런 심재훈 1호 (7회 2점)

2025년 3월 13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투수들이 돌아가면서 털리고 있기 때문에 박진만 감독과 정대현 투수코치는 앞으로 불펜진 구성에 많은 고민을 쏟아야 할 듯하다. 현재 NC와 함께 시범경기 최다실점 구단으로[8] 투수들의 부진이 심상치 않다.
여담으로 이종욱 수비코치가 외야수들에게 지나친 전진수비를 주문한다는 비판을 받는데, 특히 윤정빈같이 수비력이 떨어지는 선수가 배치되면 더더욱 뒷공간이 넓어보이는 불안감을 주고 있다. 물론 다양한 구종과 전술들을 시험해보는게 시범경기인 만큼 과한 의미부여를 할 필요는 없다.

4.2. 3월 14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양창섭
1 2 3 4 5 6 7 8 9
CF RF DH 1B 3B 2B LF C SS
김지찬 홍현빈 구자욱 디아즈 전병우 류지혁 함수호 이병헌 심재훈
3월 14일, 13:00 ~ 15:32 (2시간 32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관중 : 6,500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LG 이지강 0 0 0 0 3 0 0 0 0 3 8 0 6
삼성 양창섭 2 0 1 1 0 1 0 0 - 5 7 1 2
경기 기록
결승타 디아즈 (1회 1사 1,2루서 우전 2루타)
승리 투수 양창섭 (2⅓이닝 0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이지강 (3⅔이닝 4실점 4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이재익 (1⅔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김대우 (1⅓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송은범 (1⅓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이승현 (1이닝 0실점 0자책), 2홀드
세이브 투수 김재윤 (1이닝 0실점 0자책), 2세이브
홈런 김지찬 1호 (3회 1점), 전병우 1·2호 (4회 1점, 6회 1점)

2025년 3월 14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LionsTV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u9UPTQY6hJs"
}}}}}}}}}
[ 덕아웃1열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전병우는 호수비+멀티홈런으로 공수 양면에서 대활약했으며, 테이블세터인 김지찬이 이지강을 상대로 홈런을 치는 기적을 보여주었고, 이로써 삼성은 홈에서 5경기 연속 홈런 기록을 달성했다. 3번의 시리즈 모두 첫 경기는 내주고 두 번째 경기는 이기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5. 3월 15일 ~ 3월 16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 피스윕

KIA 1·2차전 (광주)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KIA 타이거즈 심볼.svg
선발 투수
김대호 1차전 김도현
후라도 2차전 황동하
경기장소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중계방송사
파일:MBC SPORTS+ 로고(2019~2025).svg

5.1. 3월 15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김대호
1 2 3 4 5 6 7 8 9
CF 2B RF C DH 1B 3B SS LF
김지찬 류지혁 구자욱 강민호 디아즈 박병호 전병우 이재현 홍현빈
3월 15일, 13:00 ~ 15:36 (2시간 36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관중 : 15,690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김대호 0 0 0 0 1 0 0 0 0 1 6 0 1
KIA 김도현 0 0 2 0 0 2 0 1 - 5 8 2 4
경기 기록
결승타 김도영 (3회 무사 1루서 우중간 3루타)
승리 투수 김도현 (4⅓이닝 1실점 0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김대호 (3⅓이닝 2실점 2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김대유 (⅔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최지민 (1이닝 0실점 0자책), 1홀드
전상현 (1이닝 0실점 0자책), 2홀드
곽도규 (1이닝 0실점 0자책), 2홀드

2025년 3월 15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5.2. 3월 16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후라도
1 2 3 4 5 6 7 8 9
CF 2B 3B DH 1B LF RF C SS
홍현빈 심재훈 차승준 박병호 전병우 함수호 김태훈 이병헌 양도근
3월 16일, 13:00 ~ 15:57 (2시간 57분),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관중 : 14,596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후라도 3 0 0 0 1 0 1 0 0 5 11 2 7
KIA 황동하 1 1 1 2 3 3 0 0 - 11 19 2 2
경기 기록
결승타 박정우 (4회 1사 2루서 좌중간 2루타)
승리 투수 황동하 (4이닝 3실점 1자책), 1승 0패 패전 투수 후라도 (4이닝 6실점 5자책), 0승 1패
홀드 투수 임기영 (2이닝 1실점 1자책), 2홀드

2025년 3월 16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6. 3월 17일 ~ 3월 18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1패

한화 1차전 (대전)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svg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선발 투수
백정현 1차전 와이스
경기장소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중계방송사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한화 이글스의 새 야구장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의 첫 시범경기이며 또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개최되는 첫 경기이다.

6.1. 3월 17일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선발 투수
백정현
1 2 3 4 5 6 7 8 9
CF 2B LF 1B C DH 3B SS RF
김지찬 류지혁 구자욱 디아즈 강민호 박병호 차승준 이재현 홍현빈
3월 17일, 18:00 ~ 19:30 (1시간 30분),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관중 : 11,000명 (매진)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백정현 0 0 0 1 0 5회말
한파콜드
1 3 1 3
한화 와이스 1 0 0 2 0 3 7 0 3
경기 기록
결승타 하주석 (4회 1사 1,2루서 우전 안타)
승리 투수 와이스 (5이닝 1실점 1자책), 2승 0패 패전 투수 백정현 (3⅓이닝 3실점 2자책), 1승 1패
홈런 김태연 1호 (1회 1점)

2025년 3월 17일 경기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KBO H/L ]
{{{#!wiki style="margin: -5px -2px; margin: -5px -2px -11px;"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tablebgcolor=#ffffff,#1c1d1f><width=800><nopad> ||
}}} ||


6.2. 3월 18일 (강설취소)

3월 18일, 13:00,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관중 : 명
선발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R H E B
삼성 경기전 강설취소
한화

폭설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었다.

7. 시범경기 총평

최종적으로 9경기 3승 6패를 기록하며 롯데와 함께 공동 8위를 기록했다.

시범경기에서만 무려 57실점, 그 중 불펜진이 37실점을 하며 올해에도 불펜에 대한 문제점을 여실없이 드러냈다. 거기다 삼성의 에이스인 원태인데니 레예스가 부상으로 개막 로테이션 합류가 불가능함에 따라 대체 선발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김대호백정현은 표면적인 성적은 양호하지만 세부 기록이 불량하다.[9] 또한 팀의 1선발이자 개막전 등판 예정인 아리엘 후라도가 8자책점으로 상당히 부진하면서 찝찝함을 남겼다. 물론 시범경기일 뿐이고 시범경기 성적은 정규시즌과는 1도 관련이 없다지만 그만큼 삼성의 시범경기 경기내용이 그다지 좋지 못했다. 다만 안 좋은 소식만 있는건 아닌데, 1라운더 배찬승이 150km대 패스트볼과 빼어난 제구력으로 좌완 기근에 시달리는 삼성에 단비같은 존재가 될 수 있을 전망이다.[10]

한편 타선에서는 kt에서 방출된 홍현빈이 라팍에서 만루홈런을 치는 등 인상적인 활약으로[11] 박진만 감독에게 눈도장을 제대로 찍었고, 전병우 또한 부상으로 경기에 못나온 주전 김영웅을 대체해 안정적인 수비와 연타석 홈런을 기록하는 등 김영웅의 활약을 대신해줬다. 삼성의 신인 타자들인 심재훈-차승준-함수호 트리오의 경우, 심재훈은 LG전에서 팀이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2점 홈런을 때려냈고, 함수호는 직전 시즌 다승왕이었던 곽빈을 상대로 홈런을, 차승준 또한 16타수 6안타를 때려내는 등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다. 또한 심재훈을 제외한 차승준과 함수호는 신인치고 나쁘지 않은 수비를 보여줬다. 하지만 배찬승을 제외한 야수 3인방은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한다고 박진만 감독이 밝혔다.
[1] 10개 구단 체제에서의 최초의 시범경기 매진이다.[2] 만루 상황에서 베이스 위치를 벗어난 양석환에게 견제송구를 했다.[3] 시범경기라 공식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홍현빈의 1군 첫 홈런이다.[4] 양창섭은 김도환의 파울팁 포일이, 배찬승은 양도근-심재훈 키스톤의 좋지 않은 수비가 집중타의 시작이 되었기 때문에 둘 다 어느 정도는 참작될 만하나, 그럼에도 부진했다는 평가를 피할 수는 없다.[5] 구속 역시 다들 140 중반대 이상이 나오며, 변화구 역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6] 사실 홍현빈도 1997년생으로 kt에서 워낙에 기회를 못 받았을 뿐 신진급 선수는 아니다.[7] 멀리 가볼 것도 없이 2023시즌 시범경기 1위가 한화였고 2위가 삼성이었다...[8] 단 자책점 기준으로는 NC가 1점 더 많다.[9] 김대호가 배짱있는 투구로 해설진의 호평을 받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기대치에 비해 잘했다는 뜻이지 레귤러한 선발이라 보긴 어려우며, 백정현은 시범경기 2점대 방어율로 좋아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볼넷이 많고 전반적으로 작년과 다를 게 없이 여전히 불안한 모습이다.[10] 두산전에 3실점 하긴 했지만 이는 수비의 도움을 받지 못했고 코스성 안타가 많았다는 점에서 참작할 수 있는 사항이다.[11] 다만 만루홈런의 임팩트가 있어서 그렇지 시범경기 성적자체는 좋지 못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