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9:07:16

이승현(2002)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승현의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이승현(2002)/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이호성 · 3 최원태 · 4 육선엽 · 11 최지광
· 15 이상민 · 17 김대우 ·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 · 21 오승환 · 26 이재익 · 27 김태훈
· 28 이승민 · 29 백정현 · 37 최하늘 · 41 권현우
· 42 양창섭 · 43 레예스 · 44 김대호 · 45 임창민
· 46 송은범 · 48 김무신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5 배찬승 · 57 이승현 · 59 이재희 · 61 황동재
· 62 김재윤 · 65 홍원표 · 75 후라도 · 101 박주혁
· 102 유병선 · 109 최예한 · 110 신경민 · 112 홍준영
· 113 박준용 · 114 천겸 · 115 진희성 · 119 김유현
· 120 김백산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128 우승완
· 148 정민성 · # 박시원
최종 편집: 2025년 1월 16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이승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김태한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황성관
{{{#!folding (고졸)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권혁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김동명
김상걸
2008년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우동균 김상수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1차 지명 폐지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이승현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구준범
(2020)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승현
(2021~2023)
최성훈
(2024~)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팀 데이
(2017-18)
이승현
(2023-24)
마코토 쿄모토
(2024-2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7번
와이드너
(2023.8.11.~2023)
이승현
(2024~)
현역
}}} ||
}}} ||
파일:24 이승현(좌) 고화질.jp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57
이승현
李昇玹 | Lee Seung-hyun
출생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남도초 - 경복중 - 대구상원고 - (대구대)[1]
신체 183cm, 93kg[2]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1~)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2023/24)
연봉 2025 / 1억 2,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Lil Nas X - 《STAR WALKIN’》 (202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가족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
종교 불교[3]
MBTI ESTP #
소속사 어썸스포츠[4]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승현(2002)/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다소 투박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지만, 탄탄한 하체를 바탕으로 묵직한 구위를 자랑한다. 디셉션 동작도 뛰어나 상대에게 쉽게 공략당하지 않는다. 변화구는 주로 슬라이더와 커브, 커터 등을 던지며, 각이 매우 크기에 변화구의 각으로 상대 타자들을 농락하는 모습이 간혹 나온다. 회전수도 상당히 높게 찍히는데, 커브의 경우 RPM이 무려 2,600대가 찍히고 체인지업을 조금 더 가다듬으면 충분히 위협적일 것으로 예상된다.[5] 위기 상황에서도 표정 변화가 없는 포커 페이스.

단저믄 제구력의 기복이 상당히 심하고 타자와 승부를 즐기는 유형이라서 볼넷 개수가 많아 최대 6이닝까지만 소화가 가능하다.[6]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은 약 139km/h이며, 최고 구속은 147km/h이다. 그러나 구위는 좋은 편이고 피칭의 완성도가 좋아져 타자와 승부가 가능해졌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승현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1 삼성 41 1 4 0 7 39⅓ 5.26 35 3 23 3 46 1.47 112.79 0.54
2022 58 2 4 1 14 47⅔ 4.53 43 5 21 3 57 1.34 106.89 0.25
2023 48 1 5 5 7 43⅓ 4.98 41 6 29 2 37 1.62 116.40 0.07
2024 17 6 4 0 0 87⅓ 4.23 88 9 37 6 68 1.43 81.15 2.70
KBO 통산
(4시즌)
164 10 17 6 28 217⅔ 4.63 207 23 110 14 208 1.46 99.52 3.56

5. 여담

6. 관련 문서



[1] 프로 데뷔 후 입학, 문화예술학부 22학번[2] 원래 100kg가 넘는 거구였으나, 2024년 기준으로 살을 많이 뺐다.[3] 인스타에 卍 (만자 만)이 적혀 있다.[4] 팀 동료 강민호, 김지찬, 이재현이 소속되어 있다.[5] 24년 6월 9일 인터뷰에서 원태인의 체인지업을 배우려 했지만 잘 안 됐다고 말했다.[6] 삼성 관계자는 이승현을 뽑을 때 "원태인, 최충연보다 내구성이 좋고 황동재보다 공격적"이라고 평가했다.[7] 대표적으로 같은 팀인 삼성에서 뛰었던 임현준이 있다.[8] 참고로 우승현도 '삼성이 잃어버린 것'같은 식으로 비슷한 파생 별명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