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서울대학교/학부|{{{#!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 }}}}}}}}} || 기호 설명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한국간호교육인증원(KABONE) 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건축'''}}}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건축'''}}}]]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 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공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공학'''}}}]]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교직과정 설치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수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수의학'''}}}]]
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ABOVEK)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한국약학교육평가원(KACP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의학'''}}}]]
한국의학교육평가원(KIME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치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치의학'''}}}]]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KIDEE)의 인증을 획득한 학과임
서울대학교 의 각 학과와 연혁, 자치 활동 및 학과 관련 기타 사항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기록한다. 서울대학교 학부의 각 과에는 "과반 체제"라는 제도가 있다. "과반 체제"는 소속 학생의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학생마다 중요시하는 소속이 다른데, 이 때문에 서울대생에게 소속을 물어보면 "저는 OO반입니다." 혹은 "OO과입니다."로 서로 다른 표현을 들어볼 수 있다. 각 단과대별로 그 양상이 다르다. 경영대학, 자유전공학부, 간호대학의 경우 한 단과대 안에 학생을 나누는 용도로 '반' 제도가 사용되고 있고, 공과대학은 너무 많은 한 과의 모집 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해 '반'으로 분리되어 학생회 활동을 하게 되며, 사범대학의 경우 1학년 때부터 과가 정해지기에 과와 반이 일치하게 된다. 그러나 인문대, 사회대, 농생대의 경우 사정이 복잡하기에 약간의 설명이 필요하다. 아울러 반 이름이 상당히 개드립 적인 요소가 있다. 그 학과와 관련있는 단어가 반 으로 끝나는 경우가 다수다. 본래 학생회는 "과" 단위로 세워졌으나, 2002년부터 입시 제도가 기존의 과'단위로 모집을 하는 학과제에서 '단과대학' 단위로 모집을 하는 학부제로 개편되면서, 아직 학과를 정하지 않은 1학년들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과와 반이 혼합하는 "과반" 체제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인문대, 사회대는 "과"와 "반"이 거의 대등한 위상을 지니게 된 반면, 농생대는 "과"의 하부 조직으로 "반"을 조직하게 된다. 이 때부터 인문대와 사회대에서는 "과"와 "반"이 일치하지 않는 기묘한 현상이 일어났다. 분명히 반은 사회학과 반인데, 소속은 경제학부인, 외부인의 입장에서 보면 기묘하기 짝이 없는 일이 일어난 것. 일례로 사회대 12학번의 경우, 정치외교학부 학생이 가장 많은 반은 "경제C반"이었다. 2011년 초에는 당시 사회대 학생부학장이 이런 상황이 경제학부 및 고시 쏠림 현상을 낳는 원인이라는 등의 이유로 과반체제 폐지를 언급한 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 사회대 새터에서 비상 총투표를 하기 직전까지 갔으나, 부학장이 의견을 철회하여 해프닝으로 끝났다. 심지어 학생부학장도 과반체제의 존재를 이때 처음 인지할 정도로, 대다수의 교수는 과반체제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고 있었다. 과반 배정 등은 사회대 행정실과 하는 일으로, 교수는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과제 부분전환이 결정되자, 인문대와 사회대의 경우, 학과제가 부활하자 과 단위의 행사를 관장하는 "과 자치회"(사회대) 혹은 "과 학생회"(인문대)가 새로 세워지는 일이 2012년 말 이후 벌어졌었다. "과반" 체제는 단과대 학생회(연석회의)-총학생회(연석회의)와 연결되며, 과반 내의 (주로 1~2학년) 학생 자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편이다. 반면, "과 자치회"나 “과 학생회”는 교수 및 조교실, 학과 선배들과 연결되어 여러 과 차원의 행사를 조직하는 일에 특화되어 있다. 다만 2017년 사회대가 학과제로 완전 전환 이후 사회대에서는 과와 반이 일치하게 되어 혼란이 자연스럽게 해소되었다. 다만 반 제도는 유지하여, 정원이 많아 학과(부) 내 분반 필요가 있는 정치외교학부와 경제학부는 각각 일치단결반, 나침반의 2개 반, 불꽃반, 飛반, 始반의 3개 반이 현존하고, 사회학과,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는 정원이 적어 과와 동일한 1개씩의 반이 현존한다. 인문대의 상황은 더 복잡하다. 일반전형으로 들어오는 인문대학 신입생의 절반이 넘는 약 170명 정도 인원이 전과 자체가 불가능한 전공예약으로 들어오며, 그 수는 학과별로 10~15명 내외이다. 나머지 지역균형, 정시, 정원외로 들어오는 120여명의 신입생은 1학년을 "광역" 상태로 보내면서 2학기가 지난 이후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인문대 역시 진입생이 많은 과와 적은 과가 나뉘지만 그 차이는 2017년 이전의 사회대만큼 크지는 않다. 학과제 부활 이후 국어국문학과에서는 기존의 과반인 난장반을 없애고 새로 국문과 학생회를 만들었고, 미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는 반과 별개로 과 학생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입학시점에서 과가 정해지지 않은 광역생이 절반에 가까운 이상 인문대에서 과반 완전 폐지는 현실적이지 않았다. (2025년 현재까지도 광역생 중에는 과와 반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이 심심찮게 보이고 있다.) 그 결과, 난장반 폐지 이후 만들어진 국문과 학생회는 결국 ‘국문과반‘이라는 이름으로 과반체제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국문과반의 학생회장이 타학과인 상황까지 벌어지면서, 최하원 (철학 24) 국문과반 학생회장은 2025년 2월 27일 투표를 통해 학생회칙을 개정하여 국문과반의 이름을 별헤는반으로 개칭하였다. 단, 학과제 부활 이전에 비해 각 반과 학과의 연계성은 강해졌다. 전공예약생은 모두 해당 과의 반에 배정되는 이상 당연한 결과다. 광역생의 경우, 전공 진입을 한 이후에는 (진입한 학과가 기존 과반과 다를 경우) 해당 과에서 활동하는 경우도 많지만 기존 과반에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인문대 졸업 요건 중 하나인 "삶과 인문학" 수업의 수업반이 과 단위가 아닌 반 단위로 편성되기 때문에 대학에 처음 들어온 한 학기 동안 서로 얼굴을 볼 기회가 많아 친해지기 쉽다. 서울대 인문대는 최대 50억원 규모로 대학원생 통합 장학금 신설을 추진한다.최근 서울대에선 일부 교수가 연봉·연구비 정체 문제로 잇따라 해외 대학으로 옮긴 데 이어 대학원생까지 이탈하는 움직임이 있어, 이러한 흐름이 대학 연구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등록금·생활비를 연구 기간 내내 지원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농생대 이과의 신입생들은 2002년 학부단위로 모집을 실시하기 때문에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는 자신의 학과를 언급하기 힘들다. 대부분의 신입생이 대학에 입학한 뒤 가장 많이 듣게 되는 질문이 "네 전공이 뭐냐"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골룸한 상황인 것이다. 더불어 선배들과의 교류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현재의 연세대학교처럼, 농생대는 2003년 관악캠퍼스로의 이전 전까지 이원화캠퍼스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선배들이 1학년과의 상봉을 위해 수원-관악을 매일같이 오갔을 정도로 신입생과의 교류에 공을 들이던 데에는 이 아이들이 우리과에 들어올 신입생이라는 이유가 주요했다. 학부단위 모집 이후 우리과도 아닌 후배에게 굳이 그런 노력을 들일 필요가 없어졌다. 농생대 학생행정실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 이에 농생대는 학생회 차원에서 각 과의 하부 조직으로 임시적인 "반"을 만들게 된다. 개별 학부로 입학한 농생대 이과 신입생들은 학생회의 임의 배정에 따라 반을 배정받는다. 이 반배정은 정시 최초합격자가 발표된 뒤에 학생회 중앙운영위원회에 각 학부 소속 과학생회장들이 모여 진행된다. 신입생은 배정된 반의 상위 과에서 1년동안 활동을 같이 하게 되고, 2학년 때부터 전공으로 진입하면 반이 아닌 소속 과에서 활동하게 된다.1.1.3. 사범대 문과, 공과대학 사범대 문과의 경우 농생대 이과와 마찬가지로 1학년때 반을 정하고 2학년때 학과가 정해지면 그 학과에 맞는 반으로 이동하기도 했으며, 공과대학 역시 과거 정시 모집단위로 공학계열이 존재했던 때에는 자신의 학과와 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공학계열 그 자체가 사라진 지금은 다 옛날 얘기. 경영대의 경우 신입생이 등록되면 행정실에서 임의 반배정이 이루어지고, 각반의 과책진에게 명단이 전달된다. 그러면 과책진은 함께 전달받은 연락처로 새내기들에게 전화를 돌려 반 배정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지금까지의 전통이다. 경영대에는 총 4개의 반(패기, 길벗, 한빛, 백두)이 있으며, 줄여서 '패길한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영대는 단과대 내에 경영학과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과대 차원에서 체육대회 등 행사를 진행하면 보통 반 대항전으로 진행된다. 또, 경영대 1층에 있는 과방을 4개의 반이 함께 쓴다. 한 학번을 기준으로 한 반에는 대략 40명 이하의 학생들이 있으며, 보통 동아리나 집행부를 하지 않는 이상 다른 반과 친해질 기회는 잘 없다. 그래도 연합엠티나 각종 체육대회 등을 통해 교류할 기회는 있다. 구분 기준은 단과대학 - 학부/학과 -세부 전공 순서이다. 여기 소개된 것 이외에도 각과 연계전공이 있으며, 대학원에는 비교문학전공과 같은 협동과정과 WCU 프로그램이 있어 학제적(interdisciplinary)연구를 수행한다. 그만큼 선택의 폭이 다양하니 본인 전공과 관련된 여러 전공들을 찾아보시길. 공식적인 단과대학 나열 순서는 인문대-사회대-자연대-기타 단과대학(자유전공학부 포함) 가나다순이다.학과 라는 단어의 통상적인 사용에 대한 이의제기가 해당항목에 기술돼 있으니 참고해볼 것. 사실상 한국에서는 과정=전공=학과가 동의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인문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인문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인문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인문대학 College of Humanities 학부/과 전공 국어국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중어중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영어영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불어불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독어독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노어노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서어서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언어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일본언어문명전공 동남아시아언어문명전공 인도언어문명전공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 역사학부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한국사학전공 동양사학전공 서양사학전공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전공 미술사학전공 철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종교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미학과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회과학대학 College of Social Sciences 학부/과 전공 정치외교학부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정치학전공 외교학전공 경제학부 사회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s 학부/과 전공 수리과학부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통계학과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천문학전공 화학부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지구시스템과학전공 해양학전공 대기과학전공
간호대학 College of Nursing 학부/과 전공 간호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간호'''}}}]]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서울대학교 의 간호대학 모든 간호대학 들이 그렇듯이, 간호학과로만 이루어져 있다. 1단과대 1학과. 3~4학년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단대 기숙사(함춘사)가 있다. 수용인원은 144명. 3학년 → 4학년 → 2학년 → 1학년 순으로 선발한다. 이유는 병원실습. 2016년, 졸업반지를 만들기 위해 후배들에게 돈을 걷는다는 사실 이 대숲을 통해 공론화되었다. 그러나 교육부 지침상 더 이상 선배들의 졸업반지를 맞추기 위해 후배들에게 돈을 걷지 않게 되었다. 졸업반지 명목으로 걷은 돈은 환급했다. # 2021년, 숙원사업이던 관악 본 캠퍼스로 이전이 이뤄져, 착공에 들어갔다. 2025년말 관악으로 이주할 예정이다. # 부지는 공대 31~32동을 재건축하기로 했다. # 정시에서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와 마찬가지로 인문계열(유형 1)과 자연계열(유형 2-2)에서 모두 선발한다. ====# 간호학과 #==== Dept. of Nursing 1907 대한의원 교육부 산파 및 간호부 양성과 (2년제) 1910 대한의원 부속 의학교 산파과, 간호과 1910 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 조산부과, 간호부과 1920 총독부의원 간호부, 조산부 양성소 1928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산파 및 간호부 양성소 1945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 고등간호학교 (3년제) 194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고등간호학교 195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간호고등기술학교 195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4년제) 1992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과반 슬로건: DAY반, EVENING반, NIGHT반, OFF반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경영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경영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경영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영대학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학부/과 전공 경영학과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공과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농업생명과학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학부/과 전공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지역정보전공 식물생산과학부 작물생명과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원예생명공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산업인력개발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환경재료과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식품·동물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동물생명공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응용생물화학부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물학전공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바이오소재공학전공 스마트시스템과학과
미술대학 College of Fine Arts 학부/과 전공 디자인과 시각디자인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공업디자인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공예과 금속공예전공 도자공예전공 동양화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서양화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조소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부(1946)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1953)서울대학교 의 미술대학 . ====# 디자인과 #==== Dept. of Design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도안과 1949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응용미술학과 195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상업미술전공/공업미술전공 198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시각디자인전공/공업디자인전공 198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미술학과 198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199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공예과 #==== Dept. of Crafts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도안과 1949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응용미술학과 195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공예미술전공 198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도자공예전공/금속공예전공 198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1998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0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동양화과 #==== Dept. of Oriental Painting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제1회화과 1948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동양화과 195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198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서양화과 #==== Dept. of Painting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제2회화과 1948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과 195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198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조소과 #==== Dept. of Sculpture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조각과 195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각과 198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생활과학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생활과학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생활과학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활과학대학 College of Human Ecology 학부/과 전공 소비자아동학부 소비자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아동가족학전공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식품영양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의류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수의과대학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학부/과 전공 수의예과 수의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수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수의학'''}}}]]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축산학과(1946)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1953)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1962)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1976) 서울대학교 의 수의과대학 치대와 함께 이월을 제외하고는 정시 모집을 실시하지 않는 학과였으나 2020년부터 수의대 6명, 치대 5명의 정시 TO가 생겼다. 하지만 TO가 없던 시절에도 평균 6명, 최소 2명(19년 치대) ~ 많게는 13명(17년 수의대)까지 이월이 있었다. ====# 수의예과 #==== Dept. of Preliminary Veterinary Medicine 1974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수의예과 1975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의예과 1976 폐지 1998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의예과 2012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예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수의학과 #==== Dept. of Veterinary Medicine 1908 농림학교 수의속성과 1909 폐지 1937 수원고등농림학교 수의축산과 1944 수원농림전문학교 수의축산과 1946 수원농과대학 수의학과 수원농과대학 전문부 수의축산학과 1946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축산학과 1947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부 1953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1962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수의학과 1976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 약학대학 College of Pharmacy 학부/과 전공 약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제약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약학'''}}}]]
조선약학강습소(1915) → 조선약학교(1919) → 사립 경성약학전문학교(1930) → 사립 서울약학대학(1945)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으로 흡수(1950) → 2+4년제로 개편(2011) → 6년제로 개편(2022)서울대학교 의 약학대학 이다. ====# 약학과 #==== Dept. of Pharmacy 1915 조선약학강습소 1919 조선약학교 1930 사립 경성약학전문학교 1946 사립 서울약학대학 1950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 제약학과 #==== Dept. of Manufacturing Pharmacy 과반 슬로건: 반이 따로 존재하지 않음. 음악대학 College of Music 학부/과 전공 성악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작곡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작곡전공, 지휘전공 음악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피아노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관현악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국악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교직'''}}}]]
사립경성음악학교(1945) →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부로 흡수 통합(1946)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1953)서울대학교 의 음악대학 연구중심 종합대학교에 음악실기를 연마하는 콘서바토리(Conservatory)가 융합된 형태다. 전공에 맞는 실기시험을 통해 1학년으로 입학하기 때문에, 반이 따로 없고 각 전공마다 소수의 인원으로 모인 "과-전공" 체제로 운영된다. ====# 성악과 #==== Dept. of Vocal Music 1945 경성음악학교 본과 성악부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성악과 1953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 작곡과 #==== Dept. of Composition 1945 경성음악학교 본과 작곡부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작곡과 1953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198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작곡전공 (개인별 세부전공: 작곡전공, 지휘전공, 전자음악전공) 202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 음악학과 #==== Dept. of Musicology 편제상 작곡과의 한 갈래였으나, 2023년 2월 분리되어 23학번 작곡과 이론전공으로 뽑힌 학생들은 "음악학과" 에 재학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981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이론전공 202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과
====# 피아노과 #==== Dept. of Piano 1945 경성음악학교 본과 기악부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양금과 1950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기악과 1953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198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피아노전공 202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
====# 관현악과 #==== Dept.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1945 경성음악학교 본과 기악부 1946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제금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콘트라베이스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첼로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관악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악기과 1950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기악과 1953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198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현악전공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관악전공 2022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 국악과 #==== Dept. of Korean Music 학과 설립 이전 경성음악학교에 이미 국악과가 설립되었다는 회고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의과대학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의과대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의과대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의과대학 College of Medicine 학부/과 전공 의예과 의학과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의학'''}}}]]
'자유전공학부'와 '광역'으로 나뉜다. 광역의 경우 2개 학기 이상 수료 후 전공을 결정하여 해당 학과(학부)로 소속을 변경하여 졸업하게 되며 전공은 7개 단과대학의 전공 중에서 선택한다. 자유전공학부는 소속 변경 없이 '학부대학 자유전공학부 ○○○전공'으로 졸업하며 전공은 10개 단과대학의 전공 중에서 선택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자유전공학부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자유전공학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울대학교/학부/자유전공학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유전공학부 Faculty of Liberal Studies 전공 자유전공
첨단융합학부 School of Transdisciplinary Innovations (SNUTI) 전공 디지털헬스케어전공 융합데이터과학전공 지속가능기술전공 차세대지능형반도체전공 혁신신약전공
서울대학교/학부/치의학대학원 문서 참조. 치의학대학원 School of Dentistry 학부/과 전공 치의학과(학사) 치의학과(석사) #!if (other1 != null) && (배경색 == null)
{{{#!if 배경색 = other1
}}}
#!if (other2 != null) && (글자색 == null)
{{{#!if 글자색 = other2
}}}
#!if (other3 != null) && (텍스트 == null)
{{{#!if 텍스트 = other3
}}}
#!if (font != null) && (폰트 == null)
{{{#!if 폰트 = font
}}}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치의학'''}}}
#!if 링크 != null
[[|{{{#!wiki style="background-color:#003380; border-radius:5px; color:#ffffff; display:inline; font-size:.9em; margin:1px; padding:3px; font-family:"
'''치의학'''}}}]]
학생설계전공은 학생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대학의 인정을 받은 전공과정으로 소속 학과장이 관련 전공의 교수로 구성한 학생설계전공심사위원회에서 심의 승인한다. 이는 하버드 대학교 의 특별전공(special concentrations)을 모방한 형태다. 4. 연합전공 연합전공은 2개 이상의 전공과정이 공동으로 참여하며 제공하는 전공과정으로써 주관 대학에서 관리 운영한다. 연합전공은 하나의 독립된 전공으로 간주되어 연합전공을 이수할 경우 복수전공처럼 별도의 학사 학위가 주어지지만 자유전공학부가 아닌 이상 소속 학과(부) 전공을 이수하지 않고 연합전공을 단일전공으로 이수할 수는 없다. 이수를 위한 최소학점 수 역시 복수전공의 그것과 같은 39학점.정보문화학(Information Science and Culture Studies): 사회과학대학 주관. 계산과학 (Computational Sciences): 2011년 신설. 자연과학대학 주관.벤처경영학(Business Venture and Entrepreneurship Management): 경영대학 주관. 기술경영 (Technology Management Major): 공과대학 주관.글로벌환경경영학(Global Environmental Management Major): 2010년 신설. 농업생명과학대학 주관. 영상매체예술 (Media Art Major): 미술대학 주관.동아시아비교인문학(Comparative Studies for East Asian Humanities): 2017년 신설. CORE 사업에 의거하여 설치. 인문대학 주관. 링크 인공지능반도체공학 (System Semiconductor Engineering for AI): 2020년 신설. 전기·정보공학부 주관.정치-경제-철학(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 2024년 연계전공에서 연합전공으로 전환. 인문대학 주관.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2020년 신설. 컴퓨터공학부 주관.지능형통신(Intelligent Communications): 2022년 신설. 전기·정보공학부 주관. 5. 연계전공 ‘연계전공 이수’는 주관 학과(부)가 다른 학과(부)의 전공에서 제공하는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교과과정을 확장 편성한 전공을 이수하는 것을 말한다. 신청자격은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하고 33학점 이상 취득한 이후에 신청할 수 있다. 이수 시 학위가 수여되지 않으며 이수를 위한 최소학점 수가 21학점인 것이 부전공 제도와 동일하다. 참여학과에 소속된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는 곳도 있고 과 상관없이 지원이 가능한 곳도 있다. 자세한 것은 학과 사무실에 전화해서 알아보자.전공명 / 주관대학(주관학과) / 참여학과(부) 고전문헌학 /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 인문대학 전학과 및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역사교육과, 자유전공학부러시아학 / 인문대학(노어노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서양사학과, 정치외교학부, 인류학과, 경제학부라틴아메리카학 / 인문대학(서어서문학과) / 서어서문학과, 정치외교학부, 인류학과, 지리학과, 사회학과, 경제학부 인문데이터과학 / 인문대학(언어학과) / 고고미술사학과, 국사학과, 국어국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미학과, 언어학과, 언론정보학과, 사회학과, 지리학과, 산업공학과, 통계학과 유럽지역학 / 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 / 외교학전공, 정치학전공, 인류학과, 지리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서양사학과, 종교학과, 철학과 뇌-마음-행동 /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 심리학과, 생명과학부, 언어학과, 철학과, 컴퓨터공학부, 통계학과 금융경제 / 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 / 경제학부, 경영대학, 수리과학부, 통계학과, 농경제사회학부일본학 / 사회과학대학(인류학과) / 동양사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정치외교학부, 인류학과, 자유전공학부, 응용공학과금융수학 / 자연과학대학(수리과학부) / 수리과학부, 경제학부, 경영대학, 산업공학과, 컴퓨터공학부과학기술학 / 자연과학대학(생명과학부) / 생명과학부, 화학부, 물리천문학부, 수리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통계학과, 재료공학부, 철학과, 국사학과, 사회학과학습과학 / 사범대학 (교육학과) / 사범대학-교육학과, 수학교육과, 영어교육과 / 인문대학-독어독문학과 /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 빅데이터혁신공유대학사업단 영화영상학 /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 전공설계지원센터 홈페이지 참조 (https://advising.snu.ac.kr/resources_501/ ) 6. 폐지 학과 서울대학교 설립 이래 무수한 학과가 설립되고 폐지되었다. 폐지된 학과 중 그 후신 학과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 학과를 아래에 기재한다.문리과대학 라틴어과/이어이문학과/희랍어과1946년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출범 당시 존재하던 23개 학과 중 하나였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실제 학생을 모집하지 못하고 폐과되었다. 고전문헌학 연계전공이 정신적 후신이라고 하겠지만, 직접적인 연관관계는 없다.공학대학 공업교육과1963년 , 공업교육 전담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신설된 학과이다. 세부전공으로 건축, 기계, 용접판금, 자동차,전기, 전자, 주조, 일곱 전공이 개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1978년 , 전국의 공업교육과를 충남대학교 공업교육과로 일원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폐지되었고, 각 세부전공은 각 해당전공과 유사한 공과대학의 각 학과로 편입되어, 현재 공업교육과를 온전히 계승하는 학과는 없다. 예술대학 음악부 사범과 서울대학교 설립 당시 예술대학 음악부 내에 개설되었던 과 중 하나. 1940년대 후반에 폐지되었다. 후에 대학원 연합전공 음악교육과 로 부활. 미술대학 예술학과1961년 미술대학에 설치된 학과로 이듬해 폐지되었다. 미학과가 문리과대학(文理科大學)으로 소속을 변경하면서 그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한 목적으로 미술대학 측에서 설립을 시도하였으나, 정부의 유사학과 개설 불가 방침에 의해 학과 개설이 번복되었다. 7. 둘러보기 서울대학교의 학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학(원) 학부 대학원 <colbgcolor=#E3EDFF,#000F2A>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고고학전공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전공
미술사학전공
미술사학전공
철학과
동양철학전공
서양철학전공
종교학과
미학과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인지과학전공
비교문학전공
기록학전공
공연예술학전공
사회과학대학 정치학전공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
외교학전공
외교학전공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언론정보학과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평화통일학전공
자연과학대학 수리과학부
통계학과
물리·천문학부
물리학전공
천문학전공
화학부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협동과정)
유전공학전공
뇌과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계산과학전공
생물물리및화학생물학전공
간호학과
경영학과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전공
멀티스케일기계설계전공
재료공학부
재료공학전공
하이브리드재료전공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공학부
화학생물공학부
화학생물공학전공
에너지환경화학융합기술전공
건축학과
산업공학과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전공
원자핵공학전공
조선해양공학과
항공우주공학과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전공
도시설계학전공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우주시스템전공
인공지능전공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지역정보전공
지역정보전공
작물생명과학전공
식물생산과학부
작물생명과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원예생명공학전공
산업인력개발학전공
농산업교육과
산림환경학전공
산림과학부
산림환경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환경재료과학전공
식품생명공학전공
농생명공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공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명화학전공
응용생물학전공
식물미생물학전공
곤충학전공
바이오모듈레이션전공
생태조경학전공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바이오소재공학전공
#!wiki style="margin:0px;margin-top:-3px;margin-bottom:-3px;
{{{#black,#DDDDDD {{{-2 스마트시스템과학과}}}}}}
(협동과정)
농림기상학전공
농생명유전체학전공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공업디자인전공
디자인역사문화전공
도예전공
금속공예전공
동양화과
서양화과
서양화전공
판화전공
조소과
(협동과정)
미술경영전공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교육공학전공
교육상담전공
교육행정전공
평생교육전공
국어교육과
외국어교육과
영어전공
독어전공
불어전공
사회교육과
일반사회전공
역사전공
지리전공
윤리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물리전공
화학전공
생물전공
지구과학전공
체육교육과
스포츠과학전공
인간운동과학전공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미술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
특수교육전공
환경교육전공
유아교육전공
글로벌교육협력전공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전공
소비자학과
아동가족학전공
아동가족학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수의학과
약학과
음악과
성악전공
작곡·지휘전공
이론·음악학전공
피아노전공
현악전공
관악전공
국악전공
의학과
의과학과
휴먼시스템의학과
의료기기산업학과
(협동과정)
종양생물학전공
임상약리학전공
의료정보학전공
줄기세포생물학전공
학부대학
보건학과
보건학전공
보건정책관리학전공
환경보건학과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정책학전공
도시및지역계획학전공
교통학전공
환경관리학전공
도시·사회혁신전공
환경조경학전공
도시환경설계전공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국제학과
국제통상전공
국제협력전공
국제지역학전공
한국학전공
경영학과
Executive MBA
법학과
응용바이오공학과
지능정보융합학과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수리정보과학과
헬스케어융합학과
국제농업기술학과
경제동물과학전공
바이오식품산업전공
종자생명과학전공
그린에코시스템공학전공
국제농업개발협력전공
응용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