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3:47:14

성남 버스 375

성남 버스 75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경기순환
직행좌석

심야
일반
마을
7대일
7영상
[[성남 버스 602-1|
602-1A/B
]]
}}}}}}}}} ||


파일:375_6315.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4.1.1. 375번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사송동종점에서 야탑역, 서현역, 판교역, 판교테크노밸리, 판교원마을, 운중동행정복지센터를 거쳐 운중고등학교를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 일반시내버스 37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375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사송동종점)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운중고등학교)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50 막차 23:50
평일배차 15~20분 휴일배차 20~30분
운수사명 대원버스 인가대수 10대[1]
노선 사송동종점 - 성남시청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전면) -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 이매역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 분당점 - 성남역.백현마을 - (→ 판교역남편 → 판교역서편 →/← 판교역동편 ← 판교역북편 ←) - 동안교 - 금토천교 - 이노밸리 - 낙생초등학교 - 판교도서관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운중고등학교 → 건영LIG앞 → 산운마을12단지 → 판교포레라움아파트정문 → 성남시운중도서관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이후 역순

3. 역사

파일:성남75_노선도.png}}}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 75번 시절 #====
평일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0년3,083
2021년4,043△ 960
※ 하차 인원 미포함
주말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0년983
2021년1,404△ 421
※ 하차 인원 미포함

4.1.1. 375번

평일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3년 -
※ 하차 인원 미포함
주말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3년 -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주말 2~4대 운행[2] 파스퇴르연구소에는 73-1번이 대체 투입되었으나, 역시 2018년 10월 이노밸리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어 현재는 버스가 다니지 않는다.[3] 이 당시에는 본선 배차간격이 너무 뜸했기 때문에 맞춤형 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4] 반대편 경남아너스빌 정류장은 아예 이용하지 않는다.[5] 07:10~08:20, 18:00~19:20[6] 판교역서편에서 메디포스트 방면으로 이동 시 동안교 정류장(07450) 정차는 기존대로 유지된다.[7] 당초에는 코로나19 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 또는 '주의'로 하향시 배차간격을 원상 복귀하려고 했으나, 2020년 5월 20일부터 등교수업이 시작됨에 따라 장거리 등ㆍ하교 학생들을 위해 일찍 원상 복귀되었다.[8] 판교테크노밸리 직원들도 대다수가 재택근무 또는 거점지 근무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출퇴근 수요를 잡기도 힘든 상황이었다. 그 와중에 602-1번 맞춤형 노선은 수요 감소에도 아랑곳 않고 감차를 하지 않아, 차는 자주 오는데 승객 없이 빈 차들만 잔뜩 지나가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9] 실제로 평시에 75번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면, 상행에는 차가 한 대도 없고 하행에만 6대가 몰려가는 기현상도 가끔 발견할 수 있다.[10] 이 구간의 최강자인 602-1번602-2번 맞춤형 노선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실제로 SK플래닛 쪽에선 신호등이 많은 H스퀘어 쪽으로 돌아가는 602 시리즈보다 금토천교 방향 대각선으로 한 번에 질러가는 75번이 판교역까지 좀 더 빠르게 닿는다.[11] 75번의 증차로 인해 330번, 350번 등 해당 구간을 운행하던 시내버스의 수요가 일부 타격을 입고 있다.[12] 참고로 75와 함께 야탑역 - 이매동 - 판교역 방향을 운행하는 55번은 이매촌이 아닌 서쪽의 아름마을(탄천로)을 지난다.[13] 해당 구간은 2019년 5월부터 누리1번이 75번과 동일하게 운행 중이지만, 가끔 75번이 연착할 때를 제외하고는 큰 존재감은 없다. 75번이 먼저 폭풍증차를 통해 높은 인지도를 갖추었기 때문. 한편 누리1번도 없고 75번도 4대 밖에 안 다니던 시절에는 돈 좀 내더라도 자주 오는 3330번을 타는 수밖에 없었다. 잘 보이지도 않는 4000번은 예외[14] 서판교 주민 뿐 아니라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야근을 마치고 귀가하는 통근자들이 이 시간대까지도 많이 탄다.[15] 어차피 크게 상관은 없다. 둘 중에 아무데서나 내려도 엔씨소프트 건물 바로 앞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