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09:29:26

송혜교/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송혜교

파일:송혜교 서명 화이트.svg
송혜교
Song Hyekyo


[ 출연 작품 ]
||<#f48f7f><-4>
영화
||
파일:파랑주의보 송혜교.jpg
파일:황진이 송혜교.jpg
파일:영화 오늘 송혜교.jpg
파일:두근두근 내 인생 송혜교.jpg
파랑주의보

배수은
2005

황진이
2007
오늘

다혜
2010
두근두근 내 인생

미라
2014
파일:검은수녀들_송혜교.jpg

유니아 수녀
2025
드라마
파일:1000006630.jpg
파일:호텔리어_김윤희.jpg
파일:수호천사 송혜교.jpg
파일:올인 송혜교.jp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윤은서/최은서
2000
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김윤희
2001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

정다소
2001
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민수연
2003
파일:송혜교 지연우.jpg
파일:드라마 풀하우스.png
파일:1000008005.jpg
파일:1000008006.jpg
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지연우
2004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한지은
2004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주준영
2008
파일:SBS 텍스트 로고 블랙.svg

오영
2013
파일:태양의 후예 송혜교.jpg
파일:남자친구 캐릭터 포스터 - 차수현.jpg
파일: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송혜교 포스터.png
파일:더 글로리 문동은 포스터.jp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강모연
2016
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차수현
2018~2019
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하영은
2021~2022
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문동은
2022~2023
[ 음반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nopad> 파일:323328.jpg||<width=25%><nopad> 파일:송혜교 후애.jpg ||<width=25%> ||<width=25%> ||
송혜교 DEBUT
싱글

2012. 03. 08
후애(後愛)
싱글

2025. 01. 10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
파일:8014222.jpg
||<width=25%> ||<width=25%> ||<width=25%> ||
한 여름 밤의 꿈 (Music Video ver.)
OST

2005. 12. 22
{{{#!folding [ 관련 문서 ]

1. 개요2. 본업 관련3. 해외 인기 및 영향력4. 가족 관련
4.1. 송중기와의 결혼과 이혼
5. 취미6. 기타

1. 개요

송혜교의 각종 여담을 서술한 문서.

2. 본업 관련

3. 해외 인기 및 영향력

4. 가족 관련

4.1. 송중기와의 결혼과 이혼

2017년 7월 5일, 드라마 《태양의 후예》 를 함께 했던 배우 송중기와 결혼한다고 깜짝 발표했다.[16] 그 전까지 여러 매체에서 주장한 열애설을 모두 부인해오다 갑자기 결혼 발표를 했다. 소속사 입장 전문 같은 해 10월 31일 4시, 서울 신라호텔에서 송중기와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2019년 6월 27일, 송혜교와 송중기 양측이 이혼조정신청 중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

이혼 사유에 대해 양측은 원만한 합의이혼이라 강조했다. 송중기 측은 "송혜교와 이혼을 위한 조정절차를 진행하게 됐다. 두 사람 모두 잘잘못을 따져가며 서로를 비난하기보다는 원만하게 이혼절차를 마무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송혜교 측 역시 "송혜교는 남편(송중기)과 신중한 고민 끝에 이혼 절차를 밟고 있다. 사유는 성격 차이로, 양측이 둘의 다름을 극복하지 못해 부득이하게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됐다"며 추측성 보도와 댓글을 자제해주기를 부탁했다.

그러나 일부 매체의 억측과 증권가 찌라시 등을 통해 여러 악성 루머들이 퍼졌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송중기가 일방적으로 이혼 조정 신청을 했다는 것. 특히 채널A 등이 "송중기가 송혜교와 상의 없이 이혼 조정 신청을 했다"고 보도하며 파문이 일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송혜교 측 관계자는 '스포츠조선'을 통해 "송중기의 일방적인 이혼 발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혼을 발표하기까지 송중기와 송혜교 모두 서로의 의견을 충분히 나눴고 고민 끝에 사실을 알리기로 결정했다"며 "소문이나 추측에 대한 대처는 아직 계획하지 못했다. 두 사람이 원만한 논의 끝에 협의 이혼을 하게 된 것"이라고 허위 루머를 바로잡았다. 송중기 측 관계자 역시 "협의를 거쳐 이혼조정을 신청한 것"이라며 "소송으로 이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그렇다면 왜 협의이혼이 아닌 이혼 조정을 신청했을까? 이는 유명인이라는 부담감 때문이라는 것이 연예 관계자들의 중론. 실제로 협의이혼을 진행하려면 당사자인 부부가 2차례 직접 법원을 방문해야 한다. 송혜교와 송중기로서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 반면 이혼 조정은 당사자가 아닌 법률대리인이 대리출석 가능한 데다, 양측 합의만 있으면 협의이혼보다 진행이 더 빠르다. 기사

이혼 조정은 2019년 7월 22일, 27일 만에 마무리됐다. 일반적으로 자녀 없는 협의이혼이 2달 정도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빠른 시간 내로 마무리된 셈이다. 송혜교 측은 "양측 서로 위자료, 재산분할 없이 이혼하는 것으로 조정절차가 마무리되었음을 알려드린다"고 간결한 입장을 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취미

6.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02
, 10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흥행이 아쉬웠던 드라마가 거의 없으며, 그녀의 작품 중 가장 시청률이 낮았던 ‘그들이 사는 세상’은 아직까지도 웰메이드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다.[2] 차태현과의 통화로 《라디오스타》에 출연한 적 있다. # 사전협의가 안 됐는지, 전화 끊기 직전 "오빠 그거 끝나고 일단 전화해"는 덤.[3] 출연 분량으로 불화설이 제기되었음을 미루어볼 때 상당 부분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4] 3년 내내 중국에서 촬영한 것은 아니고 몇 달씩 중국에서 체류하고 한국과 중국을 오가면서 촬영했다.[5] 왕가위 감독의 전형적인 스타일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왕가위 문서의 비판 항목 참고.[6] 중화권 매체들은 감독과 출연진이 출연 분량과 촬영 일정 등의 문제로 다투었다고 보도했다. 특히 보도에 따르면 주연 배우인 양조위는 격투 장면 중 상당 부분이 잘려나가 조연배우처럼 표현된 것에 불만을 품었다고 한다.[7] 설이 제기됐을 뿐이지, 2019년 왕가위 감독의 제작사인 '쩌둥영화'와 계약을 맺는 등 현재까지도 왕가위 감독과 좋은 관계를 유지 중이다.[8] 가만히 있는데 갑자기 우울해지는 등 일상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9] 실제로 둘은 친하다.[10] 2022년 6월 계약 종료[11] # # 존예 갓벽 TOP2[12] 송혜교와 함께 3명의 펜디 아티스틱 디렉터인 킴 존스, 실비아 벤투리니 펜디, 델피나 델레트레즈 펜디와 펜디 CEO 세르지 브륀슈위그, 모델 케이트 모스, 모델 릴라 모스, 모델 프레셔스 리, 배우 및 모델 수키 워터하우스, 배우 그웬돌린 크리스티, 배우 크리스티나 리치가 펜디 팀으로 참석했다.[13] Coming in after Chanel for MIV was the other brand Lagerfeld designed for until his passing, Fendi, with $32.3 million. Fendi's "significant media presence" on the night was primarily a result of the brand dressing the South Korean actress Song Hye-Kyo. Meanwhile a single fan account for the star produced 43 pieces of content, generating an overall engagement rate of 14.2 percent, a media value of $59,800 and a bumper night for the Fendi brand. #[14] 칼 라거펠트가 직접 캐스팅하고 촬영했다.[15] 뽑은 순서는 스페인,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16] 동본이 아님에도 뿌리가 같은 중시조, 도시조를 갖기 때문에 분파 막론하고 송씨 가문의 노인들이 한때 저들 부부를 욕했던 이유이다.[17] 첫 영화 《파랑주의보》에서 수중신을 위해 교육을 받았다.[18] 시인 김윤식의 2001년 작 #[19] 콘스탄스 백이나 가든 파티 백도 종종 착용한다.[20] 파파라치 사진 등으로 노출된 가방 수만 15개가 넘는다.[21] 이병헌, 현빈, 송중기.[22] 모두 송혜교보다 나이가 어린데다가, 배우 경력도 적게는 무려 10년 넘게 차이가 나는 대선배 중에 대선배다보니 후배 배우들이 초반에는 송혜교를 다소 부담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거기다가, 가해자 역할을 맡은 후배 배우들 모두 송혜교의 팬 (특히, 김히어라)이며 배우계는 위계질서가 상당히 엄격한 곳이니 네티즌들도 이해하는 반응을 보였다.[23] 그러나 악플러들 때문인지 댓글창은 막아 두었다.[24] 올라온 티켓 사진에 (4/6) 으로 되어 있어 그렇게 추측할 수 있으나 실제로 6연석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카드 최상위 등급의 선예매라도 6연석은 불가능에 가깝다. 올라온 목격담으로 보아 2연석과 4연석으로 나눠 티켓팅한 것으로 보인다.[25] 당시 연예인 특혜 의혹이 제기되고 있었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27 브루노 마스 문서의 공연 후 반응 항목 참고.[26] 초대석은 초대석으로 별도 표시되어 있다.[27] 나머지 한 대의 오너는 이천수. 이천수가 "옛날 그 차를 타고 강남의 한 주유소에 들렀다. 주유소 직원들이 다 나와서 맞아주길래 '왜 그러시냐' 했더니 송혜교 씨인 줄 알았다고 하더라. 송혜교 씨 차와 똑같은 게 들어오니까 다 달려와서 기다리고 있었다"고 언급하여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