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22:48:56

아민토레 판파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77d 0%, #00309A 20%, #00309A 80%, #00277d); color: #d8d8d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이탈리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베티노 리카솔리 우르바노 라타치 루이지 카를로 파리니
제5대 제6대 제2대2 제3대2
마르코 밍게티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베티노 리카솔리 우르바노 라타치
제7대 제8대 제5대2 제9대
루이지 페데리코 메나브레아 조반니 란차 마르코 밍게티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제10대 제9대2 제10대2 제11대
베네데토 카이롤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베네데토 카이롤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제12대 제13대 제11대2 제12대2
안토니오 스타라바 조반니 졸리티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안토니오 스타라바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3대2
루이지 펠룩스 주세페 사라코 주세페 차나르델리 조반니 졸리티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13대3
톰마소 티토니 알레산드로 포르티스 시드니 손니노 조반니 졸리티
제19대2 제20대 제13대4 제21대
시드니 손니노 루이지 루차티 조반니 졸리티 안토니오 살란드라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13대5
파올로 보셀리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 조반니 졸리티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이바노에 보노미 루이지 팍타 베니토 무솔리니 피에트로 바돌리오
제25대2 제29대 제30대
이바노에 보노미 페루초 파리 알치데 데 가스페리
이탈리아 공화국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 주세페 펠라 아민토레 판파니 마리오 셸바
<rowcolor=#d8d8d4> 제34대 제35대 제32대2 제34대2
안토니오 세니 아도네 촐리 아민토레 판파니 안토니오 세니
<rowcolor=#d8d8d4> 제36대 제32대3 제37대 제38대
페르난도 탐브로니 아민토레 판파니 조반니 레오네 알도 모로
<rowcolor=#d8d8d4> 제37대2 제39대 제40대 제41대
조반니 레오네 마리아노 루모르 에밀리오 콜롬보 줄리오 안드레오티
<rowcolor=#d8d8d4> 제39대2 제38대2 제41대2 제42대
마리아노 루모르 알도 모로 줄리오 안드레오티 프란체스코 코시가
<rowcolor=#d8d8d4> 제43대 제44대 제32대4 제45대
아르날도 포를라니 조반니 스파돌리니 아민토레 판파니 베티노 크락시
<rowcolor=#d8d8d4> 제32대5 제46대 제47대 제41대3
아민토레 판파니 조반니 고리아 치리아코 데 미타 줄리오 안드레오티
<rowcolor=#d8d8d4>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줄리아노 아마토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람베르토 디니
<rowcolor=#d8d8d4> 제52대 제53대 제48대2 제50대2
로마노 프로디 마시모 달레마 줄리아노 아마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rowcolor=#d8d8d4> 제52대2 제50대3 제54대 제55대
로마노 프로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마리오 몬티 엔리코 레타
<rowcolor=#d8d8d4>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마테오 렌치 파올로 젠틸로니 주세페 콘테 마리오 드라기
<rowcolor=#d8d8d4> 제60대
조르자 멜로니
파시스트 정권
관련 직위: 이탈리아 대통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파일:벨기에 국기.svg 폴 앙리 스파크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스왈도 아라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아르세 파일:호주 국기.svg 허버트 에바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일:필리핀 국기.svg 카를로스 로물로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나스롤라 엔테잠 파일:멕시코 국기.svg 루이스 파딜라 네르보 파일:캐나다 국기.svg 레스터 피어슨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파일:인도 국기.svg 비자야 락슈미 판디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엘코 판 클레펜스 파일:칠레 국기.svg 호세 마사 페르난데스 파일:칠레 국기.svg 루데신도 오르테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파일:태국 국기.svg 완 와이타야콘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레슬리 먼로 파일:레바논 국기.svg 샤를 말리크 파일:페루 국기.svg 빅토르 안드레스 벨라운데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프레더릭 볼런드 파일:튀니지 국기.svg 몽기 슬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카를로스 소사 로드리게스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파일:가나 국기.svg 알렉스 퀘이슨새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민토레 판파니 파일:아프가니스탄 왕국 국기(1931-1973).svg 압둘 라만 파즈와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코르넬리우 머네스쿠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에밀리오 아레날레스 과탈란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앤지 브룩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에드바르 함브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아담 말릭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파일:폴란드 국기.svg 스타니스와프 트레프친스키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레오폴도 베니테스 파일:알제리 국기.svg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가스통 토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해밀턴 셜리 아메라싱게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라자르 모이소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인달레시오 리에바토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살림 아흐메드 살림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파일:독일 국기.svg 뤼디거 폰 베흐마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스마트 키타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홀러이 임레 파일:파나마 국기.svg 호르헤 일루에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파일:잠비아 국기.svg 폴 루사카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이메 데 피니에스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후마윤 라시드 초우두리 파일:동독 국기.svg 페터 플로린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단테 카푸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조지프 난벤 가르바 파일:몰타 국기.svg 귀도 데마르코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미르 시하비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스토얀 가네프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루디 인새널리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아마라 에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디오고 프레이타스 도 아마랄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라잘리 이스마일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헨나디 우도벤코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디에르 오페르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테오벤 구리랍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일:핀란드 국기.svg 하리 홀케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승수 파일:체코 국기.svg 얀 카반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줄리언 헌티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파일:가봉 국기.svg 장 핑 파일:스웨덴 국기.svg 얀 엘리아손 파일:바레인 국기.svg 하야 라셰드 알할리파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스르잔 케림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미겔 데스코토 브로크만 파일:리비아 국기.svg 알리 트레키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제프 다이스 파일:카타르 국기.svg 나시르 엘나세르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부크 예레미치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존 윌리엄 애시 파일:우간다 국기.svg 샘 쿠테사 파일:덴마크 국기.svg 모겐스 뤼케토프트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파일:피지 국기.svg 피터 톰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미로슬라우 라이차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마리아 페르난도 에스피노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티자니 무하마드반데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볼칸 보즈크르 파일:몰디브 국기.svg 압둘라 샤히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쾨뢰시 처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데니스 프랜시스
제81대 제82대
파일:카메룬 국기.svg 필레몬 양 파일:독일 국기.svg 아날레나 베어보크 }}}
유엔 사무총장}}}}}}}}}}}}
이탈리아 공화국 제32대 총리
아민토레 판파니
Amintore Fanfani
파일:아민토레판파니.jpg
출생 1908년 2월 6일
이탈리아 왕국 토스카나 주 아레초 현 피에베산토 스테파노
사망 1999년 11월 20일 (향년 91세)
이탈리아 로마
재임기간 제32대 총리1기
1954년 1월 19일 ~ 1954년 2월 10일
제32대 총리2기
1958년 7월 2일 ~ 1959년 2월 16일
제32대 총리3기
1960년 7월 27일 ~ 1963년 6월 22일
제32대 총리4기
1982년 12월 1일 ~ 1983년 8월 4일
제32대 총리5기
1987년 4월 18일 ~ 1987년 7월 29일
학력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정치경제학 / 박사)
직업 정치인, 교수
약력 노동부 장관
농업부 장관
이탈리아 제32대 총리
기독교민주당 사무총장
내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상원의장
이탈리아 대통령 권한대행
예산부 장관
소속 정당 국가 파시스트당(1935~1943)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
기독교민주당
]](1943~1994)
이탈리아 인민당(1994~1999)
가족 배우자 비앙카로사 프로바솔리 (1939년~1968년)
마리아 피아 타바차니 (1975년~1999년)
자식 7명
종교 가톨릭
파일:1280px-Amintore_Fanfani_ritratto.jpg
유엔 총회 회의장 초상화
1. 개요2. 생애

1. 개요

이탈리아의 제32대 총리. 무려 5번이나 총리를 역임한 20세기 후반 이탈리아 정치의 상징적인 인물이다.

2. 생애

아민트로 판파니는 가톨릭 신앙이 강한 가정에서 성장했으며 여러 도시를 옮겨 다니며 교육을 받았다. 청년기에는 가톨릭 청년·대학생 단체에서 활동했고 1926년 밀라노 가톨릭대학교에 진학해 정치·경제·사회과학을 공부한 뒤 1930년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 1936년 경제사 교수로 임용되었다. 초기에는 교회 사회교리와 결합된 파시스트식 코르포라티비스모를 강하게 지지했으며 파시스트 신비주의 학교에도 참여하고 잡지에 글을 쓰는 등 정권과 밀접했다. 1930년대 말에는 인종주의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피력해 인종적 순수성과 반유대주의를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사회경제사 분야의 연구로 학계 명성을 얻었고, 종교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한 저서는 미국 가톨릭계에서도 주목받아 존 F. 케네디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1943년 이후 스위스에서 망명자 교육을 조직하다 해방 후 귀국해 도세티의 요청으로 기독교민주당(DC) 선전 책임자가 되며 정치에 본격 진입했다. 제헌의회 의원으로 헌법 제1조 문구를 작성했고, 도세티 은퇴 이후 당 내 좌파 계열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1947년부터 노동·사회보장·농업·내무 등 주요 부처 장관을 지냈으며, 1949년 30만 호 건설을 목표로 한 ‘판파니 주택 계획’을 추진해 전국적 대규모 공공주택 건설을 실현했다.

1954년 판파니는 첫 내각을 구성했지만 신임을 얻지 못했고, 같은 해 기독교민주당(DC) 서기로 선출되어 당 조직을 강화했다. 1958년 총선 승리로 외무장관을 겸한 두 번째 정부를 구성하며 중도 우파 중심의 기존 노선을 넘어선 새로운 정치 방향을 모색했으나, 당내 반대와 권력 집중 비판으로 ‘프랑키 티라토리’의 견제를 받아 1959년 사임하고 서기직에서도 물러났다. 이후 DC 내 그의 계파 ‘이니치아티바 데모크라티카’가 분열되어 도로테이와 누오베 크로나케로 재편되었고, 서기에는 알도 모로가 선출되었다. 패배 후 한때 정계를 떠나는 것을 고민했지만 1959년 전당대회에서 중도좌파 연합을 이끌어 큰 영향력을 회복했다.

1960년 탄브로니 정부 붕괴 후 총리로 복귀해 제3차 정부를 구성했고, 모로와 함께 본격적인 중도좌파 연정을 준비해 1962년 DC 전당대회에서 PSI와의 협력을 공식화했다. 이어 구성된 제4차 판파니 정부는 중도좌파 다수파의 시작이 되었고, 전력국유화, 의무교육 14세 확대와 중학교 통합, 사회보장 확충, 국민주택·인프라 건설, 군복무 단축 등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했다. 또한 RAI를 공영방송 체제로 정비하고 마피아 조사위원회를 설치했으며, 미국 방문을 통해 나토 핵전략에서 이탈리아의 역할 확대도 시도했다. 그러나 그의 사회개혁 노선은 산업계와 당내 우파의 반발을 불러왔고, 1963년 선거 부진으로 사임했다. 이후 1965~1968년 알도 모로 내각에서 외무장관으로 활동했으며, 1965~1966년에는 UN 총회 의장에 선출되어 2021년 기준 유일한 이탈리아 출신 의장으로 기록된다.

그러나 1966~1968년 마지막 외무장관 시절, 마테이 사망과 아랍 국가들의 모스크바 의존 우려로 친아랍 정책이 실패하며 미국과 갈등을 빚고, 알도 모로 총리와 주세페 사라가트 대통령 사이에서 정치적 균형을 유지해야 했다. 1968~1973년 상원 의장으로 재임하며, 20년간 DC와 정부를 지원하는 핵심 인물로 활동했고, 상원 의장 재임 중 대통령 권한을 세 차례 대행했다.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 DC 공식 후보였으나 당내 ‘프랑키 티라토리’ 반대 등으로 실패하고, 잔차로 1972년 종신 상원 의원에 임명되었다. 이 실패는 중도좌파 정치의 첫 번째 국면 종료를 의미했으며, 이후 줄리오 안드레오티가 중심 우파 다수를 기반으로 새 정부를 구성했다.

안토레 판파니는 1973년 안드레오티 중심의 중도 정부가 1년 만에 종료된 뒤, 자신과 알도 모로 간의 ‘팔라초 주스티니아니 협약’으로 DC 당내 제12차 전국대회에서 중도좌파로 복귀하는 문서를 승인받고, 전임 비서 아르날도 포를라니를 대신해 당 서기직에 복귀했다. 그러나 중도좌파 공식 복귀에도 정치적 위기는 계속됐다. 판파니는 가톨릭 진영의 압력으로 이혼 금지 국민투표 캠페인을 이끌었지만 당내 명확한 지지 없이 진행했고, 참패 후에도 약 1년간 서기직을 유지했다. 1975년 지방선거에서 치안·테러 대응을 핵심으로 한 선거 전략이 실패하며 DC가 사상 최저 성적을 기록하자, 당 중앙위원회는 판파니에게 불신임을 표했다. 후임 벤니뇨 차카그니니는 당내 좌파 개방 노선을 추진했고, 판파니는 1976년 DC 전국대회에서 안드레오티, 도로테이 계열과 함께 중도파 연합 ‘DAF’를 구성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당 내 소수파 대표로 DC 중앙위원회 의장직을 맡고, 1976년 총선 선거운동을 주도한 후 상원 의장에 선출되어 1979년 재선, 1982년까지 유지했다.

모로 납치 사건 당시 판파니는 DC 내에서 유일하게 강경책을 반대하며 협상 노선을 지지했으나 당내 고립되었고, 모로 자신도 판파니에게 의지했으나 암살 전 최종 결정에 관여하지 못했다. 1980년 DC 전국대회에서 중도파 확립에 기여했으나, 1982년 대회에서는 포를라니를 제치고 시리아코 데 미타를 당 서기로 선출하는 ‘PAF’(Piccoli, Andreotti, Fanfani) 연합을 주도하며 당내 판파니 계파의 상당 부분이 분열되었다.

아민토레 판파니는 1982년 12월 1일부터 1983년 8월 4일까지 다섯 번째로 이탈리아 총리를 맡아 DC-PSI-PSDI-PLI 연립정부를 외부 PRI 지지 속에 이끌었으며, 정부는 조기 총선을 준비하고 DC의 총리 지위를 캠페인에서 활용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83년 총선에서 DC는 사상 최저 득표율 32.9%를 기록했고, 판파니는 당시 당내 선거운동 참여 부족으로 일부 책임을 지며 상원 의장 후보에서 제외됐다. 그러나 1985년 프란체스코 코시가 대통령 당선 후 상원 의장으로 복귀해 1987년까지 재임했고, 같은 해 여섯 번째로 단독 DC 정부를 구성했으나 크락시당의 찬성으로 신임 투표에서 부결되며 사실상 ‘비탄생’ 정부가 되었다. 이후 1987년 총선에서 DC가 회복한 뒤 판파니는 고리아 정부에서 내무장관, 데 미타 정부에서 재정·경제기획 장관을 맡아 1989년까지 공직을 수행했다. 1989년 이후에는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정계에서 점차 은퇴했고,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상원 외교위원장을 마지막으로 공식 직책을 마쳤다. 1994년 PPI에 참여했으나 별다른 정치적 활동 없이 프로디 정부에 신임투표로 지지했다. 1999년 11월 20일 심폐부전으로 로마 자택에서 91세로 사망했으며, 11월 22일 국장으로 장례가 거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