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1:54:54

어메이징 스토리스

어메이징 스토리스
Amazing Stories
<nopad> 파일:어메이징 스토리스 창간호.jpg
창간호 표지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유형 사이언스 픽션 전문지
창간일 1926년 4월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연재작4. 기타5.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어메이징 스토리스》(이하 《어메이징》)는 휴고 건즈백1926년 창간한 미국잡지로, 세계 최초의 SF 전문지다.

2. 역사

《모던 일렉트릭스》(Modern Electrics) 같은 과학 전문지를 발행하던 휴고 건즈백은 잡지에서 본인이 쓴 《27세기의 발명왕》(Ralph 124C 41+) 등의 SF 소설들도 연재했다. 이런 SF 소설을 원하는 독자들이 많다는 걸 알아낸 건즈백은 1926년 SF를 전문으로 하는 새로운 잡지 《어메이징》을 창간하게 된다. 창간호에서는 쥘 베른, 허버트 조지 웰스, 에드거 앨런 포 같은 작가들의 구작만 게재했지만, 다음 호부턴 신작 소설도 개제하기 시작했다. 건즈백은 독자들에게 과학을 가르쳐주는 교육적인 SF를 추구했지만, 이런 펄프 잡지를 구매하는 독자들은 교육적인 이야기보단 자극적인 이야기를 추구했다. 때문에 한 번 건전한 표지로 바꿔봤다가 판매량이 떨어져 바로 다음 호에서 자극적인 표지로 돌아오는 일도 있었다. 또한 독자들이 보낸 편지도 게재했는데, SF 팬들이 이를 통해 정보를 교류하면서 SF 팬덤의 탄생에 영향을 끼쳤다.

1929년 건즈백이 파산하면서 《어메이징》은 건즈백의 손을 떠나고, 텍 퍼블리케이션스(Teck Publications)가 인수했다. 건즈백이 나간 이후 T. 오코너 슬론(T. O'Conor Sloane)이 새 편집자가 되었는데, 슬론은 《어메이징》 이전부터 건즈백과 함께 일하던 사람이었기 때문에 잡지에 큰 변화는 없었다. 이 시기의 《어메이징》은 1930년 새로운 SF 잡지 《어스타운딩 스토리즈》가 창간되면서 작가들이 돈 잘 주는 이쪽으로 빠져나가고[1], 판매량도 감소하는 등 위기가 있었다.

1938년 지프 데이비스(Ziff-Davis)가 《어메이징》을 인수하면서 T. 오코너 슬론은 해고되고, 레이몬드 A. 팔머(Raymond A. Palmer)가 새로운 편집자가 됐다. 팔머는 《어메이징》의 기본 방침이었던 교육적인 SF에 별 관심이 없었고, 대신 독자들이 원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잡지에 게재했다. 또한 잡지의 인기요소 중 하나였던 편지 코너도 크게 확대했고, 덕분에 잡지 판매량은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1945년부터 지하 세계에서 고대 문명을 발견했다는 리처드 S. 쉐이버(Richard S. Shaver)의 이야기에 심취해 표제작으로 실어주거나 아예 특집호까지 내주기도 했다. 쉐이버의 이야기는 큰 인기를 끌었지만 이런 음모론 이야기는 세간의 웃음거리였고, 잡지의 SF 독자들과 쉐이버 독자들 간에 충돌도 있었다. 결국 팔머는 출판사와 갈등을 빚다 《어메이징》을 떠났다.

1950년 하워드 브라운(Howard Browne)이 새로운 편집자로 들어왔다. 《어메이징》을 좀 더 수준 높은 잡지로 만들 생각이었던 브라운은 출판사를 설득해 잡지 예산을 늘리고 유명 작가들에게 신작을 의뢰하는 등 많은 공을 들였지만 6.25 전쟁 발발로 예산이 삭감되면서 실패했다. 이후 1952년 고품질의 판타지 전문지 《판타스틱》(Fantastic)을 성공시키면서 《어메이징》도 바꿔보려 시도했지만, 판매량 감소로 또 다시 실패하고 《판타스틱》도 SF 비중을 늘리게 되면서 SF 팬이 아니었던 브라운은 잡지에 관심을 잃어버린다.[2]

1956년 폴 W. 페어만(Paul W. Fairman)이 새로운 편집자로 들어왔다가 떠나고[3], 1958년 셀레 골드스미스(Cele Goldsmith)가 편집자로 들어왔다. 골드스미스는 개방적인 편집 방침으로 훗날 거장이 되는 어슐러 K. 르 귄, 로저 젤라즈니 같은 신인 작가들을 발굴하면서 잡지는 큰 명성을 얻게 되고, 골드스미스 본인도 세계SF대회에서 잡지 편집에 대한 공로로 특별상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명성도 무색하게 잡지 판매량은 계속해서 감소해갔다.

1965년 《어메이징》은 얼티메이트 퍼블리싱 컴퍼니(Ultimate Publishing Company)에 인수되었다. 출판사는 조셉 브르조즈(Joseph Wrzos)를 새로운 편집자로 앉히고, 신작의 비중을 줄이는 대신 과거 잡지에 게재되었던 구작들을 재수록해 수익을 올릴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작가들에게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 미국 SF 작가 협회(Science Fiction Writers of America)와 충돌이 있었고, 결국 비용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상을 중계한 해리 해리슨(Harry Harrison)은 연말까진 구작의 재수록을 중단하겠다는 출판사의 약속을 받고 1967년부터 《어메이징》의 새 편집자가 되었다. 하지만 약속을 지킬 기미가 보이지 않아 해리슨은 결국 사임했고, 1968년 배리 N. 말츠버그(Barry N. Malzberg)가 새 편집자가 된다. 출판사 사장인 솔 코헨(Sol Cohen)과 아는 사이라 말 잘 들을 거라 생각하고 부른 것이었지만 말츠버그도 구작의 재수록 문제로 출판사와 갈등을 빚었다.

결국 1969년 편집자는 테드 화이트(Ted White)로 교체되었다. 구작의 재수록은 1972년이 되어서야 중단된다. 화이트는 적은 예산 속에서도 어떻게든 유망한 신인 작가들을 찾아내고, 독자 편지 코너를 부활시키는 등 《어메이징》을 되살려보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였다. 하지만 슬슬 잡지의 시대가 끝나가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판매량은 계속 떨어져만 갔다.

1979년 테드 화이트가 사임한 이후 엘리너 메이버(Elinor Mavor)가 새로운 편집자가 되었다. 메이버도 화이트처럼 잡지를 되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으나 판매량을 높이진 못했다. 1980년 잡지 《판타스틱》이 《어메이징》에 합병되었다. 1982년 《어메이징》은 TSR사에 인수되었고, 조지 H. 시더스(George H. Scithers)가 편집자가 되었다. 1986년에는 패트릭 루시엔 프라이스(Patrick Lucien Price)가, 1991년에는 킴 모한(Kim Mohan)이 편집자가 되었다. 그리고 1995년 겨울호를 끝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

이후 TSR사를 인수한 위저드 오브 더 코스트1998년 《어메이징》을 부활시켰지만[4], 2000년을 끝으로 다시 중단되었다. 2004년 《어메이징》을 인수한 파이조 퍼블리싱(Paizo Publishing)이 다시 한 번 부활시켰지만, 이번에도 2005년에 중단되었다.[5]

2012년 《어메이징》을 인수한 스티브 데이비슨(Steve Davidson)이 웹진으로 부활시켰다. 이후 2018년부터 킥스타터를 통해 아이라 나이만(Ira Nayman)을 편집자로 한 종이 잡지를 부활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종이 잡지는 2021년을 끝으로 중단되었다. 2022년에는 데이비슨이 은퇴하고 로이드 페니(Lloyd Penney)가 새 편집자가 되었다.

3. 연재작


이외에도 수많은 작품들이 《어메이징》에서 연재되었다.

4. 기타

세계 최초의 SF 전문지이나 초창기를 제외하면 SF계에 큰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 그래도 최초라는 이름 값이 있어 죽은 후에도 여러 부활 시도가 있었고, 오늘날까지도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제작의 드라마 《어메이징 스토리》는 이 잡지에서 제목을 따왔다. 그냥 사용한 게 아니라 라이선스 비용도 지불하고 정식으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드라마가 나름 인기를 얻었음에도 잡지 판매량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당시 출판사인 TSR사가 돈만 받아먹고 잡지에 어떤 홍보나 투자도 하지 않았기 때문.

5. 외부 링크



[1] 《어메이징》은 건즈백 시절부터 작가들에게 돈도 잘 안 주고, 원고를 보내도 응답을 늦게 하는 걸로 악명높았다.[2] 하워드 브라운은 판타지추리 장르의 팬이었다.[3] 다른 출판사의 잡지 《엘러리 퀸의 미스터리 매거진》(Ellery Queen's Mystery Magazine) 편집자가 되었다.[4] 편집자는 킴 모한이 계속 맡았다.[5] 파이조판 편집자는 2004년엔 데이브 그로스(Dave Gross), 2005년엔 제프 버크와이츠(Jeff Berkwits)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