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3:18:33

여환섭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법무연수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무연수원장 (1972~현재)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초대
윤두식
제2대
조태형
제3대
주문기
제4대
김종경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5대
송종진
제6대
정명래
제7대
이명희
제8대
배명인
제9대
이영욱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0대
정해창
제11대
백광현
제12대
김기춘
제13대
서정신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14대
허은도
제15대
박종철
제16대
전재기
제17대
지창권
제18대
김기수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9대
최영광
제20대
김상수
제21대
송정호
제22대
이태창
제23대
주선회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24대
김영철
제25대
김학재
제26대
한부환
제27대
정홍원
제28대
정진규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29대
임내현
제30대
홍경식
제31대
임채진
제32대
안영욱
제33대
김태현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34대
명동성
제35대
박용석
제36대
조근호
제37대
노환균
제38대
소병철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39대
이득홍
제40대
임정혁
제41대
김희관
제42대
김오수
제43대
조은석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4대
박균택
제45대
배성범
제46대
조남관
제47대
여환섭
제48대
김석우
<nopad> 윤석열 정부
제49대
신자용
}}}}}}}}}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검찰 CI (흰색).svg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김도언
제2대
이건개
제3대
최명부
제4대
최명선
제5대
주광일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6대
최환
제7대
김진세
제8대
김영철
제9대
한부환
제10대
명로승
<nopad> 참여정부
제11대
김상희
제12대
서영제
제13대
홍경식
제14대
박상길
제15대
박영수
<nopad> 이명박 정부
제16대
문효남
제17대
김준규
제18대
채동욱
제19대
김진태
제20대
김학의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21대
김경수
제22대
김희관
제23대
조성욱
제24대
김강욱
제25대
이금로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6대
강남일
제27대
여환섭
제28대
이두봉
제29대
임관혁
제30대
황병주
}}}}}}}}}}}}}}}}}}

파일:검찰 CI (흰색).svg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신태익
제2대
김영천
제3대
원택연
제4대
허만호
제5대
권오병
송요찬 내각
제6대
윤준영
제7대
양정수
제8대
황창주
제9대
이홍규
제10대
이선중
김현철 내각
제11대
김용제
제12대
윤두식
제13대
조태형
제14대
최찬식
제15대
김병기
제16대
홍순일
제17대
정익원
제18대
송종진
제19대
이종원
제20대
설동훈
제21대
정태균
제22대
배명인
제23대
정명래
제24대
유태선
제25대
이용식
제26대
백광현
제27대
강용구
제28대
김양균
제29대
조성욱
제30대
신건
제31대
지헌범
제32대
류순석
제33대
문종수
제34대
노승행
제35대
김정길
제36대
심상명
제37대
송정호
제38대
심재륜
제39대
이재신
제40대
유재성
제41대
이태창
제42대
조준웅
제43대
정홍원
제44대
박종렬
제45대
조규정
제46대
황선태
제47대
이기배
제48대
안영욱
제49대
명동성
제50대
신상규
제51대
황희철
제52대
박영렬
제53대
길태기
제54대
성영훈
제55대
주철현
제56대
김현웅
제57대
신경식
제58대
변찬우
제59대
김해수
제60대
김회재
제61대
양부남
제62대
배성범
제63대
문찬석
제64대
여환섭
제65대
박찬호
제66대
이수권
제67대
박종근
제68대
이종혁
}}}}}}}}}}}} ||

파일:검찰 CI (흰색).svg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초대
오완수
제2대
박승준
제3대
소진섭
제4대
정재환
제5대
정순석
제6대
임석무
제7대
오성덕
제8대
김사용
제9대
김찬수
제10대
방재기
제11대
김병화
제12대
이봉성
제13대
김선
제14대
이선중
제15대
김성재
제16대
김덕문
제17대
조태형
제18대
박원호
제19대
한옥신
제20대
홍순일
제21대
정익원
제22대
이동봉
제23대
강우영
제24대
변무관
제25대
박준양
제26대
이영욱
제27대
안경상
제28대
강용구
제29대
김기춘
제30대
김동철
제31대
박종철
제32대
전재기
제33대
정경식
제34대
정성진
제35대
지창권
제36대
최명선
제37대
김상수
제38대
최경원
제39대
신현무
제40대
강신욱
제41대
전용태
제42대
신광옥
제43대
송광수
제44대
김진환
제45대
김영진
제46대
박태종
제47대
김성호
제48대
정동기
제49대
박상길
제50대
권재진
제51대
문효남
제52대
김종인
제53대
박한철
제54대
김영한
제55대
김진태
제56대
신종대
제57대
이경재
제58대
조영곤
제59대
최재경
제60대
오광수
제61대
이영렬
제62대
전현준
제63대
노승권
제64대
박윤해
제65대
여환섭
제66대
조재연
제67대
김후곤
제68대
주영환
제69대
신응석
제70대
박기동
}}}}}}}}}}}}}}}}}}

파일:검찰 CI (흰색).svg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천일
제2대
김윤수
제3대
윤만석
제4대
김형근
제5대
윤준영
제6대
김영천
제7대
강용권
제8대
서병균
제9대
백상기
제10대
김사용
제11대
김용제
제12대
윤두식
제13대
나길조
제14대
김성재
제15대
민흥식
제16대
이영환
제17대
이근수
제18대
강의석
제19대
송종진
제20대
허형구
제21대
이동봉
제22대
염경환
제23대
강태훈
제24대
정창훈
제25대
김성기
제26대
안경상
제26대
안경상
제27대
이우각
제28대
송병철
제29대
박일흠
제30대
김동철
제31대
조성욱
제32대
박종철
제33대
전재기
제34대
지현범
제35대
최명부
제36대
정경식
제37대
노승행
제38대
지창권
제39대
최영광
제40대
최명선
제41대
원정일
제42대
최경원
제43대
강신욱
제44대
전용태
제45대
주선회
제46대
이광수
제47대
유창종
제48대
황선태
제49대
조규정
제50대
서영제
제51대
김성호
제52대
이병기
제53대
고영주
제54대
선우영
제55대
문성우
제56대
이준보
제57대
박용석
제58대
김진태
제59대
김영한
제60대
김수남
제61대
국민수
제62대
이경재
제63대
신경식
제64대
오광수
제65대
김강욱
제66대
조은석
제67대
송인택
제68대
이석환
제69대
이동열
제70대
여환섭
제71대
최경규
제72대
노정환
제73대
이철희
제74대
배용원
제75대
박영빈
}}}}}}}}}}}} ||

파일:검찰 CI (흰색).svg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배혜용
제2대
황진호
제3대
민건식
제4대
김병돈
제5대
박은
제6대
남문우
제7대
정상림
제8대
홍유택
제9대
이진강
제10대
윤동민
제11대
송광수
제12대
김대웅
제13대
유창종
제14대
이태훈
제15대
이기배
제16대
홍경식
제17대
강충식
제18대
김용진
제19대
이봉희
제20대
박만
제21대
이한성
제22대
황교안
제23대
김영한
제24대
송해은
제25대
임정혁
제26대
한무근
제27대
변찬우
제28대
공상훈
제29대
윤갑근
제30대
구본진
제31대
노승권
제32대
권익환
제33대
이기석
제34대
여환섭
제35대
조종태
제36대
이노공
제37대
주영환
제38대
예세민
제39대
박은정
제40대
이창수
제41대
전무곤
제42대
서정식
}}}}}}}}} ||
대한민국 제47대 법무연수원장
여환섭
呂煥燮 | Yeo Hwan-seop
파일:여환섭 검사장.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출생 1968년 6월 8일 ([age(1968-06-08)]세)
경상북도 김천시
학력 김천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가족 배우자 조정아, 슬하 3녀
경력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제24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 부장검사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수2과장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수1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
대전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
대검찰청 대변인
대검찰청 반부패부 선임연구관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연수원장

1. 개요2. 생애3. 이력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 현재는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2. 생애

1968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95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4기. 이후 검사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 때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부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 장기간 근무했다. 이명박 정부 때는 창원지방검찰청 거창지청장,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장, 대검찰청 중수2과장, 중수1과장 등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 때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1], 대검찰청 대변인, 반부패부 선임연구관 등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 때는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을 지낸 후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을 지냈다.

2002년 김대중 대통령 3남 구속기소, 2003년 여당 대표 정대철 의원 구속기소, 2004년 김석원 쌍용그룹 회장 구속기소, 2005년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구속기소, 2006년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구속기소, 2010년 강희락 전 경찰청장 구속기소, 2011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구속기소, 2012년 이상득 전 의원 구속기소, 2013년 국가정보원·국방부 여론조작 사건 원세훈 전 국정원장 기소, 2014년 현재현 동양그룹 회장 구속기소 등 많은 굵직한 사건들을 치밀하고 꼼꼼한 성격으로 수사하여, 대표적인 검찰 내 특수통으로 '독사', '재계 저승사자'란 별명을 가지고 있다. 특별수사에 관한 한 검찰의 상징적 인물이다. # 한 검찰 관계자는 여 원장을 두고 “검사의 능력으로는 첫손에 꼽힐 분”이라고 말했다. #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사석에서 "나를 특수통으로 만든 건 여환섭"이란 말을 했다고 한다. 채 총장이 대검 마약과장에서 2003년 서울지검 특수2부장검사로 부임했는데, 평검사였던 여 부장검사가 별다른 대검 첩보도 없이 굿모닝시티 사건을 인지해 여권 실세였던 정대철 열린우리당 대표를 구속기소해 개가를 올렸다. 당시 여 부장검사는 국회 속기록 등 방대한 자료를 분석해 오랜기간 내사를 벌였는데 진행 경과를 채근하는 채 총장에게 "아직입니다. 기다려 주십시요"란 말만 되풀이 했다고 한다. 그러다 한달여 만에 수사에 본격 착수하겠다며 수사계획서를 들고 왔는데 거기에 포함된 혐의자들과 실제 수사 종료시 기소 대상자가 딱 맞아 떨어져 채 총장이 감탄했다고 한다. 여 부장검사는 2011년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장으로 일할 때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던 건설현장 식당(함바)의 비리를 파헤쳐 강희락 전 경찰청장 등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들을 대거 기소하기도 했다. 조용하지만 실패를 모르는 이력 탓에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으로 부임하자 정·재계가 모두 긴장하기도 했다. #

국정원 정치 개입 사건에서 윤석열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구속하지 못했지만 얼마 후 이어진 수사에서 여환섭 특수1부장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개인비리로 구속하자 ""윤석열은 피했지만 여환섭은 비켜가지 못했다."는 말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두 사람 간의 수사능력의 우열을 볼 수 있다. #

평검사 시절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윤석열(현 대통령), 한동훈(현 법무부장관) 등과 함께 근무하며 특수수사 최일선에서 활약하였다. 최고의 특수통만이 갈 수 있는 대검 중수부 중수2과장, 중수1과장,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을 차례로 역임한 점이 윤석열 대통령과 똑같으며, 1년 차를 두고 윤석열의 후임을 맡았다.


2019년 김학의 별장 성접대 사건 수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사건이 사건인지라 일선 검사들이 수사단에 관여하기를 꺼리는 분위기였으나 문무일 검찰총장의 지시로 인해 단장직을 맡게 되었다. 그가 검사장을 맡고 있던 청주지방검찰청이 그나마 당시 사건이 적었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라고 한다. 참고로 부단장은 전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인 조종태였으며,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이정섭 부부장검사(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정거래조사부)와 평검사 2명 등 총 3명을 파견받았다. #

이후 한겨레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윤중천에게 접대를 받았다고 보도하자, 당시 수사단장으로서 국정감사에 출석해 접대를 받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

2021년 6월 인사에서 고검장으로 승진하여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으로 영전하였다. 검찰 내 연세대학교 인맥의 좌장이며, TK(대구경북) 출신 검사들의 좌장이다.

양당의 검찰 수사권 조정에 대한 합의문이 발표된 2022년 4월 22일 사의를 표명했다. # # 검수완박에 대해 비판적인 소신을 드러냈는데, 출근길에 기자들 앞에서 민주당이 이성을 찾아야 한다고 발언하는가 하면, 퇴근길에 CBS 라디오 생방송에 출연하여 검수완박에 대해 작심하고 강한 비판을 쏟아내었다.

2022년 5월, 김오수 총장이 사임함에 따라 윤석열 정부의 초대 검찰총장 유력 후보군 물망에 오르고 있다. 과거 윤석열 대통령과 대검 중수부에서 함께 일한 특수통이지만 윤석열 사단에 속하지 않고, 검찰 내부에서 평가가 좋은 인물이기에 검찰의 중립성 확보를 위한 좋은 선택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2]

2022년 6월 22일에 발표된 검찰 인사에서 법무연수원장으로 발령되었다.[3] 같은 해 8월 16일 김후곤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이원석 대검찰청 차장검사, 이두봉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과 함께 검찰총장 후보군에 올랐다.[4]

그러나 2022년 8월 18일, 이원석 대검차장이 검찰총장에 지명됨에 따라 8월 22일에 사표를 냈다. #, #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고 기회를 주기 위한 결정임을 밝혔는데, 후임 기수의 검찰 법조인이 검찰총장에 임명되면 선임기수 법조인이 퇴직하는 관례에 따른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이후 이프로스에 사직 인사를 냈다. #

퇴임사에서 지금의 검찰 상황에 대해 "위기가 다가오고 있으며 현재 정치적 상황과 지난 경험에 비추어 보면 앞으로 닥칠 위기는 기존의 것과는 차원이 다를 수 있다"고 했다. 또 "그것은 조직의 존폐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고 진단한 뒤, 정치 쟁점화 사건 수사는 국민에게 모두 공개해야 되며, 검찰시민위 소집을 통해 영장청구와 기소·불기소는 물론, 수사 착수부터 사건관계인의 소환여부까지 동의를 구하고 참관토록 함으로써 검찰 스스로 수사권을 견제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퇴임 후 CBS 한판승부에도 출연해 정치적 사건은 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사 개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2022년 10월, 변호사로 개업했다. 이후 환영철강공업, 한국철강, 대한제강, 동국제강, 현대제철 등의 철근 회사 답합 사건 의혹 재판에 변호인으로 참여하고 있다. 검찰 vs 20개 로펌… ‘7대 제강사 6조원대 철근 입찰 담합 혐의 재판’ 개시

3. 이력

4. 여담

5. 둘러보기

역대 대검찰청 대변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양재욱 이종왕 홍경식 박정수 박정규 김윤성
차동민 이중훈 석동현 국민수 정동민 강찬우
김경수 오세인 조은혁 한찬식 박계현 구본선
여환섭 김후곤 주영환 권순정 이창수 서인선
박현철 박혁수 이응철
}}}}}}}}} ||
[1] 대검 중수부 2,1과장과 서울지검 특수1부장 보직을 모두 한 기수 선배인 윤석열 대통령에게 물려받았다.[2] 만일 검찰총장이 될 경우, 사상 첫 연세대학교 출신 검찰총장이 된다.[3] 법무연수원장에서 바로 검찰총장으로 영전한 인물로 참여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었던 임채진이 있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자 두 번째 법무부차관이었던 김오수도 법무연수원장 자리에 있다가 법무부차관으로 내정되었고, 퇴직 이후 다시 검찰에 복귀하며 검찰총장이 되었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