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민정수석비서관 (1968~1970) | 민원수석비서관 (1970~1971) |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류승원 | 초대 안광석 | |||||||
민정수석비서관 (1971~1980) | 민원수석비서관 (1980)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제2대 김시진 | 제3대 박승규 | 초대 이원홍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민정수석비서관 (1980~1998, 1999~2022, 2024~현재)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초대 이학봉 | 제2대 김용갑 | 초대 한영석 | 제2대 정구영 | 제3대 김영일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4대 이상연 | 제5대 안교덕 | 초대 김영수 | 제2대 문종수 | 초대 김성재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2대 신광옥 | 제3대 김학재 | 제4대 이재신 | 초대 문재인 | 제2대 박정규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3대 문재인 | 제4대 전해철 | 제5대 이호철 | 초대 이종찬 | 제2대 정동기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3대 권재진 | 제4대 정진영 | 초대 곽상도 | 제2대 홍경식 | 제3대 김영한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4대 우병우 | 제5대 최재경 | 제6대 조대환 | 초대 조국 | 제2대 김조원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3대 김종호 | 제4대 신현수 | 제5대 김진국 | 제6대 김영식 | 초대 김주현 | }}}}}}}}}}}} |
정동기 관련 틀 | |||||||||||||||||||||||||||||||||||||||||||||||||||||||||||||||||||||||||||||||||||||||||||||||||||||||||||||||||||||||||||||||||||||||||||||||||||||||||||||||||||||||||||||||||||||||||||||||||||||||||||||||||||||||||||||||||||||||||||||||||||||||||||||||||||||||||||||||||||||||||||||||||||||||||||||||||||||||||||||||||||||||||||||||||||||||||||||||||||||||||||||||||||||||||||||||||||||||||||||||||||||||||||||||||||||||||||||||||||||||||||||||||||||||||||||||||||||||||||||||||||||||||||||||||||||||||||||||||||||||||||||||||||||||||||||||||||||||||||||||||||||||||||||||||||||||||||||||||||||||||||||||||||||||||||||||||||||||||||||||||||||||||||||||||||||||||||||||||||||||||||||||||||||||||||||||||||||||||||||||||||||||||||||||||||||||||||||||||||||||||||||||||||||||||||||||||||||||||||||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이명박 정부 제2대 민정수석비서관 정동기 鄭東基 | Jung Dong-ki | |
출생 | 1953년 8월 17일 ([age(1953-08-17)]세) |
경상북도 봉화군 물아면 가평리 | |
본관 | 하동 정씨 |
재임기간 | 제49대 법무부차관 |
2006년 8월 28일 ~ 2007년 3월 4일 | |
제38대 대검찰청 차장검사 | |
2007년 2월 23일 ~ 2007년 11월 20일 | |
이명박 정부 제2대 민정수석비서관 | |
2008년 6월 23일 ~ 2009년 9월 1일 | |
제2대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 |
2009년 9월 17일 ~ 2011년 1월 17일 | |
학력 | 경동고등학교 (28회 / 졸업) 한양대학교 법정대학 (법학 / 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 박사) |
병역 | 공군 대위 만기전역 (군법무관) |
가족 | 배우자 김외숙, 슬하 1녀 |
경력 | 제18회 사법시험 합격 제8기 사법연수원 수료 제25대 법무부 보호국장 제48대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제22대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제37대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법무부차관 (제49대 / 참여정부) 대검찰청 차장검사 (제38대 / 참여정부)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법무행정분과위 간사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제2대 / 이명박 정부)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제2대 / 이명박 정부) 법무법인 바른 고문변호사 제10대 한국보호관찰학회 회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 前 민정수석비서관, 법무부차관, 대검찰청 차장검사.2. 생애
1953년 8월 17일,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가평리#에서 4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서울 경동고등학교(28회, 1972년 졸업)와 한양대학교 법학과(1976년 학사, 1978년 석사)를 졸업하였다.1976년 제1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뒤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여[1] 검사가 되었다. 병역은 공군 대위로 마쳤으며, 검찰에서는 대구지검장, 인천지검장, 대구고검장, 법무부차관, 대검차장 등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참여정부에서 법무부차관을 역임했고, 이명박 정부 출범 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법무행정분과위 간사,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가 낙마하자, 이에 책임을 지고 민정수석에서 사임한다.
감사원장 후보자로도 지명되었지만, 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낙마했다. 이후 법무법인(유) 바른의 고문으로 재직하였다. 19대 총선을 앞두고는 새누리당의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당시 새누리당에서는 친이계에 대한 공천학살이 이루어졌고, 정동기 역시 공천을 받지 못하였다.
언론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하며, 2017년에 국정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등 이명박에 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자, 2018년 초 재직하던 법무법인을 퇴사하고, 이명박 변호를 위해 이명박 측근 출신 법조인들이 모여 만든 로펌에 합류하였다. # ##
그런데 정동기는 하필 BBK 주가조작 사건 때 대검찰청 차장검사였던 관계로 이 사건수임이 변호사법상 수임제한 규정(변호사/권리와 의무 문서 참조) 위반이 아닌지 논란이 되었고, 정 변호사는 결국 대한변호사협회에 수임의 적법 여부에 관해 유권해석을 의뢰하였다. # 변협은 그러한 수임이 위법이라고 결론을 내렸고, 결국 정동기는 이명박의 변호인단에 합류하지 못하게 되었다.
2020년 12월 15일,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들에 관련해 사과한 것에 반발하여 당을 탈당하였다.
3. 경력
- 2011.03 ~ 2018. 02 법무법인 바른 고문
- 2009.09 ~ 2011.01 정부법무공단 이사장
- 2008. 06~ 2009.07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 2007.12 ~ 2008.02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법무행정분과위 간사
- 2007.02 ~ 2007.11 대검찰청 차장검사
- 2006.08 ~ 2007.02 법무부차관
- 2006.02 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 2005.04 ~ 2006.02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 2004.01 ~ 2005.04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 2003.03 ~ 2004.01 대한민국 법무부 보호국장
- 2002.08 ~ 2003.03 서울고등검찰청 공판부장
- 2001.06 ~ 2002.08 서울고등검찰청 공판부장
- 2000 인천지방검찰청 제1차장검사
- 1999.06 ~ 2001.06 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차장검사
- 1998.03 ~ 1999.06 서울지방검찰청 형사3부장, 형사5부장
- 1997.08 ~ 1998.03 서울지방검찰청 공판부장
- 1996.07 ~ 1997.08 부산지방검찰청 형사제1부장
- 1995 ~ 1996.07 대한민국 법무부 국제법무심의관
- 1993 ~ 1995 대한민국 법무부 검찰4과장
- 1993 ~ 1993 대구지방검찰청 특수부장
- 1989 ~ 1993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 1987 ~ 1989 대한민국 법무부 보호과 검사
- 1983 ~ 1987 부산지방검찰청 울산지청 검사
- 1981 ~ 1983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
- 1978 전주대학교 강사
- 1976 제18회 사법시험 합격
4. 여담
감사원장 후보로 지명되었다가 정치권의 파상공세를 이기지 못하고 2011년 1월 12일 사퇴하게 되었는데, 사퇴 직전에 지인들에게 "나는 그간 마이너리그로 살아왔다."라고 억울해 하는가 하면 사퇴문에서도 "...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일류대학을 나오지 못한 제가 ..."라고 하여 사람들의 어안을 벙벙하게 하였다. # 국민일보 논설위원의 평을 빌리면, "이에 대해 한양대 동문들은 어떻게 느낄까. 지금 한양대에 원서를 넣은 입시생들, 나아가 서울에 있는 대학이라도 들어가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학생들의 비애감은 또 어떨까. 한양대가 일류 대학이 아니라면 정씨가 말하는 일류 대학은 어디일까."# 참고로, 사법시험/통계를 봐도 알 수 있듯이, 한양법대는 대한민국의 법과대학 중 항상 4~5위를 다투는 명문대로 꼽히고, 정 변호사 본인의 법조경력도 매우 화려했다.하지만, 지금이야 그렇지 이 사람이 학교를 다닐 무렵의 한양법대는 명문대학이 되기 위해 열을 올리던 학교였다. 그 시절에는 서울법대를 갈 수 있는 점수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액장학금과 소정의 품위유지비를 주어 우등생들을 입학시켰다.
“그 사람이 한양대 출신이다. 완전 비주류다. 그런 사람이 검찰에서 그 자리(대검차장)에까지 올라가려고 얼마나 자기 관리를 잘했겠느냐. 나하고 가깝다고 감사원장 시키려 한 게 아니다. 정치인들이 자기들은 얼마나 깨끗하다고 시비하느냐.”
이명박 대통령 역시 그 점 때문에 민정수석에 이어 감사원장으로 지명했다며, 여당의 지명 철회 건의에 대해 무척이나 분노했다는 후문이다. [1] 사법연수원 기수는 8기[2] 그래서 앞선 논설위원의 같은 글에서도 후반부에 "우리나라 대법원 구성을 보면 고대와 연대도 마이너리그인 모양이다. 이번에 추천된 대법관 후보 4명이 모두 서울대 법대 출신이다. 결국 14명의 대법관 중 서울대 법대가 13명을 차지하게 된다. 대법원이 꼭 서울대 법대 동문회 같다. 이러니 정씨의 자괴감도 이해할 만하다."라고 꼬집고 있다. 그러나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 문서에도 서술되었듯이, 서울법대 출신 법조인은 쪽수만 많을 뿐 그 사이에서 우리가 남이가 비슷한 것이 전혀 없고 따라서 서울법대 카르텔이라는 것 자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