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2:04:11

피라미드의 공포

영 셜록 홈즈에서 넘어옴
피라미드의 공포 (1985)
Young Sherlock Holmes
Young Sherlock Holmes and the Pyramid of Fear
[1]
파일:영 셜록 홈즈.jpg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모험, 판타지, 미스터리, SF, 스릴러, 학원, 어린이
감독 배리 레빈슨
각본 크리스 콜럼버스
원작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 시리즈》 등장인물들
제작 마크 존슨, 헨리 윙클러
주연 니콜라스 로우, 앨런 콕스, 소피 워드, 안소니 히긴스, 로저 애쉬튼-그리피스, 프레디 존스, 나이젤 스톡, 브라이언 울턴, 수잔 플리트우드
촬영 스티븐 골드블랫
음악 브루스 브루톤
제작사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세한진흥
배급사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라마운트 픽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세한진흥
개봉일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985년 12월 4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988년 7월 16일
상영 시간 109분
제작비 1,8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6,37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1,970만 달러
상영 등급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연소자관람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9. 수상 후보10. 미디어 믹스
10.1. 소설10.2. 게임
11. 기타12.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모험, 미스터리 영화. 크리스 콜럼버스각본을 썼으며 배리 레빈슨이 감독한 영화로, 셜록 홈즈 시리즈의 IF 2차 창작물이다. 스티븐 스필버그, 프랭크 마샬, 캐슬린 케네디가 기획했으며 제작자로 이름을 올렸다.

2022년 넷플릭스에 올라왔었으나 현재는 만료된 상태이고, 2024년 기준으로는 Apple TV에서 시청 가능하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1세기 전, 크리스마스를 앞둔 런던 시골에서 전학온 왓슨은 뛰어난 관찰 능력을 가진 홈즈를 만난다. 그들은 홈즈의 여자 친구인 엘리자베스와 함께 의문의 연쇄 살인사건에 관여하게 된다. 홈즈의 스승인 왁스 교수의 살해 현장에서 발견한 독침 파이프를 단서로 런던의 우범지대로 잠입한 세 사람은 드디어 지하에서 피라미드를 발견한다.

4. 등장인물


이 외에 헨리 윙클러가 출연했다.

선술한 성우 외의 한국 명화극장 성우들로는 조달호, 온영삼, 유지영, 이종구, 김일, 김소형나왔다.

5. 줄거리

10대 시절의 셜록 홈즈존 왓슨보딩 스쿨(사립기숙학교)에서 룸메이트가 되면서 겪는 첫 번째 모험담을 그린 영화다.[11] 이 당시에도 셜로키언들이 난리를 칠까봐 그런지 영화가 시작할 때 순수 창작일 뿐 코난 도일의 소설 내용과 무관하다는 자막이 나오고, 끝날 때도 홈즈왓슨원작에서 성인이 되고 만났다는 자막이 다시 나와, 원작의 프리퀄이 아닌 캐릭터를 활용한 IF 2차 창작인 걸 분명히 했다. 그래도 셜록 홈즈 시리즈몇몇 미회수 떡밥을 회수했기 때문에 홈즈와 왓슨의 첫 만남이 당겨진 것을 제외하면 원작으로 이어져도 큰 무리는 없다. 이 때문에 몇몇 셜로키언이나 영화팬들은 이 영화가 가이 리치의 셜록 홈즈 실사영화 시리즈보다는 비교적 내용을 더 잘 반영한다고 여기기도 한다.

다만 역시 셜록 홈즈 시리즈에서 셜록 홈즈존 왓슨의 첫 만남을 다루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받는 주홍색 연구의 설정을 무시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모든 셜로키언들이 이 영화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며, 앤드루 레인은 그 작품의 설정 오류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소년 셜록홈즈를 쓰게 되었고, 영문명은 그 영화와 같은 Young Sherlock Holmes이며 코난 도일 협회의 공식인증을 받았다.[12]

쿠키 영상이 나온다. 거기에 후속작 떡밥있다.

성탄절 전후가 배경이다.

6. 사운드트랙

11회 새턴상 중 영화 음악상(Best Film Music)을 받았다.

7. 평가


초창기 컴퓨터 그래픽스의 정수를 볼 수 있다. 기존의 매트 페인팅 작업이 아닌 디지털로 합성되었다. 이 스테인드 글라스 기사가 나오는 부분루카스필름 산하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연구하는 부서와 아날로그 시각효과를 담당하는 ILM4달 동안 만들었고, 당시 존 라세터가 루카스필름 산하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연구하는 부서에 속했다. 그 부서는 나중에 이름을 픽사로 바꾼다. 그 스테인드 글라스 기사세계 최초로 100% CG로만 된 캐릭터이다. 한국에서는 소년중앙에서 이를 다룬 적이 있다. 이에 영향을 받은건지 악마성 드라큘라(아케이드 게임)에서는 스테이지 3 보스로 스테인드 글라스 나이트가 거의 똑같은 연출로 등장한다.

어린이 영화 치고는 닭구이의 닭이 살아나서 사람을 공격하는 환각 장면같이 아동들에게 무서운 장면이 많다.[13] 사실 미국에서는 PG-13등급을 받았는데 13세 미만의 경우 보호자 동반이 권고되기 때문에 12세 이용가 정도의 수위이다.

개봉 당시에는 내용이 추리가 별로 없고 모험이 주인데다가 인신공양을 소재로 했다는 게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과 비슷해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셜록 홈즈 시리즈라는 을 받았다.

2010년대 이후 시점에서는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처럼 오리엔탈리즘 요소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바람총으로 독침을 쏘려고 하는데 반대편에서 바람을 불어버려서 상대방 입에 독침이 박히는 장면이 나오는데 인디아나 존스와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에서 똑같은 장면이 나온다.

8. 흥행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0090357, IMDb_user=6.8, IMDb_list=IMDb Top 250, IMDb_rank=, IMDb_date=,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64, 로튼토마토_popcorn=63,
)]

미국캐나다에선 흥행에 실패했기 때문에 쿠키 영상후속작 떡밥을 뿌렸지만 회수하지 못했다. 다만 해외 흥행이나 2차 매체로선 나름 흥행했다.

미국에서 개봉한 지 3년이나 지난 1988년에서야 대한민국에서는 "피라미드의 공포"라는 제목으로 개봉했고 꽤 성공해서 1988년 당시 개봉한 외국 영화들 중 흥행 순위 3위, 1988년 개봉한 전체 영화 순위가 4위였다. 서울 기준 대한극장에서 개봉했다. 서울 관객수는 374,680명인데 2010년대 이후로 치자면 전국 300만이 넘는 꽤 좋은 흥행이라고 보면 된다.[14]

배우들 인지도를 봐도 알겠지만 배우들 이름으로 내세울 게 없었고 포스터에 당시 유명하지 않았던 감독 배리 레빈슨이름을 빼고 이 영화의 기획을 맡고 이미 유명스티븐 스필버그를 집어넣었다.[15] 한국 개봉명일본[16] 개봉명인 'ヤング・シャーロック/ピラミッドの謎'(영 셜록 피라미드의 수수께끼)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영어 제목은 'Pyramid of Fear'라서 공포의 피라미드가 맞는 제목이고, 피라미드의 공포는 오역이다. 하지만 이후에 재개봉을 하지 않았다. 팜플렛이 나왔다. 일본판과 비교. 1995년 12월 16일 KBS2 명화극장에서 더빙으로 방영했다.

소년중앙인지 소년경향인지 확실치 않으나, 개봉한 지 몇 달도 안 지나서 컬러 별책부록으로 영화 장면이 컬러로 담겨진 소설책처럼 엔딩까지 다 나온 책자가 저작권 없이 무단으로 나온 바 있다. 그래서, 당시 비디오도 나오기 전에 극장에서 못 보고 이걸로 엔딩까지 다 알게 된 아이들도 있었다.

9. 수상 후보

10. 미디어 믹스

10.1. 소설

1985년 앨런 아놀드가 쓴 소설 버전이 있다.

10.2. 게임

11. 기타

12. 관련 문서



[1] 영국, 호주 제목[2] 스코틀랜드의 배우이며 이튼 칼리지 출신. 아버지가 나중에 잉글랜드 보수당 국회의원이 되는 앤드류 로우이다. 한국에서는 니컬러스 로라고 하기도 하고, 과거에 Nicholas Rowe라는 표기에 이끌려 니콜라스 로웨라고 소개되기도 했다. 나중에 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에서 제이(J) 역을 맡았다. 영화 흥행이 그리 안 좋아서 이렇게 조연배우로나 활동했기에 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 개봉 당시 씨네21에서 피라미드의 공포를 언급하며 잊힌 배우라고 소개한 바 있다.[3] 바이올린을 잡은 지 3일밖에 안 됐다면서 잘 못하는 게 불만(...)[4] 셜록 홈즈존 왓슨에게 네 모습을 보니 평소에 (음식을) 많이 먹는 것 같다고 셜록 스캔을 쓰자 왓슨이 전부 다 맞췄다면서 마술이냐고 되묻는다.[5] 화학 수업 중간에 홈즈를 찾아오는데 창문으로 엘리자베스를 본 왓슨이 학교에 여자가 있다며 깜짝 놀란다.[6] 현실 시대를 따르면 라이트 형제보다도 더 먼저 만들었다.[7] 하지만 악당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템스강에 처박히고 그도 사망하여 영영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된다.[8] Rathe의 이름을 애너그램하면 Ehtar가 되는데, 영화 후반에서 밝혀지기를 이 이름으로 고대 이집트풍 사이비 종교 라메 테프(Rame Tep)에서 활동했다. 그보다 더 큰 반전쿠키 영상에 나온다.[9] 셜록 홈즈가 퇴학 전 부탁한 것도 레이스와의 마지막 펜싱 대결이었다. 이렇게 펜싱을 좋아하는 모습으로 나오는 건 아마 원작 소설에서 홈즈가 복싱과 더불어 펜싱에 관심있었다고 나와서일 것이다.[10] 원래는 밝은 갈색이었다.[11] 작중 직접 나오진 않지만 성년의 왓슨이 해설하며 이후에도 둘이 모험을 하였음을 말한다.[12] 2024년 방영될 소년 셜록홈즈의 드라마 버전은 가이 리치가 감독을 맡았는데 공교롭게도 셜록 홈즈 역으로 캐스팅된 배우는 먼저 언급된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어린 톰 리들(볼드모트)을 맡은 히어로 파인즈 티핀이다.[13] 이 장면에서 환각을 보다가 결국 죽게되는 벤틀리 역으로 나온 배우 패트릭 뉴웰은 그라나다 셜록 홈즈에서도 피해자로 나와 죽게된다. (장기 입원 환자)[14] 탑건보다 더 잘 나온 수치이다.[15] 1980년대 당시 한국에선 스티븐 스필버그의 인기와 명성이 워낙 독보적이었기 때문에 스티븐 스필버그가 참여는 했지만 연출은 맡지 않은 영화들도 전부 스필버그 감독 작품인 것처럼 홍보되곤 했다. 예를 들면 백 투 더 퓨처(로버트 저메키스 감독), 구니스(리처드 도너 감독), 그렘린(조 단테 감독), 8번가의 기적(매튜 로빈스 감독), 이너스페이스(조 단테 감독) 등이 있다.[16] 일본에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가 성공해서 후술하듯이 게임으로 나왔다.[17] 드라마 V(미국 드라마) 제작 및 기획자인 케네스 존슨이 제작, 기획했다. 평은 그저 그랬는데 1987년에 나온 같은 제목을 가진 미국 TV 영화를 리메이크했다. 이 1987년 영화는 1988년 1월 16일 주말의 명화로 '돌아온 홈즈'라는 제목으로 더빙 방영했는데 여기서 셜록 홈즈 역은 스타워즈 시리즈 제다이의 귀환에서 티안 제제로드로 나왔던 마이클 페닝턴이라는 배우가 맡았다.[18] 다만 비슷하다고는 해도 완전 표절이라고는 보기 힘든지 표절이라고 주장한 그 글의 댓글 반응이 좋지 않다. 하지만 그 글에서 지적한 대로 유사한 부분은 많이 나와서 그런지 따로 언급한 다른 블로그의 이나 기사(1, 2)는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9 (이전 역사)
문서의 r7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