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3:07:33

옥중화


{{{#!wiki style="margin: 0 -10px;"
{{{#334555,#A8BBC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2016~2020
파일:결혼계약 로고.png
(2016)
파일:옥중화 로고.png
(2016)
파일: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로고.png
(2016~2017)
파일:도둑놈 도둑님 로고.png
(2017)
파일:돈꽃 로고.png
(2017~2018)
파일:데릴남편 오작두 로고.png
(2018)
파일:이별이 떠났다 로고.png
(2018)
파일:숨바꼭질 로고.png
(2018)
파일:신과의 약속 로고.png
(2018~2019)
파일:슬플 때 사랑한다 로고.png
(2019)
파일:이몽 로고.png
(2019)
파일:황금정원 로고.png
(2019, UHD)
파일:두 번은 없다 로고.png
(2019~2020, UHD)
둘러보기

2005~20102011~20152016~20202022~2025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이병훈 PD 연출 드라마 작품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허준(드라마)|'''
허준
''']]
파일:상도 로고(백).png 파일:대장금 로고.png 파일:서동요 SBS 로고.png
파일:이산 MBC 로고.png 파일:동이 MBC 로고.png 파일:마의 MBC 로고.png 파일:옥중화 로고.png
}}}}}}}}}}}} ||
<colbgcolor=#435c7b><colcolor=#fff,#DDDDDD> MBC 창사 55주년 특별기획
옥중화
(2016)
파일:옥중화 메인포스터.jp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토요일, 일요일 밤 10시
방송 기간 2016년 4월 30일 ~ 2016년 11월 6일
방송 횟수 51부작[1]
채널 MBC
장르 퓨전사극
극본 최완규[2]
연출 이병훈[3], 최정규
음악 김준석, 정세린 (무비클로저)
제작사 김종학프로덕션
출연 진세연, 고수, 김미숙, 정준호, 박주미, 윤주희, 최태준, 김수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마이너 갤러리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4. 시청률5. 탐구6. OST7. 여담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에서 2016년 4월 30일부터 동년 11월 6일까지 방영한 대하 사극으로 드라마 허준의 연출과 극본을 맡은 이병훈, 최완규가 15년 만에 의기투합한 작품. 이병훈과 최완규 모두 활발하게 활동했으나 의기투합하는 것은 드라마 상도 이후 처음. 또한 화정의 연출은 맡은 최정규가 합류했다.

감옥에서 태어난 여자 주인공 옥녀와 상단의 인물 윤태원의 어드벤처 사극이다. 작중 배경은 조선 명종 시기이며, 윤원형, 문정왕후, 정난정 등의 인물들을 보아 2001~2002년 작 SBS의 여인천하와 비교될 것으로 보인다. 공교롭게도 여인천하의 높은 시청률과 화제성으로 고생한 사람이 바로 메인 PD 이병훈과 메인 작가 최완규. 드라마 허준으로 엄청난 대박을 친 후에 의기투합하여 다시 만든 작품인 상도가 여인천하에 밀려 큰 힘을 못썼던것. 상도도 물론 여러 회차에서 2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나름 인기있었지만 그 당시 상대작이 확실한 팬층을 보유한 겨울연가와 무려 2년의 가까운 시간 동안 SBS 월화를 지배했던 여인천하였기에 좋은 작품성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못미쳤다. 15년이 지나 당시 경쟁작의 시대와 배경으로 이병훈, 최완규 콤비가 뭉친것이다.

또한 이전 사극에서는 다뤄지지 않았던 전옥서,[4] 외지부[5]가 등장한다. 참고로 외지부는 동이를 통해 그 개념이 소개되었다.

원래는 주인공의 이름인 옥녀로 방영할 예정이었다. 성인 영화 변강쇠의 극중 여주인공 이름이 옹녀이다. 그리고 1970년대 후반에 MBC에서 방영한 김영란 주연의 옥녀란 동명의 미스터리 호러를 소재로 한 드라마도 있었다. 이후 옥녀에서 옥중화가 되었다. 이해조의 신소설 옥중화(獄中花)인듯하다. 《매일신보(每日新報)》에서 연재되었던 소설로, 고대 소설인 《춘향전》을 신소설 형태로 각색한 작품. 또한 일부 구도에서는 소설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오마주가 보인다. 공교롭게도 같은 방송사에서 이 소설을 소재로 한 작품이 수목 드라마로 방송되었다.

2. 줄거리

주인공 옥녀가 명종 시대 문정왕후, 정난정, 윤원형 등과 얽히며 좌절하고 실패하지만 당대의 기인 토정 이지함, 의적 임꺽정, 명기 황진이, 풍수가 전우치, 의녀 대장금 등의 도움으로 성장하고 승리하는 이야기.
임꺽정과 황진이는 언급만 될 뿐 도움을 주는 역할이 아니고 대장금의 등장은 없었다. 오히려 도움을 가장 많이 준 건 윤태원과 성지헌, 명종이다. 더 추가한다면 이지함과 전우치가 나오는데 이지함은 옥녀의 스승 중 한명으로 나오지만 담당 배우 주진모가 애초에 특별출연이었기에 출연이 뜸하다가 아예 나오지 않았다. 출처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중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시청률

회차 (방영일) 전국 변동 수도권 변동
1회 (2016.04.30) 17.3% - 18.8% -
2회 (2016.05.01) 20.0%2.7%21.9%3.1%
3회 (2016.05.07) 16.9%3.1%19.2%2.7%
4회 (2016.05.08) 19.5%2.6%21.7%2.5%
5회 (2016.05.14) 20.3%0.8%22.1%0.4%
6회 (2016.05.15) 19.8%0.5%21.7%0.4%
7회 (2016.05.21) 16.5%3.3%17.7%4.0%
8회 (2016.05.22) 17.7%1.2%19.0%1.3%
9회 (2016.05.28) 17.2%0.5%18.5%0.5%
10회 (2016.05.29) 18.7%1.5%19.7%1.2%
11회 (2016.06.04) 16.8%1.9%17.7%2.0%
12회 (2016.06.11)[6] 16.9%0.1%17.9%0.2%
13회 (2016.06.12) 19.0%2.1%20.6%2.9%
14회 (2016.06.18) 17.3%1.7%17.8%2.8%
15회 (2016.06.19) 18.7%1.4%19.1%1.3%
16회 (2016.06.25) 17.2%1.5%18.2%0.9%
17회 (2016.06.26) 18.3%1.1%19.0%0.8%
18회 (2016.07.02) 19.0%0.7%20.1%1.1%
19회 (2016.07.03) 18.7%0.3%19.9%0.2%
20회 (2016.07.09) 18.4%0.3%20.1%0.2%
21회 (2016.07.10) 18.9%0.5%20.6%0.5%
22회 (2016.07.16) 19.6%0.7%21.3%0.7%
23회 (2016.07.17) 19.9%0.3%21.5%0.2%
24회 (2016.07.23) 19.7%0.2%21.9%0.4%
25회 (2016.07.24) 19.8%0.1%20.7%1.2%
26회 (2016.07.30) 19.6%0.2%21.0%0.3%
27회 (2016.07.31) 21.1%1.5%21.8%1.1%
28회 (2016.08.07)[7] 19.0%2.1%19.6%2.2%
29회 (2016.08.21)[8] 19.4%0.4%20.7%1.1%
30회 (2016.08.27) 18.5%0.9%20.2%0.5%
31회 (2016.08.28) 19.9%1.4%21.5%1.3%
32회 (2016.09.03) 18.3%1.6%19.8%1.7%
33회 (2016.09.04) 20.0%1.7%21.0%1.2%
34회 (2016.09.10) 20.0% - 21.0%
35회 (2016.09.11) 21.3%1.3%22.9%1.9%
36회 (2016.09.17) 18.0%3.3%18.2%4.7%
37회 (2016.09.18) 22.0%4.0%22.6%4.4%
38회 (2016.09.24) 20.6%1.4%21.7%0.9%
39회 (2016.09.25) 20.8%0.2%21.6%0.1%
40회 (2016.10.01) 19.9%0.9%21.4%0.2%
41회 (2016.10.02) 21.4%1.5%22.3%1.9%
42회 (2016.10.08) 21.0%0.4%21.6%1.3%
43회 (2016.10.09) 21.7%0.7%22.0%0.4%
44회 (2016.10.15) 21.4%0.3%22.3%0.3%
45회 (2016.10.16) 21.7%0.3%22.6%0.3%
46회 (2016.10.22) 21.0%0.7%22.3%0.3%
47회 (2016.10.23) 21.2%0.2%21.4%0.9%
48회 (2016.10.29) 20.8%0.4%21.8%0.4%
49회 (2016.10.30) 22.6%1.8%23.8%2.0%
50회 (2016.11.05) 20.3%2.3%21.4%2.4%
51회 (2016.11.06) 22.6%2.3%23.2%1.8%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모든 회차가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5. 탐구

본래 전옥서는 아직 판결을 받지 않은 미결수를 가두는 옥사이다. 때문에 여기 수용되는 죄수들은 죄질에 따라 , 나무수갑, 차꼬 등을 채워서 무조건 감금만 시켜놓지 노역을 시키진 않았다. 노역은 도형을 선고받았을 경우에만 시키며 선고를 받은 죄수는 즉시 전옥서를 떠나 다른 감옥으로 이송시켜 노역을 시키게 되어있다. 때문에 옥중화에서 전옥서에 감금된 죄수들에게 노역을 시키는 건 고증오류. 엄연히 불법 행위이나 형조의 허가를 받아서 한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도형을 선고받은 죄수에게 노역을 시킬때는 수갑이 아닌 목에 채우는 쇠고랑인 겸(鉗)과 족쇄인 요(鐐)를 채우는게 당시의 규정이다. 더불어 겸과 요를 채우는건 남녀 구분없이 시행되었기에 여죄수 또한 겸과 요를 찬채로 노역에 투입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옥중화에서는 이상하게 남죄수에게만 수갑을 채워서 노역을 시키는 모습이 나온다. 3화에서는 여죄수도 수갑을 찬 모습이 나온다.

조선시대를 다룬 사극에서 여배우들의 목건강을 위해 여성의 가체를 사용하지 않게 된 최근 경향의 선두주자인 이병훈의 사극임에도 정말 오랜만에 2010년 동이에서 가체 사용을 하지 않은 이후 다시 등장한다. 동이마의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 후기라서 가체금지령이 내려진 영조 치세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시대였을 뿐더러 특히 동이의 경우 희빈 장씨가 등장하는 사극 대다수에서 가체를 쓰지 않은 점도 한 몫 했던 반면 본작은 조선 전기가 배경일 뿐더러 지금까지 조선 전기가 배경인 사극에선 가체가 거의 필수적으로 나왔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체를 사용한 게 아닌가 짐작된다.

소격서의 폐지를 주장한 것은 오히려 조정 신료들이고 이를 반대한 것은 왕인데, 옥중화에서는 왕과 대윤이 찬성하고 소윤이 반대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기방 소소루에서 기생들이 자기들끼리 대기하던 장면에서 기생 하나가 곰방대를 물고 흡연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는 명백한 고증오류다. 일단 <옥중화>의 시대배경은 명종이 즉위한 때인데 담배는 한참 뒤인 임진왜란 이후, 즉 선조 즉위 이후에야 조선에 전파되었기 때문이다.

문정왕후체탐인을 해체하도록 했는데, 체탐인은 성종 때 이미 해체됐다.

6. OST

파트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art 1 2016.05.14 그대를 그대만을 차지연 #
Part 2 2016.08.13 이 사람 입니다 자몽 #
Part 3 2016.08.27 사랑 앞에 서다 V.O.S #

7. 여담


[1] 2016 리우 올림픽 중계에 따른 결방으로 일요일 홀수 회차를 맞추기 위해 1회 연장을 최종 확정했다. 관련 기사[2] 허준, 상도, 올인, 주몽, 로비스트, 마이더스, 빛과 그림자, 구암허준, 트라이앵글[3] 허준, 상도, 대장금, 이산, 동이, 마의[4] 고려조선에서 죄수에 관한 일을 맡았던 관서로서, 의금부 옆에 있었다. 성종 14년에 대리시(大理寺)로 바뀌었다가, 문종 때가 되어서야 다시 전옥서로 바뀌었다.[5] 오늘날의 변호사 제도로, 품삯을 받은 후 대리소송 해주는 사람으로 성종 9년인 1478년, 소송을 지연시킨다는 이유로 엄금되었기 때문에 몰래 운영되었다.[6]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한국 : 체코 경기 중계로 6월 5일 결방하였다.[7] 리우 올림픽 중계로 8월 6일 결방[8] 리우 올림픽 중계로 8월 13, 14, 20일 결방[9] 내려쳐질때 소리를 들으면 바닥 목재 프레임에 부딪치고 목재의 탄성탓에 깨지지 않은 모양이다.[10] 그리고 갑자기 놀란 배우와 스텝들이 '어머어머' 하며 놀랐다는 이유로 "왜 시크릿의 magic을 부르고 있냐?" 같은 댓글이 나왔다.[11] 이런 문제 때문에 뒷날 KBS에서 방송한 고려 거란 전쟁에서는, 강조현종이 자신을 권세를 탐하는 역신으로 보는 것에 분노해서 도자기를 집어던져서 깨뜨리는 장면이 나왔는데, 해당 장면에서 설탕으로 만든 가짜 도자기를 사용했다.[12] 오방낭 디자인이 조선시대 기준으로는 고증 오류이지만, 주머니 만들어 놓고 오방낭이라 우기는 2016년 고증에는 충실하다.[13] 이에 안광한 측은 TV조선 및 미디어오늘 기자 등을 고소했으나 2017년 5월 17일 정윤회의 인터뷰로 반전되어 8월 9일 무혐의 처리되었다. 미디어오늘 측도 안광한을 무고죄로 고소했으나 2021년 후술할 노보 특별호 기준으로 이마저도 검찰 수사가 안 된 채 묻혔다.[14] <MBC 정상화 4년, 그 진실과 미완의 기록> -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 2021. p56~57.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