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07:31:27

옹진군(북한)

옹진군(황해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대한 내용은 옹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1f2023>
도당

해주시
강령군 과일군 룡연군 배천군 벽성군
봉천군 삼천군 송화군 신원군 신천군
안악군 연안군 옹진군 은률군 은천군
장연군 재령군 청단군 태탄군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황해남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옹진군
甕津郡
Ongjin County
}}}
군청 소재지 옹진읍[1]
지역 해서
면적 696㎢
행정구역
시간대 UTC+9
인구 152,878명
인구밀도
군당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인민위원장 파일:wpk.jpg 미상


1. 개요2. 역사3. 경제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4.1. 구 해주목 지역4.2. 구 옹진현 지역4.3. 구 강령현 지역4.4. 주요 섬 목록
5. 만약 옹진반도가 대한민국 (실질)영토로 남았다면?6. 남북통일 이후의 전망

[clearfix]

1. 개요

북한 황해남도에 위치한 군. 8.15 광복 당시에는 옹진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2], 북한 치하에서 1954년 남동쪽 절반이 강령군으로 분리되어 반도의 서남단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2008년 북한 인구조사에서 옹진군과 강령군(구 옹진군+벽성군 3개면)의 인구를 합치면 26만 명에 달한다. 남북통일되면 옹진'시'로 승격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놀랍게도 저 인구조사 결과는 북한군을 제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북한 치하 황해도는 도시화율이 손꼽힐 정도로 낮고 남북통일 후 이촌향도 문제가 가속화될 수 있으므로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 하지만 옹진반도가 옹진군에 수복되면 다를 수 있다.

6.25 전쟁 전까지만 해도 금광과 온천업으로 지역경제가 튼실한 동네였다. 북한의 2010년대에도 금광은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 그러나 북한 정부가 워낙 경제적 수완이 떨어지는 터라 이걸 개발할 생각을 하지 않고 민간이 금광을 법에 규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자생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역사

통일신라에서 한산주에 소속시키고 고을 이름을 옹천(甕遷)이라고 이름붙였다. 고려에서 현재 쓰이는 옹진으로 바꾸었는데 본래 이 지역에 독을 엎어 놓은 듯한 나루가 있다고 해서 고유어로 독나루라고 불리던 것이 한자로 훈차되면서 옹진, 즉 독 옹(甕), 나루 진(津)으로 된 것이다.

옹진반도의 대부분은 38선 이남에 있어서 광복 이후 6.25 전쟁 이전에는 대부분 지역이 남한령이었다. 38선 분할로 인해 옹진군 교정면, 가천면 대부분[4], 옹진읍 극히 일부 지역이 북한령이 된 대신 38선 이남에 있던 벽성군 월록면 일부(옹진읍에 편입), 대거면 일부(옹진읍에 편입), 가좌면 일부(부민면에 편입), 해남면, 동강면, 송림면(연평도 포함), 장연군 백령면(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을 더하여 옹진읍 온천리에 있었던 옹진군청에서 관할하였으며 연백군과 같이 경기도로 이관하였다. 그러나 바다로 남한 타 지역과 분리되어 있어 옹진반도는 사실상 섬이나 다름없게 되었다. 남한 본토와 연락은 서울(당시 김포군) 김포비행장~옹진 간 부정기 공로(空路) 및 인천~옹진 부포 간 부포항로였다. 참고로 1950년 3월 신문기사에서 옹진군 인구를 '18만 군민'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북한은 옹진군 잔여 지역을 벽성군에 편입해 폐지하였다.

사실상 섬과 같아졌던 이런 문제 때문에 미군정 사령관 존 리드 하지는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에서 38도선을 행정구역별로 재조정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간단히 말하면 황해도소련군정에, 경기도미군정에 이양하자는 것이다.[5] 이것이 성사됐다면 개성시 송악산 이북 지역과 장단군, 연천군 전역은 남한으로, 서해 5도를 포함한 옹진은 북한으로 넘어가는 셈이이었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만약 실현되었다면 개성 시가지를 방어하는 배후지는 차지할 수 있었겠지만 서해 5도가 전쟁 중 인천의 방벽이 되어주지 못했을 것이다.

1949년 6월에 38선 일대에서 북한이 대규모 공격을 하였다. 결국 6.25 전쟁 당시 옹진반도 전투로 북한에 점령되었고 휴전 협정 이후 서해 5도를 제외한 전 지역이 완전히 북한 치하로 넘어갔으며 서해 5도만 남측 옹진군 소속으로 남았고 군청 역시 인천으로 옮겼다. 당시 행정구역은 경기도였고 1995년에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 옹진고등학교도 부천으로 옮겨 가서 현재의 부천시 범박동에 있는 시온고등학교가 되었으며 동남면 용호도의 수산학교도 인천으로 옮겨가 현재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가 되어 있다.

옹진군이 고향인 실향민들은 개전 초기 옹진지구 전투 당시 군과 함께 인천으로 피난한 경우가 적지 않다.[6] 그래서 인천광역시에는 옹진군 출신 및 그 후손들이 상당히 많이 거주하며 1.4 후퇴 당시 황해도평안도에서 바닷길로 피난한 사람들도 옹진군 도서지역에 집결하여 남쪽으로 내려갔다.

3. 경제

2010년대 초중반의 옹진의 금광의 갱을 운영한 북한이탈주민의 증언. 썸네일과 달리 북한 경제 체제에 관한 내용이다.[7]
일제강점기부터 있던 금광이 있는데 누군가에겐 생존의 유일한 수단이라는 증언이 있을 정도다. 대단히 어려운 사람들만 금광 인부로 일하기 위해 온다고 한다. 인부들은 1달에 28일 일하고 30달러 번다. 놀라운 것은 북한의 채광 기술이 일제를 못 따라간다는 주장이 있다는 것이다. 국영경제는 이미 몰락한 지 오래기 때문에 알아서 개인이 국가가 나서지 않는 채광을 하는 것이다.

4.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45b96>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파일:송림시 상징.png
송림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
파일:벽성군 상징.png
벽성군
파일:연백군 상징.png
연백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파일:평산군 상징.png
평산군
파일:신계군 상징.png
신계군
파일:장연군 상징.png
장연군
파일:송화군 상징.png
송화군
파일:은율군 상징.png
은율군
파일:안악군 상징.png
안악군
파일:신천군 상징.png
신천군
파일:재령군 상징.png
재령군
파일:황주군 상징.png
황주군
파일:봉산군 상징.png
봉산군
파일:서흥군 상징.png
서흥군
파일:수안군 상징.png
수안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 파일:곡산군 상징.png
곡산군 ||<width=50%> 파일:옹진군 상징.png
옹진군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해주시
}}}}}}}}} ||

파일:옹진군기.png
파일:옹진군.jpg

광복 당시 기준 1읍 10면. 법제처의 법령해석에 따라 인천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인 옹진군과는 별개의 행정구역으로 보고 있다. #

4.1. 구 해주목 지역

아래 지역은 1906년 해주군에서 편입해 온 곳이다. 이들 지역은 공통적으로 38선이 지났다.[8] 향토사적 정통성을 따지자면 구 옹진현 지역 문단이 가장 먼저 나와야겠지만 이 지역은 군의 중심인 옹진읍이 있으니만큼 부득이하게 앞에 배치하였다.

4.2. 구 옹진현 지역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옹진군이었던 곳이다. 전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4.3. 구 강령현 지역

아래 지역은 1909년 폐지된 강령군에 해당되는 곳이다. 역시 전 지역이 38선 이남이었다.

4.4. 주요 섬 목록

이북 5도 행정구역상 옹진군의 주요 섬들을 면적순으로 다룬다.
면적(㎢) 소속 면 비고
순위도(巡威島) 26.5 흥미면
기린도(麒麟島) 7.1 용천면
창린도(昌麟島) 7.0 서면
용호도(龍湖島) 2.0 동남면
어화도(漁化島) 1.45 동남면
마합도(麻蛤島) 0.94 용천면
신도 0.9 동남면 북한 치하에서 방조제로 육지와 연결됐다. 옹진군(인천광역시) 북도면 신도(信島)와는 전혀 무관.
과도 0.5 동남면
도도 0.45 동남면
무도(茂島) 0.27 봉구면
봉곶도 0.1 서면 창린도의 부속섬
비압도(飛鴨島) 0.15 흥미면 부속된 작은 섬인 조도(鳥島)와 연륙. 서해에서 멀리 나와 있는 섬이라 북한군이 주둔하는 건물들이 많이 깔려 있다.
옹도(甕島) 0.05 흥미면 등산곶 서남쪽에 위치. 북한 최남단.
하기도(下麒島) 0.03 용천면 기린도의 부속섬

5. 만약 옹진반도가 대한민국 (실질)영토로 남았다면?

38선 이남 옹진반도만 따지면 800㎢를 넘어가니 무시할 만한 면적은 아니다. 그렇다고 (청단·연백지구가 북한으로 들어갔다면) 황해도를 존치할만한 면적 정도는 또 아니면서 인천광역시로 편입하기도 뭔가 애매한 지역이 된다.[17] 그래도 유일한 황해도의 육지지역이니 상징성 차원에서 서해 5도와 함께 황해도로 존치해두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18] 반대편 동해바다의 강원도 고성군처럼 최전방 안보관광과 휴양지, 군 위수지역 일대 상권 및 인프라 등등, 여러모로 유사한 지역이 되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엄격하고 제약이 많겠지만 어업도 어느 정도는 가능할 듯하다. 농업은 산지인 고성군과는 달리 더 활발했을 듯하다.

6. 남북통일 이후의 전망

옛날처럼 탄탄한 지역경제를 지니게 될 지 의문이다. 부존량이나 채산성을 확인해야겠지만 80년 전 마산면을 옹진읍으로 만들어 줬던 수대리 광산이 과연 21세기인 지금에도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온천업은 전국구로 보면 온양이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황해도 내에서도 연백의 연안, 배천과 송화 등 경쟁자가 너무 많다. 광복 전에는 서울에서도 많이 놀러왔다고는 한다. 그나마 한국에서 가장 뜨거운 온천 타이틀로 승부를 볼 수 있으니 그렇게까지 암울하지는 않지만 말이다. 그 외에는 농사를 위시한 농업과 전쟁 전부터 유명했던 양식 같은 수산업 정도다. 단 사곶은 수심이 얕은 게 약점이다.

또한 지리적으로 봐도 옹진군은 남북통일 이후에는 서울, 경인 지역을 대비하는 전략적 요충지가 될 확률이 높다.


[1] 북한에서는 군 소재지는 무조건 군의 이름을 딴 읍에 둔다.[2] 일부 지역은 벽성군에 속했다.[3] 북한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별인구에 나온 전체인구와 전국인구의 전체인구가 다르다. * 특히 지역별인구에 나온 연령별 남녀 인구 총합은 20대에서 성비가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나 많은 세대도 나타나는데 이것은 북한군의 인구가 지역별인구 통계에 빠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4] 38선 이남에 남은 나머지 지역은 각각 서면과 북면에 편입시켰다.[5] 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정병준, 돌베개. 171~174페이지[6] 개전 초기의 급박한 전황에 피난해서 그런지 가장과 장남 정도만 고향을 떠나 피난한 사람들이 많았다.[7] '동발'은 갱도가 무너지지 않게 받치는 기둥이다. 한국에서도 쓰는 표현이다.[8] 단, 옹진읍은 북쪽 끝의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38선 이남이었다.[9] 장현리(삼괴리 일부 포함) 소재. 장현 1개리를 관할[10] 면사무소 소재지인 송림리가 38선 이북이었기에 출장소는 건전리에 소재했다. 건전·국봉·난천·비파 등 4개리를 관할했다.[11] 고안리, 웅현리, 상심적리를 합친 북한의 행정구역[12] 격은 북면 본영에 주둔했던 수군절도사가 더 높았다. 조선 수군 문서에서 보듯 수군절도사는 정3품으로 오늘날의 함대사령관 급이고 서면 소강에 주둔했던 첨절제사는 종3품으로 오늘날의 전단장에 해당한다.[13] 6.25 전쟁 초기 옹진반도 전투와는 다르다.[14] 통계청 포털에서는 용유면으로 되어있는데 당시 용유면(현 인천 중구)은 부천군 소속이었다.[15]북한 육지 영토의 최남단이다. 고양시(일산), 서울특별시 도봉구과 동위도다! 이보다 더 남쪽에 위치한 북한 최남단은 등산곶 바로 아래에 위치한 섬인 옹도이다.[16] 창암리, 예진리 관할[17] 애초에 서해 5도도 우도와 그 부속도서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섬들은 황해도였지만 이 섬들로는 도를 존치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편입한 것에 가깝다. 근데 이와 같은 이유로 통째로 인천광역시로 편입하기엔 애매하면서도 황해도로서 존치하기도 애매하다.[18] 물론 이렇게 하더라도 인천광역시장이 황해도지사를 겸직하고 황해도 지역의 광역 사무를 인천광역시청에서 담당함으로써 사실상 인천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다.[19] 이렇게 되면 총연장은 29.2km로 구 수인선보다 길다. 협궤긴 하지만 어차피 섬이나 다름없으니 타지와의 연계는 신경쓸 필요 없긴 하겠다.[20] 38선 이남이었지만 미국과 소련의 합의로 북측에 넘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