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역사|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역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9dec>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428e><colcolor=#fff> 모기업 관련 정보 | 모기업 | |
일본시리즈 우승 ★★★ | 1960 · 1998 · 2024 | ||
리그 우승 (2회) | 1960 · 1998 | ||
클라이맥스 시리즈 | 2016 · 2017 · 2019 · 2022 · 2023 · 2024 | ||
시즌별 요약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경기장 | 1군 요코하마 스타디움 · 2군 요코스카 스타디움 · 지방 홈구장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 | ||
과거 오사카 구장 · 카와사키 구장 | |||
홈 중계 채널 | |||
현역 선수 경력 | 츠츠고 요시토모/선수 경력 | ||
주요 인물 | 구단주 난바 토모코 · 감독 미우라 다이스케 · 선수회장 오오누키 신이치 · 주장 마키 슈고 | ||
구단 상세 정보 |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암흑기 | ||
틀 문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 선수 | 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28e><tablewidth=100%> ◀ 2024 시즌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5년 | }}} | ||||||
| |||||||||
요코하마 탈수(横浜奪首)[1] | |||||||||
<rowcolor=#ffffff> 구장 | 경기 수 | 전체 관중 수 | 평균 관중 수 | 총 관중 순위 | |||||
요코하마 스타디움 | 72 | 201,305 | 33,551 | 4 / 12 | |||||
<rowcolor=#fff> 순위 | 승 | 무 | 패 | 승차 | 승률 | ||||
4 / 6 | 6 | 2 | 7 | 2.0 | .462 | ||||
2025년 4월 18일 기준, NPB 관중 현황 |
1. 개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 시즌을 정리한 문서.2. 오프 시즌
10월 1일, 오오타 타이시, 쿠스모토 타이시, 야마토, 니시우라 나오미치, 미우라 긴지, 타카다 타쿠토, 코부카타 다이치, 무라카와 나기, 윌니 모론, 알렉산더 마르티네스의 전력 외 통고가 발표되었다.2군 타격 코치인 시마무라 잇키, 2군 배터리 코치인 츠루오카 카즈나리 또한 퇴단이 발표되었다. 이들은 각각 오릭스 버팔로즈와 한화 이글스의 코치로 취임했다.
10월 6일, 아오야마 미치오 2군 감독의 퇴단이 발표되었다. 후임 2군 감독으로는 쿠와하라 요시유키가 임명되었다.
10월 22일, 시모조노 타츠야 2군 타격 코치의 퇴단이 발표되었으며 이후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구단이 시모노조를 다음 시즌부터 코치로 초빙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같은 날 이시카와 타츠야의 전력외 통고도 발표되었다.
11월 4일, 코이케 마사아키 1군 외야/수비 코치의 퇴단이 발표되었다. 코이케는 이후 주니치 드래곤즈의 코치로 취임했다.
11월 5일, 무라타 슈이치, 카와다 유스케, 우에다 요시노리 코치의 입단 발표가 나왔다. 무라타는 2011년 이후 14년 만에 다시 친정팀의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무라타의 입단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주루 코치로 평판이 좋지 않은 카와다와 우에다의 입단은 그다지 좋은 소리는 못 듣는 편.
11월 8일, 토노 슌 2군 투수 어시스턴트의 퇴단이 발표되었다.
코칭스태프 개편을 단행한 결과 타격 코치 보직을 없애면서 타격과 관련된 보직에 있는 코치들이 모두 야수 코치로 전환되었다. 또한 수비 및 주루를 담당하는 코치들 대부분도 야수 코치를 겸하는 형태로 시즌을 준비한다.
이에 대해 하기와라 총괄 본부장은 선수의 퍼포먼스를 끌어내는 육성, 타격과 수비 등에 국한되지 않는 다방면적인 야수 육성을 위해 이번 코칭스태프 개편을 단행했다고 직접 설명했다.# 또한 야수 코치들은 1, 2군을 순회하며 선수들을 지도하게 된다.
11월 15일, 니시마키 켄지, 죠코 료타, 후카자와 오스케, 하시모토 타츠야의 육성선수 전환 소식이 발표되었다.
11월 16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한신 타이거스에서 전력 외 통고를 받았던 카사야 슌스케와 이와타 마사키의 입단이 발표되었다.
11월 30일, J.B. 웬델켄, 마이크 포드와의 재계약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구단의 발표가 나왔다. 이들 외의 나머지 외국인 선수 4명(안드레 잭슨, 로완 윅, 앤서니 케이, 타일러 오스틴)의 잔류 소식 또한 함께 발표되었다.
12월 9일 행해진 현역 드래프트에서 한신의 하마치 마스미를 지명하였으며 카미챠타니 타이가가 소프트뱅크의 지명을 받고 이적하게 되었다.
12월 20일, 육성선수였던 와타나베 아키가 본인 요청으로 구단에 퇴단을 요청하며 팀을 나가게 되었다.
12월 23일, 소프트뱅크와의 1:1 트레이드를 통해 미모리 마사키를 받아오고 하마구치 하루히로를 내보냈다.
해를 넘긴 25년 1월 27일, 구단 행사에서 트레버 바우어의 입단을 정식 발표하면서 2년 만에 일본 무대로 복귀하게 되었다.
2.1. 선수 이동
2.1.1. 지배하 선수
<rowcolor=#fff> 영입 및 등록 | 방출 및 말소 | ||||
<rowcolor=#fff> 선수 | 전 소속 | 비고 | 선수 | 거취 | 비고 |
투수 | |||||
이와타 마사키 | 한신 타이거스 | 미우라 긴지 | |||
타케다 유 | 미츠비시 중공 West | 드래프트 1위 | 타카다 타쿠토 |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 |
시노기 켄타로 | 호세이대학 | 드래프트 2위 | 이시카와 타츠야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와카마츠 나오키 | 고치 파이팅 독스 | 드래프트 4위 | 하시모토 타츠야 | 육성 전환 | |
사카구치 카스가 | 코쿠가쿠인대학 | 드래프트 6위 | 후카자와 오스케 | 육성 전환 | |
하마치 마스미 | 한신 타이거스 | 현역 드래프트 | J.B. 웬델켄 | ||
트레버 바우어 |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 카미챠타니 타이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현역 드래프트 | |
하마구치 하루히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트레이드 | |||
포수 | |||||
죠코 료타 | 육성 전환 | ||||
내야수 | |||||
카토 히비키 | 토쿠시마 인디고삭스 | 드래프트 3위 | 야마토 | ||
타나이 마나토 | 오카야마산요고교 | 드래프트 5위 | 니시우라 나오미치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코치 취임 |
미모리 마사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트레이드 | 니시마키 켄지 | 육성 전환 | |
마이크 포드 | |||||
외야수 | |||||
오오타 타이시 | 은퇴 | ||||
쿠스모토 타이시 | 한신 타이거스 |
2.1.2. 육성 선수
<rowcolor=#fff> 영입 및 등록 | 방출 및 말소 | ||||
<rowcolor=#fff> 선수 | 전 소속 | 비고 | 선수 | 거취 | 비고 |
투수 | |||||
카사야 슌스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윌니 모론 | |||
하시모토 타츠야 | 지배하 선수 | 육성 전환 | 알렉산더 마르티네스 | ||
후카자와 오스케 | 지배하 선수 | 육성 전환 | 와타나베 아키 | ||
요시오카 하루 | 아난히카리고교 | 육성 드래프트 2위 | |||
카나부치 코키 | 하치노헤공대부속제1고교 | 육성 드래프트 3위 | |||
포수 | |||||
죠코 료타 | 지배하 선수 | 육성 전환 | |||
내야수 | |||||
니시마키 켄지 | 지배하 선수 | 육성 전환 | 코부카타 다이치 | ||
외야수 | |||||
코바리 다이키 | 니혼대학부속츠루가오카고교 | 육성 드래프트 1위 | 무라카와 나기 |
2.1.3. 드래프트 회의
2.1.3.1. 지배하 선수
2025 NPB 드래프트 회의(지배하 선수) | ||||||
<rowcolor=#ffffff> 순위 | 성명 | 포지션 | 전 소속 | 출신지 | 비고 | |
2.1.3.2. 육성선수
2025 NPB 드래프트 회의(육성 선수) | ||||||
<rowcolor=#ffffff> 순위 | 성명 | 포지션 | 전 소속 | 출신지 | 비고 | |
2.2. 트레이드
트레이드 목록 | ||||
<rowcolor=#ffffff> 일자 | 대상 구단 | DeNA 획득 | 타 구단 획득 | 비고 |
24.12.23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미모리 마사키 | 하마구치 하루히로 |
2.3. 연봉 협상
<rowcolor=#fff> 연봉 협상 | ||
<rowcolor=#fff> 성명 | 추정 연봉(만 엔) | 증감액 |
투수 | ||
야마사키 야스아키 | 30,000 | 동결 |
아즈마 카츠키 | 21,000 | △10,500 |
이시다 켄타 | 10,000 | 동결 |
모리하라 코헤이 | 10,000 | △4,300 |
이세 히로무 | 9,250 | ▼1,750 |
오오누키 신이치 | 7,200 | ▼500 |
미시마 카즈키 | 6,500 | ▼5,500 |
하마구치 하루히로 | 4,600 | ▼800 |
모리 유이토 | 4,000 | ▼1,000 |
카미챠타니 타이가 | 3,900 | ▼1,200 |
사카모토 유야 | 3,700 | △1,700 |
사사키 치하야 | 3,500 | △500 |
이리에 타이세이 | 3,350 | ▼1,050 |
타이라 켄타로 | 2,600 | 동결 |
쿄야마 마사야 | 2,450 | △400 |
토쿠야마 소마 | 2,000 | △1,090 |
나카가와 하야테 | 1,600 | △950 |
나카가와 코 | 1,520 | △760 |
요시노 테루키 | 1,400 | △200 |
이시다 유타로 | 1,300 | △520 |
마츠모토 료토 | 1,250 | △50 |
호리오카 하야토 | 700 | △30 |
코조노 켄타 | 690 | ▼220 |
하시모토 타츠야 | 650 | ▼130 |
미야기 다이타 | 640 | ▼100 |
마츠모토 류노스케 | 560 | 동결 |
모리시타 류다이 | 550 | △20 |
후카자와 오스케 | 520 | △20 |
콘노 류토 | 340 | 동결 |
쇼지 하루토 | 340 | 동결 |
쿠사노 하루토 | 340 | 동결 |
시미즈 마나토 | 340 | 동결 |
포수 | ||
토바시라 야스타카 | 7,500 | 동결 |
야마모토 유다이 | 5,400 | △3,100 |
이토 히카루 | 5,200 | ▼1,300 |
마츠오 시온 | 1,100 | 동결 |
아즈마 쥰페이 | 600 | 동결 |
마시코 쿄스케 | 560 | 동결 |
죠코 료타 | 460 | △20 |
콘도 타이가 | 340 | 동결 |
내야수 | ||
마키 슈고 | 25,000 | △2,000 |
미야자키 토시로 | 20,000 | 동결 |
쿄다 요타 | 6,000 | △1,000 |
시바타 타츠히로 | 4,700 | ▼500 |
모리 케이토 | 2,300 | △700 |
하야시 타쿠마 | 1,900 | △450 |
치노 나오토 | 1,200 | △100 |
이시카미 타이키 | 950 | △100 |
이노우에 켄토 | 900 | △120 |
니시마키 켄지 | 570 | 동결 |
아이바라 류노스케 | 560 | 동결 |
렌 | 340 | 동결 |
오가사와라 소 | 340 | 동결 |
타카미자와 이쿠미 | 340 | 동결 |
외야수 | ||
츠츠고 요시토모 | 30,000 | 동결 |
사노 케이타 | 17,000 | △1,500 |
쿠와하라 마사유키 | 12,000 | 동결 |
세키네 타이키 | 5,350 | ▼750 |
카미자토 카즈키 | 3,000 | ▼800 |
에비나 타츠오 | 2,700 | △950 |
와타라이 류키 | 2,600 | △1,000 |
카지와라 코키 | 2,200 | △1,450 |
카츠마타 아츠시 | 620 | 동결 |
타케다 리쿠 | 560 | 동결 |
2.4. 등번호 변경
<rowcolor=#fff> 등번호 변경 | |||
<rowcolor=#fff> 이름 | 포지션 | 변경 전 | 변경 후 |
하시모토 타츠야 | 투수 | 35 | 035 |
후카자와 오스케 | 투수 | 43 | 043 |
죠코 료타 | 포수 | 66 | 127 |
니시마키 켄지 | 내야수 | 67 | 129 |
쿄다 요타 | 내야수 | 98 | 9 |
3. 춘계캠프
2025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군 춘계캠프 명단 | ||
<colbgcolor=#009dec> 감독 | 미우라 다이스케 | 1명 |
코치 | 무라타 슈이치, 츠루오카 켄지로, 후지타 카즈야, 카와다 유스케, 타시로 토미오, 신도 타츠야, 오오하라 신지, 아이카와 료지, 만에이 타카시, 이리키 유사쿠, 나카이 다이스케, 오오무라 이와오, 코스기 요타, 타나카 히로야스 | 14명 |
투수 | 아즈마 카츠키, 타케다 유, 이세 히로무, 오오누키 신이치, 미시마 카즈키, 코조노 켄타, 야마사키 야스아키, 사카모토 유야, 요시노 테루키, 시노기 켄타로, 마츠모토 료토, 모리 유이토, 와카마츠 나오키, 마츠모토 류노스케, 안드레 잭슨, 하마치 마스미, 나카가와 하야테, 이시다 유타로, 로완 윅, 미야기 다이타, 이와타 마사키, 앤서니 케이, 호리오카 하야토, 요프렉 디아스, 쇼지 하루토 | 25명 |
포수 | 마츠오 시온, 토바시라 야스타카, 야마모토 유다이, 아즈마 쥰페이, 쿠키 류헤이 | 5명 |
내야수 | 마키 슈고, 타일러 오스틴, 모리 케이토, 쿄다 요타, 미모리 마사키, 시바타 타츠히로, 카토 히비키, 이노우에 켄토, 치노 나오토 | 9명 |
외야수 | 쿠와하라 마사유키, 와타라이 류키, 사노 케이타, 츠츠고 요시토모, 카지와라 코키, 에비나 타츠오 | 6명 |
- 1군 캠프 일정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캠프지 | 유니온 데스카라 스타디움 기노완 |
기간 | 2025년 2월 1일~2월 24일 휴식일 : 2월 5, 10, 14, 19일 |
이동 스케줄 | 1월 31일 : 오키나와 이동 2월 25일 : 요코하마 이동 |
- 1군 시합 일정
<rowcolor=#fff> 날짜 | 상대팀 | 구장 | 시간 | 시합 종류 |
2월 8일 | - | 기노완 | 12:30 | 자체 홍백전 |
2월 11일 | 주니치 | 챠탄 | 13:00 | 연습시합 |
2월 12일 | 주니치[2군] | 요미탄 | 13:00 | 연습시합 |
2월 13일 | 라쿠텐 | 기노완 | 13:00 | 연습시합 |
2월 15일 | 주니치 | 기노완 | 13:00 | 연습시합 |
2월 18일 | 요미우리 | 나하 | 13:00 | 연습시합 |
2월 20일 | 치바 롯데 | 기노완 | 13:00 | 연습시합 |
2월 22일 | 요미우리 | 기노완 | 13:00 | 오픈전 |
2월 23일 | 야쿠르트 | 우라소에 | 13:00 | 오픈전 |
2월 24일 | 한신 | 기노자 | 13:00 | 연습시합 |
2025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군 춘계캠프 명단 | ||
<colbgcolor=#009dec> 감독 | 쿠와하라 요시유키 | 1명 |
코치 | 츠지 토시야, 이시이 타쿠로, 스즈키 타카노리, 우에다 요시노리, 야나기다 시게오, 야기 카이, 카가 시게루 | 7명 |
투수 | 이시다 켄타, 토쿠야마 소마, 이리에 타이세이, 모리시타 류다이, 사사키 치하야, 모리하라 코헤이, 사카구치 카스가, 쿄야마 마사야, 타이라 켄타로, 나카가와 코, 하시모토 타츠야, 후카자와 오스케, 쿠사노 하루토, 시미즈 마나토, 카나부치 코키, 한셀 마르셀리노, 콘노 류토, 요시오카 하루, 카사야 슌스케 | 19명 |
포수 | 이토 히카루, 마시코 쿄스케, 죠코 료타, 콘도 타이가 | 4명 |
내야수 | 하야시 타쿠마, 이시카미 타이키, 미야자키 토시로, 타나이 마나토, 렌, 오가사와라 소, 니시마키 켄지, 아이바라 류노스케, 타카미자와 이쿠미 | 9명 |
외야수 | 카미자토 카즈키, 카츠마타 아츠시, 타케다 리쿠, 세키네 타이키, 코바리 다이키 | 5명 |
- 2군 캠프 일정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캠프지 | 나세 운동공원 아마미쇼 구장 |
기간 | 2024년 2월 1일~2월 24일 휴식일 : 2월 5, 10, 14, 19일 |
이동 스케줄 | 1월 31일 : 아마미 이동 2월 25일 : 요코하마 이동 |
4. 오픈전
<rowcolor=#ffffff> 순위 | 승 | 무 | 패 | 승차 | 승률 |
6 / 12 | 8 | 2 | 8 | 3.5 | 0.500 |
<rowcolor=#ffffff> 팀 타율 | 팀 홈런 | 팀 도루 | 팀 득점 | 팀 실점 | 팀 방어율 | 팀 실책 |
.210 | 4 | 11 | 49 | 51 | 2.58 | 8 |
5. 정규시즌
===# 3~4월 #===- 3월 28~30일(🏠 요코하마 스타디움)
対 주니치 드래곤즈(2승 1패) - 3월 28일(5:0 승) : 선발 아즈마 카츠키가 7이닝 무실점 호투로 주니치 타선을 틀어막는 동안 타선은 주니치 외야의 아쉬운 수비와 맞물려 상대 선발 타카하시 히로토를 공략하며 총 5득점을 올렸다. 이후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8회를 단 9구만에 정리하며 이리에 타이세이에게 9회를 넘겨주었고 이리에는 9회초에 볼넷을 하나 주긴 했으나 아웃카운트를 모두 삼진으로 잡으면서 597일만의 복귀 등판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3월 29일(0:1 패) : 복귀 후 첫 등판을 가진 트레버 바우어가 숱한 위기를 맞이하고도 6이닝 1실점으로 본인의 몫을 다 하며 버텼지만 타선이 상대 선발 마츠바 타카히로에게 철저히 틀어막히면서 점수는 커녕 득점권 기회를 만들기도 버거웠다. 결국 2안타 1볼넷만 얻어내는데 그쳐 전날의 흐름을 이어가지 못하고 아쉬운 석패를 당했다.
- 3월 30일(2:1 승) : 카지와라 코키와 마츠오 시온의 홈런 2방으로 신승을 거두었다. 다만 선발 타이라 켄타로가 5이닝 무실점으로 버틴 후 뒤를 이어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던 이시다 유타로에게 3이닝째를 요구하다 투수 교체 타이밍을 놓치고 1실점을 범해 역전 위기까지 몰리게 되었던 것은 아쉬운 부분.
- 4월 1~3일(🚅 쿄세라 돔 오사카)
対 한신 타이거스(2승 1무) - 4월 1일(7:1 승) : 2회 말 2사 2루 위기에서 키나미 세이야의 안타 타구 처리를 츠츠고 요시토모가 제대로 하지 못하며 기분 나쁘게 선취점을 헌납했으나 3회 초 마키 슈고가 동점 솔로홈런을 치며 빠르게 균형을 맞췄다. 그리고 6회 초, 1사 이후 미모리 마사키의 안타를 시작으로 3점을 뽑아내며 상대 선발 사이키 히로토를 무너뜨리는데 성공한다. 8회 말 한신의 무사 1, 2루 찬스까지 무산시킨 뒤 9회 초에 3점을 더 추가하며 승기를 굳히고 9회말을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올라와 깔끔하게 이닝을 지워내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 4월 2일(6:6 무) : 토바시라 야스타카의 땅볼 타점으로 앞서나갔으나 곧바로 사토 테루아키와 모리시타 쇼타를 앞세운 한신 타선의 맹공에 의해 2점을 잃고 역전당했다. 이후 6회 초 미모리 마사키와 미야자키 토시로의 적시타로 다시 역전에 성공하며 상대 선발 제레미 비슬리를 강판시켰다. 허나 6회 말 투수 교체 타이밍을 늦추는 바람에 오오야마 유스케에게 동점 적시 2루타를 얻어맞고 이어진 만루 위기에서 키나미 세이야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 줘 다시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7회 말 오오야마에게 2타점 3루타까지 얻어맞아 패색이 짙어졌으나 8회 초 하비 게라를 상대로 2사 이후에 3득점을 올리면서 다시 균형을 맞추었다. 경기는 그대로 연장까지 진행되었고 양 팀 모두 주자는 꾸준히 내보냈지만 어느쪽도 홈을 밟는데 실패하면서 결국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 4월 3일(5:2 승) : 앤서니 케이와 존 듀플란티어의 치열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이날 경기는 5회까지 0:0의 스코어가 유지되며 팽팽히 맞서다가 6회 초 1사 2루에서 카지와라 코키의 선제 적시타에 이어 8회 초에 마키 슈고의 적시 2루타가 터지면서 요코하마가 2점차 리드를 잡았다. 그러나 8회 말에 케이의 후속 투수로 등판한 사카모토 유야가 사토 테루아키에게 동점 2점 홈런을 허용해 케이의 승리를 날려버렸고, 그렇게 9회에 돌입하면서 어제에 이은 연장전으로 흘러가나 싶었으나 여기서 경기의 흐름을 또 다시 요코하마로 기울이는 사건이 터졌다.
1사 1루 상황에서 하비 게라가 6번 타자 사노 케이타를 상대로 볼카운트 2-2에서 헛스윙을 유도해 삼진을 잡았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마나베 카츠미 주심이 이 공을 삼진이 아닌 파울로 선언했다. 방송 화면에서 슬로우 모션으로 해당 상황을 리플레이할 때 사노의 배트가 공을 스치지 않은 것이 명백히 보였음에도 공이 배트에 맞았다고 판정하는 어이없는 오심을 저지른 것.[움짤]
결국 이 판정에 흔들린 게라가 사노에게 볼넷을 내주며 2사 1루가 되었어야 할 상황이 1사 1, 2루가 되었고, 그 직후 야마모토 유다이가 2타점 적시 3루타를 때려내며 균형을 무너뜨린 데 이어 모리 케이토가 게라의 후속 투수 이토 마사시를 상대로 희생 플라이로 1타점을 추가하면서 점수차를 3점으로 벌린 뒤 9회 말을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실점 없이 막아내어 2승 1무로 위닝시리즈를 확정지었다. 그러나 경기 막판의 치명적인 오심으로 인해 승부가 결정난 셈이 되면서 상당히 찜찜한 승리로 남게 되었다.
- 4월 4~6일(🚅 마츠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対 히로시마 도요 카프(0승 3패) - 4월 4일(2:8 패) : 3회 초 마키 슈고의 통산 100호 홈런이 되는 2점 홈런으로 선제점을 따낸 데 이어 선발 이시다 유타로도 4회 말 2아웃까지 호투를 이어갔으나 코조노 카이토의 안타를 시작으로 카프 타선이 연속 안타를 터트리면서 순식간에 2:2 동점을 만들었고 이후 타무라 슌스케의 타구를 마키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서 끝내 역전을 허용하고 말았다. 거기다 5회 말에는 또 코조노에게 적시 2루타를 얻어맞아 점수차가 2점차로 벌어졌고 6회 말에는 불펜들이 심각한 제구 난조를 보이며 연속 사사구를 헌납하는 등 6회에만 4점을 더 잃고 이렇다 할 추격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채 최종 스코어 2:8로 참패하고 말았다.
- 4월 5일(7:8 패) : 이날 역시 타일러 오스틴의 선제 2타점 2루타로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2회 말 선발 아즈마 카츠키가 곧바로 2점을 잃으며 금세 따라잡히고 말았다. 4회 말에는 2사 이후 모리 케이토의 송구 실책으로 이닝이 끝내지 못했고 뒤이어 스에카네 쇼타에게 역전 2점홈런을 얻어맞았다. 8회말에도 미야자키 토시로 혼자서 2개를 실책을 기록하여 2점을 더 잃었고 그 동안 타선은 2득점 이후 좀체 추격을 하는 점수를 만들지 못했다.
9회 초, 히로시마의 마무리 쿠리바야시 료지가 난조에 빠진 틈을 타 무사 만루 찬스를 만든 직후 야마모토 유다이의 2타점 적시타로 점수차를 2점으로 좁혔으나 히로시마의 필사적인 투마카세로 인해 2아웃이 되며 추격만 하다 끝나는 듯 했지만 마키 슈고의 밀어내기 볼넷과 사노 케이타의 2타점 인정 2루타를 통해 7:6으로 다시 역전에 성공했다. 그러나 9회 말에 올라온 이리에 타이세이가 1점차 리드를 지키지 못한 채 동점을 허용한 것은 물론 끝내기 패배 위기에까지 몰렸으나 야마아시 타츠야를 뜬공으로 잡아내면서 연장전으로 흘러갔다.
문제는 승리를 확신하고 주전 선수들을 거의 다 벤치로 불러들인 탓에 타선이 모리우라 다이스케 단 1명에게 2이닝을 틀어막히며 전혀 힘을 쓰지 못했고, 결국 11회 말에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등판하자마자 대타로 나온 타무라 슌스케에게 초구 끝내기 홈런[4]을 얻어맞으면서 허망하게 패배하고 말았다. - 4월 6일(6:7 패) : 선발 타이라 켄타로가 카프 타선의 기세를 이겨내지 못하고 2회 1실점, 3회 4실점으로 조기에 강판되며 경기 초반부터 0:5 스코어로 끌려갔다. 5회 초, 에비나 타츠오의 2타점 2루타와 와타라이 류키의 땅볼 타점으로 3점을 내며 2점차로 추격을 했고 카프 타선이 5점 이후로 추가점을 뽑지 못하는 사이 8회 초 사노 케이타의 1타점 적시타가 터지면서 1점차를 만든다. 그러나 8회 말, 카프 타선이 마키 슈고의 실책과 1사 이후에 터진 오오모리 미노루의 2루타를 통해 1사 2, 3루의 기회를 잡았고 여기서 노마 타카요시의 내야안타를 통해 1점을 추가한다.[5] 카프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야노 마사야의 적시타로 1점을 더 보태면서 다시 점수차를 3점 차이로 벌리며 요코하마의 추격의지를 꺾었다. 요코하마는 9회 초, 어제부터 상태가 좋지 않았던 쿠리바야시 료지를 상대로 2점을 뽑아내어 다시 추격 의지를 불태웠지만 쿠리바야시가 동점을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마무리 지으면서 6:7로 패배. 시리즈 피스윕을 확정하고 말았다.
- 4월 8~9일( 🏠 요코하마 스타디움)
対 요미우리 자이언츠(1무 1패) - 4월 8일(3:3 무) : 3회까지 팽팽히 맞선 두 팀이었지만 4회 말, 요코하마가 야마모토 유다이의 2타점 적시타로 선취점을 낸다. 요미우리도 가만히 있지 않고 오카모토 카즈마의 적시 2루타로 추격. 1점차를 만든다. 그러자 요코하마는 마키 슈고의 1타점 적시타로 다시 2점차를 만들어 승부를 굳히는 듯 보였다. 허나 8회 초, 이세 히로무가 2아웃 이후 난조를 보이면서 오카모토와 카이 타쿠야에게 연속으로 적시타를 허용하며 3:3 동점을 내 주고 만다. 정규이닝 동안 승부를 내지 못한 양 팀은 연장전으로 돌입한 이후로도 꾸준히 주자를 내보냈지만 득점으로 연결되지 못하면서[6] 결국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 4월 9일(3:6 패) : 이번에도 상대 선발 야마사키 이오리의 벽을 넘지 못했다. 야마사키는 8이닝 동안 안타 2개만을 허용하는 완벽에 가까운 투구로 요코하마 타선을 압도하며 요코하마 킬러 본능이 건재하다는 것을 다시금 증명했다. 오오누키 신이치는 3회까지 힘겹게 무실점으로 요미우리 타선을 막아냈지만 결국 4회 초 오카모토 카즈마와 엘리어 에르난데스에게 백투백 홈런을 얻어맞으며 흐름을 내 주고 말았다. 오오누키가 6이닝 2실점으로 최소한의 역할은 하고 내려갔으나 하마치 마스미가 7회 초에 이즈구치 유타와 트레이 캐비지에게 1점홈런 2개를 얻어맞으며 점수차는 더욱 벌어졌고 8회 초에는 호리오카 하야토가, 9회 초에는 사사키 치하야가 각각 1실점을 추가하면서 점수차는 6점차까지 벌어졌다. 9회 말, 요코하마는 바뀐 투수 이즈미 케이스케에게서 마키 슈고가 3점홈런을 때려내고 라이델 마르티네스까지 마운드로 불러냈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마르티네스는 대타 미야자키 토시로에게 볼넷을 내 주긴 했지만 후속 타자들을 모두 범타로 잡아내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 4월 11~13일(🏠 요코하마 스타디움)
対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1승 0패) 4월 11일(0:0) : 우천으로 인한 시합 중단- 4월 12일(5:4 승) : 선발 앤서니 케이가 7이닝 동안 삼진 9개를 잡아내는 호투를 펼치는 사이 타선도 필요할 때마다 점수를 뽑아내주며 케이를 지원했다. 3회 말 카지와라 코키와 미야자키 토시로의 적시타로 먼저 2점을 선취한 요코하마는 5회 말에도 사노 케이타의 적시타와 미야자키의 희생 플라이 타점으로 2점을 추가했고 6회 말에는 카지와라가 다시 한번 적시 2루타를 때려내면서 5점차를 만들어 승부를 그대로 굳히는 듯 했다.
허나 8회 초를 깔끔히 막은 이시다 유타로가 9회 2사 이후 급작스럽게 난조에 빠지며 1실점 이후 교체 되었고 1, 3루 상황에 올라온 로완 윅도 제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며 볼넷 2개를 연달아 허용해 1실점, 밀어내기 실점 이후 모기 에이고로에게 2타점 적시타를 얻어 맞으면서 1점차까지 쫓기게 된다. 결국 요코하마는 이세 히로무까지 올려보냈고 이세가 마츠모토 나오키를 우익수 플라이로 힘겹게 잡아내면서 요코하마는 4연패에서 탈출한다. 4월 13일(-) : 우천으로 인한 시합 중지
- 4월 15~17일(🚌 도쿄 돔)
対 요미우리 자이언츠(1승 2패) - 4월 15일(0:1 패) : 타선이 1회 초부터 카지와라 코키의 선두타자 2루타를 시작으로 여러차례 찬스를 만들어 갔으나 모두 득점과 이어지지 못하며 어려운 경기를 이어갔다. 요미우리도 3회 말 카이 타쿠야의 1타점 적시타 이외에는 득점이 없었지만 이노우에 하루토 - 타이세이 - 라이델 마르티네스로 이어진 무실점 릴레이 앞에서 요코하마 타선은 전혀 힘을 쓰지 못하면서 1점차로 석패했다.
- 4월 16일(0:5 패) : 야마사키 이오리에게 가로막혀 득점은 커녕 산발 6안타에 그치는 졸공에 그쳤고, 복귀한 트레버 바우어는 1회 말부터 난타당하며 2점을 내 주더니 오카모토 카즈마에게 홈런 2방을 얻어 맞으면서 처절하게 완패했다. 이 날 경기를 패배하면서 주니치를 제치고 단독 꼴찌로 추락했다.
- 4월 17일(9:1 승) : 2경기 내내 침묵하던 타선이 타나카 마사히로를 상대로 초반부터 몰아치며 2이닝 만에 6득점을 올렸다. 3회 초에는 츠츠고 요시토모의 마수걸이 홈런이 터지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고 5회 초 야마모토 유다이의 적시타, 9회 초 카지와라 코키의 적시타로 9점째를 올리며 모처럼 만에 타선이 활발하게 터져주었다. 선발 아즈마 카츠키는 8이닝 동안 10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에이스의 역할을 다했다.
- 4월 25~27일(🏠 요코하마 스타디움)
対 히로시마 도요 카프(-승 -패) - 4월 25일() :
- 4월 26일() :
- 4월 27일() :
- 4월 29~5월 1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
対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승 -패) - 4월 29일() :
- 4월 30일() :
- 5월 1일() :
===# 6월 #===
===# 7월 #===
===# 8월 #===
===# 9~10월 #===
6. 총평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구단별 2025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한신 타이거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 |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치바 롯데 마린즈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 |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주니치 드래곤즈 | 오릭스 버팔로즈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1] 지난 해의 하극상에 이어 27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首)을 이뤄내겠다(奪)는 의미의 슬로건이다.[2군] [움짤] ![파일:20250403오심.gif]()
당시 중계 화면에서도 삼진인 줄 알고 스코어보드를 2아웃으로 바꿨다가 마나베의 파울 판정에 황급히 되돌리는 해프닝이 벌어졌다.[4] 이 홈런은 타무라의 프로 데뷔 첫 홈런이다.[5]
기록상으로는 내야안타였지만 하야시 타쿠마가 타구를 건져낸 뒤 쓸데없이 여유를 부리다 아웃과 점수를 교환할 수 있는 상황을 놓쳤다. 마치 쿠라모토 앞 안타를 연상케 하는 본헤드 플레이를 통해 다시금 본인의 기량이 프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팬들에게 각인시켰다.[6]
와중에 하야시 타쿠마는 10회 말에 대주자로 들어와서 주루사를 당해 또 까였다. 다만 이번 플레이는 타나카 에이토의 견제구가 빗나가면서 펜스를 맞고 너무도 정직하게 오카모토 앞으로 튕겨져 오는 바람에 오카모토가 후속 플레이를 수월하게 이어갈 수 있는 상황이 되 버려서 억까였다는 의견도 있는 편.
당시 중계 화면에서도 삼진인 줄 알고 스코어보드를 2아웃으로 바꿨다가 마나베의 파울 판정에 황급히 되돌리는 해프닝이 벌어졌다.[4] 이 홈런은 타무라의 프로 데뷔 첫 홈런이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