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1:24:44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역대 선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428e><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DeNA 로고.svg
일본시리즈 우승
★★★
1960 · 1998 · 2024
리그 우승
(2회)
1960 · 1998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6 · 2017 · 2019 · 2022 · 2023 · 2024
시즌별 요약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경기장 1군 요코하마 스타디움 · 2군 요코스카 스타디움 · 지방 홈구장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
과거 오사카 구장 · 카와사키 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tbs채널2 로고.png TBS 테레비2
현역 선수 경력 츠츠고 요시토모/선수 경력
주요 인물 구단주 난바 토모코 · 감독 미우라 다이스케 · 선수회장 오오누키 신이치 · 주장 마키 슈고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1. 개요2. 영구결번3. 출신 선수들
3.1. 투수3.2. 포수3.3. 내야수3.4. 외야수
4.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

1. 개요

역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 재적했던 선수들을 이 항목에서 정리한다. 현역 선수단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선수단 항목 참고.

상위 문서에서 언급했듯이 현존 12개 구단 중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 함께 한국인 선수(재일교포 제외)와 별 인연이 없는 두 팀 중 하나다. 물론 재일교포 선수는 송재박이 1980년대 뛰었던 적이 있으며 그 유명한 모리모토 히초리가 입단하기도 했다만 먹튀.

2. 영구결번

강팀이던 시절도 있었고 다이요 시절도 포함하면 명구회 회원인 히라마츠 마사지(27번)와 마츠바라 마코토(25번)를 비롯하여 이시이 타쿠로(5번), 사사키 카즈히로(22번) 등 나름 레전드 선수들이 있지만 구단 정식 영구결번은 없다.[1] 레전드들과 제대로 헤어지지 못한 것도 있고, 결번대신 번호를 물려주는 경향이 있는 일본야구 문화의 특성 덕분에... 그나마 미우라 다이스케가 은퇴하며 18번을 준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투수코치로 부임한 미우라가 사용하다가, 2021시즌에 감독에 부임하며 번호를 81번으로 교체했다. 어디까지나 '준'영구결번이라, 나중에 미우라의 뒤를 이을만한 투수가 등장하면 본인 합의하에 물려줄 가능성도 있다고 공언하였으며 2021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 지명을 받은 고졸 투수 코조노 켄타에게 18번이 부여되어 준영구결번이 해제되었다.

3. 출신 선수들

3.1. 투수

3.2. 포수

3.3. 내야수

3.4. 외야수

4.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



[1] 정확히는 있었긴 했다. 1997년부터 2012년까지 등번호 100번을 구단에 큰 공헌을 한 저명한 인물들의 영구결번으로 삼았지만, 2013년부터 육성 드래프트 1위로 입단한 이마이 킨타에게 이 등번호가 주어지면서 영구결번이 해체되었다. 이후 2015년 이마이가 방출된 후엔 그 해 이마이와 똑같이 육성 드래프트 1위로 입단한 아미아 케이쇼가 이 등번호를 쓰는 중.[2] 소속팀이 강팀이었거나 선수생활을 좀더 했더라면 최소한 200승은 찍고 명구회 갔을지도 모르는 성적이다.[3] 일본 한정으로만 타이요-요코하마에서 뛴 선수로 사사키 카즈히로도 있으나 이쪽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이 있다.[4]NFL 캔자스시티 치프스 주전 쿼터백 패트릭 마홈스의 아버지.[5] 정확히는 동료 왕징차오와 같이 입단했다. 왕징차오 역시 1군에 못 올라오고 2010년 방출.[6] 1986년에 키요하라 카즈히로가 타이 기록을 세우며 마찬가지로 신인왕을 수상했다. 다만 키요하라는 쿠와타와는 달리 현역 시절의 뛰어난 누적 기록과는 별개로 타격 삼관왕 타이틀과 1번도 인연을 맺지 못했다.[7] 이 당시 벳토의 전임 감독이었던 킨테츠 버팔로즈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킨테츠 이적을 권유했으나 쿠와타가 퍼시픽리그 이적을 꺼려서 성사되지 않았다.[8] 당해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최초로 득점이 실점보다 많음에도 최하위를 기록한 팀이 되고 말았다.[9] 이 중 홈런 및 타점 기록은 현재까지 구단 기록으로 남아있고, 통산 안타 기록은 2006년에 이시이 타쿠로가 경신했다.[10] 3대 타격 타이틀(수위타자, 홈런, 타점)을 수상하지 못한 선수로는 키요하라 카즈히로의 경우도 있지만 대신 키요하라는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수상한 적이 있다.[11] 최다안타는 1994년부터 시상 타이틀로 지정되었으며, 통산 2000안타를 치고도 아무런 상도 못 받은 인물은 마츠바라가 유일하다. 여담으로 주니치 드래곤즈,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강타자로 활약하며 1983년 센트럴리그 홈런왕을 수상한 오오시마 야스노리가 있는데, 이 선수 역시 통산 2204안타 382홈런 1234타점으로 누적 기록이 좋았으나 단 1번도 골든글러브는 물론 베스트나인조차 수상하지 못하며 마츠바라와 비슷한 길을 걸었다.[12]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코라쿠엔 구장 더그아웃 시리즈로 유명한 당해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 에나츠 유타카를 상대로 대타 동점 홈런을 날리는 등의 활약을 보여줬다.[13] 다만 본인은 이적 회견장에서 울면서 "요미우리로 이적해도 전혀 기쁘지 않다. 타이요에서 우승을 맛보는게 내 목표였다."라고 말할 정도로 타이요에 대한 애착을 보였다.[14] 다만 우치카와는 1년 만에 등번호를 2번으로 바꿨다.[15] 히로시마의 레전드와는 발음만 같은 동명이인. 히로시마의 레전드는 한자로 山本浩二, 이 선수의 아버지는 山本功児를 쓴다. 1976년에 데뷔해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백업 멤버로 뛰다 롯데 오리온즈로 이적해 은퇴하는 1988년까지 다이아몬드 글러브를 2번 수상하는 등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준 선수였지만 히로시마의 야마모토가 워낙 후덜덜한 업적을 남겨서 빛이 바랜 감이 있다.[16] 무사시가 초등학교 4학년 때 아버지가 만성심부전에 걸려 페이스메이커 착용이 불가피할 정도로 건강이 나빠졌으나 아들의 연습을 도와야 하는데 페이스메이커를 쓰면 움직임에 제약이 있어서 아들의 연습을 돕기 힘들다는 이유로 페이스메이커 착용을 거부했고, 이후 건강이 더 나빠져 입퇴원을 반복하는 와중에도 연습을 도와주는 것은 물론 무사시가 코시엔 진출을 위해 고향인 요코하마시와 멀리 떨어진 후쿠오카현 키타큐슈시의 큐슈국제대학 부속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었을 때도 온 가족이 다 함께 연고도 없는(참고로 아버지의 고향은 오사카부) 키타큐슈로 이사를 갔을 정도로 아들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줬다.[17] 거포 유망주였음에도 2군에서 커리어하이 타율이 .213에 불과했고 홈런도 제대로 못 쳤다.[18] 보스턴과 몬트리올 시절 김선우와의 악연으로도 한국 팬들에게 알려진 선수. 미국인들에게 발음하기 어려운 이름을 가진 봉중근이나 서재응이 Jung Bong, Jae Seo로 표기되었던 것처럼 메이저 시절에는 주로 '오카 토모'라는 약칭으로 이름이 표기되었기에 메이저 올드팬들은 그 이름으로 더 잘 기억할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3
, 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