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36:43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역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428e><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DeNA 로고.svg
일본시리즈 우승
★★★
1960 · 1998 · 2024
리그 우승
(2회)
1960 · 1998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6 · 2017 · 2019 · 2022 · 2023 · 2024
시즌별 요약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경기장 1군 요코하마 스타디움 · 2군 요코스카 스타디움 · 지방 홈구장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
과거 오사카 구장 · 카와사키 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tbs채널2 로고.png TBS 테레비2
현역 선수 경력 츠츠고 요시토모/선수 경력
주요 인물 구단주 난바 토모코 · 감독 미우라 다이스케 · 선수회장 오오누키 신이치 · 주장 마키 슈고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28e><tablewidth=100%> ◀ 2023 시즌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4년 2025 시즌 ▶}}}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4년 슬로건.svg
요코하마 진화(横浜進化)
<rowcolor=#ffffff> 구장 경기 수 전체 관중 수 평균 관중 수 총 관중 순위
요코하마 스타디움 72 2,358,312 32,754 5 / 12
<rowcolor=#fff> 순위 승차 승률
3 / 6 71 3 69 8.0 0.507
2024년 10월 6일 기준, NPB 관중 현황
파일:2024DeNA우승.png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1. 개요2. 오프 시즌
2.1. 선수 이동
2.1.1. 지배하 선수2.1.2. 육성 선수2.1.3. 드래프트 회의
2.1.3.1. 지배하 선수2.1.3.2. 육성선수
2.2. 트레이드2.3. FA2.4. 연봉 협상2.5. 등번호 변경
3. 춘계캠프4. 오픈전5. 정규시즌6. 포스트시즌7. 총평
7.1. 정규시즌 총평7.2. 포스트시즌 총평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오프 시즌

10월 3일에 공시되었던 대로 타나카 켄지로, 히라타 신고를 포함한 10명의 선수에게 전력 외 통고 조치했다. 또한 사이토 타카시 1군 치프 투수 코치, 키즈카 아츠시 1군 불펜 코치, 니시 토시히사 2군 감독, 오카 토모카즈 2군 투수 코치가 퇴임했다. 사이토는 퇴임 후 구단 프런트로, 키즈카는 구단 스카우터로 보직을 옮겼다.

10월 30일, 이리키 유사쿠 투수 코치를 영입했다. 보직은 2군 치프 투수 코치.

11월 6일, 에드윈 에스코바트레이 앰버기를 자유계약 공시했다.

11월 11일, 이마나가 쇼타의 포스팅 신청을 수용했다.

11월 16일, 코부카타 다이치와 아이바라 류노스케를 육성 선수로 전환시키고 카츠마타 아츠시를 지배하 등록시켰다.

11월 17일, 타 팀의 전력 외 통고 조치를 받고 소속팀이 없었던 모리 유이토, 나카가와 하야테, 호리오카 하야토를 일거에 영입했다. 모리와 나카가와는 지배하 계약, 호리오카는 육성 계약으로 입단에 합의했다.

11월 19일, 타일러 오스틴, 한셀 마르셀리노, 죠프렉 디아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마르셀리노와 디아스는 육성 계약으로 재계약했다.

11월 30일, 트레버 바우어, 네프탈리 소토를 자유계약 공시했으며 로버트 그셀만과는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 것을 발표했다.

12월 6일, 소프트뱅크에서 전력 외 통고를 받은 쿠키 류헤이가 육성 계약으로 입단에 합의했다.

12월 8일 행해진 현역 드래프트에서 치바 롯데로 부터 사사키 치하야를 획득하고 사쿠라이 슈토가 라쿠텐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12월 16일, FA를 선언한 이시다 켄타가 팀에 잔류하였다. 계약 규모는 4년 4억엔 이상으로 추정.

외국인 선수 구성은 로완 윅, 앤서니 케이, 안드레 잭슨을 영입했고 육성 선수는 투수 알렉산더 마르티네스와 윌니 모론을 영입하며 투수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2.1. 선수 이동

2.1.1. 지배하 선수

<rowcolor=#fff> 영입 및 등록 방출 및 말소
<rowcolor=#fff> 선수 전 소속 비고 선수 거취 비고
투수
모리 유이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에드윈 에스코바 아이오와 컵스
나카가와 하야테 오릭스 버팔로즈 히라타 신고 카라치 모나크스
마츠모토 료토 메이죠대학 드래프트 2위 타나카 켄지로 하야테 223
타케다 리쿠 야마가타츄오고교 드래프트 3위 카사하라 쇼타로 타이강 호크스
이시다 유타로 츄오대학 드래프트 5위 이케야 소타 하야테 223
사사키 치하야 치바 롯데 마린즈 현역 드래프트 미야구니 료스케
앤서니 케이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트레버 바우어
로완 윅 로버트 그셀만 로체스터 레드윙스
안드레 잭슨 사쿠라이 슈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현역 드래프트
이마나가 쇼타 시카고 컵스
내야수
이시카미 타이키 토요대학 드래프트 4위 타나카 슌타 니가타 알비렉스 BC
후지타 카즈야 은퇴 [1]
코부카타 다이치 육성 전환
아이바라 류노스케 육성 전환
네프탈리 소토 치바 롯데 마린즈
외야수
카츠마타 아츠시 육성 선수 지배하 등록 트레이 앰버기
와타라이 류키 ENEOS 드래프트 1위
이노우에 켄토 토쿠시마 인디고삭스 드래프트 6위

2.1.2. 육성 선수

<rowcolor=#fff> 영입 및 등록 방출 및 말소
<rowcolor=#fff> 선수 전 소속 비고 선수 거취 비고
투수
호리오카 하야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카토 다이
시미즈 마나토 쥬토쿠고교 육성 드래프트 2위 스탈린 코데로
쇼지 하루토 아오모리대학 육성 드래프트 4위
윌니 모론
알렉산더 마르티네스
포수
콘도 타이가 센다이키타카미고교 육성 드래프트 5위 히가시데 나오야
쿠키 류헤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내야수
코부카타 다이치 지배하 선수 육성 전환
아이바라 류노스케 지배하 선수 육성 전환
타카미자와 이쿠미 츠루가케히고교 육성 드래프트 1위
오가사와라 소 교토쇼에이고교 육성 드래프트 3위
외야수
카츠마타 아츠시 지배하 등록
오오하시 타케루

2.1.3. 드래프트 회의

2.1.3.1. 지배하 선수
2024 NPB 드래프트 회의(지배하 선수)
<rowcolor=#ffffff> 순위 성명 포지션 전 소속 출신지 비고
1 타케다 유 투수 미츠비시 중공 West 오사카부 다이토시
2 시노기 켄타로 투수 호세이대학 군마현 오라군 메이와마치
3 카토 히비키 내야수 토쿠시마 인디고삭스 카나가와현 아츠기시
4 와카마츠 나오키 투수 고치 파이팅 독스 홋카이도 삿포로시
5 타나이 마나토 내야수 오카야마산요 고교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6 사카구치 카스가 투수 코쿠가쿠인대학 효고현 이타미시
2.1.3.2. 육성선수
2024 NPB 드래프트 회의(육성 선수)
<rowcolor=#ffffff> 순위 성명 포지션 전 소속 출신지 비고
1 코바리 다이키 외야수 니혼대학부속츠루가오카 고교 도쿄도 쵸후시
2 요시오카 하루 투수 아난히카리 고교 도쿠시마현 아난시
3 카나부치 코키 투수 하치노헤공대부속제1 고교 아오모리현 로쿠노헤마치

2.2. 트레이드

트레이드 목록
<rowcolor=#ffffff> 일자 대상 구단 DeNA 획득 타 구단 획득 비고

2.3. FA

FA 대상자
<rowcolor=#ffffff> 일자 등급 성명 전 소속 유형 기간 금액 거취
2023.12.16 C 이시다 켄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FA(국내) 4년 4억엔 잔류

2.4. 연봉 협상

<rowcolor=#fff> 연봉 협상
<rowcolor=#fff> 성명 추정 연봉(만 엔) 증감액
투수
야마사키 야스아키 30,000 동결
미시마 카즈키 12,000 동결
이세 히로무 11,000 △1,800
아즈마 카츠키 10,500 △7,890
이시다 켄타 8,000 △1,800
오오누키 신이치 7,700 ▼1,100
모리하라 코헤이 5,700 △2,200
하마구치 하루히로 5,700 ▼900
가미차타니 다이가 5,100 △1,700
이리에 타이세이 4,400 ▼100
사사키 치하야 3,000 ▼850
타이라 켄타로 2,600 △600
쿄야마 마사야 2,050 ▼740
사카모토 유야 2,000 ▼300
이시카와 타츠야 1,600 △1,160
요시노 테루키 1,200 동결
토쿠야마 소마 910 ▼290
코조노 켄타 910 ▼290
하시모토 타츠야 780 동결
나카가와 코오 760 동결
미우라 긴지 740 ▼130
미야기 다이타 740 △300
마츠모토 류노스케 560 동결
모리시타 류다이 530 △20
타카다 타쿠토 510 동결
후카자와 오스케 500 동결
쿠사노 하루토 340 동결
와타나베 아키 340 동결
콘노 류토 340 동결
포수
토바시라 야스타카 7,500 △3,500
이토 히카루 6,500 ▼4,500
야마모토 유다이 2,300 △1,270
마츠오 시온 1,100 동결
아즈마 쥰페이 600 동결
마시코 쿄스케 560 ▼40
죠코 료타 440 △20
내야수
마키 슈고 23,000 △11,000
미야자키 토시로 20,000 동결
야마토 7,000 ▼1,000
시바타 타츠히로 5,200 ▼400
쿄다 요타 5,000 동결
니시우라 나오미치 2,600 동결
모리 케이토 1,600 ▼400
하야시 타쿠마 1,450 △540
치노 나오토 1,100 △190
니시마키 켄지 570 ▼30
아이바라 류노스케 560 동결
코부카타 다이치 560 동결
340 동결
외야수
사노 케이타 15,500 ▼1,500
쿠와하라 마사유키 12,000 동결
세키네 타이키 6,100 △2,600
오오타 타이시 5,000 동결
카미자토 카즈키 3,800 ▼700
쿠스모토 타이시 3,700 △100
에비나 타츠오 1,750 △150
카지와라 코키 750 △60
카츠마타 아츠시 620 동결
무라카와 나기 340 동결

2.5. 등번호 변경

3. 춘계캠프

2024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군 춘계캠프 명단
<colbgcolor=#009dec> 감독 미우라 다이스케 1명
코치 코이케 마사아키, 츠루오카 켄지로, 이시이 타쿠로, 타시로 토미오, 스즈키 타카노리, 오오하라 신지, 아이카와 료지, 만에이 타카시, 코스기 요타, 타나카 히로야스 10명
투수 아즈마 카츠키, 이세 히로무, 토쿠야마 소마, 오오누키 신이치, 코조노 켄타, 야마사키 야스아키, 사카모토 유야, 가미차타니 다이가, 마츠모토 료토, 모리 유이토, 사사키 치하야, 후카자와 오스케, 모리하라 코헤이, 이시카와 타츠야, J.B. 웬델켄, 나카가와 하야테, 타이라 켄타로, 나카가와 코오, 미야기 다이타, 한셀 마르셀리노, 죠프렉 디아스, 안드레 잭슨, 앤서니 케이, 로완 윅 24명
포수 마츠오 시온, 마시코 쿄스케, 야마모토 유다이, 아즈마 쥰페이 4명
내야수 하야시 타쿠마, 마키 슈고, 시바타 타츠히로, 니시우라 나오미치, 이시카미 타이키, 이노우에 켄토, 치노 나오토, 니시마키 켄지, 쿄다 요타 9명
외야수 쿠와하라 마사유키, 타일러 오스틴, 와타라이 류키, 사노 케이타, 카츠마타 아츠시, 카지와라 코키, 에비나 타츠오, 세키네 타이키, 무라카와 나기 9명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캠프지 유니온 데스카라 스타디움 기노완
기간 2024년 2월 1일~2월 25일
휴식일 : 2월 5, 9, 14, 20일
이동 스케줄 1월 31일 : 오키나와 이동
2월 25일 : 요코하마 이동
<rowcolor=#fff> 날짜 상대팀 구장 시간 시합 종류
2월 10일 - 기노완 12:30 자체 홍백전
2월 12일 주니치 기노완 12:30 연습시합
2월 15일 닛폰햄 기노완 12:30 연습시합
2월 17일 주니치 챠탄 13:00 연습시합
2월 18일 치바 롯데 기노완 12:30 연습시합
2월 21일 히로시마 코자 13:00 연습시합
2월 23일 야쿠르트 우라소에 13:00 연습시합
2월 24일 닛폰햄 나고 13:00 오픈전
2월 25일 라쿠텐 기노완 12:30 오픈전


2024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군 춘계캠프 명단
<colbgcolor=#009dec> 감독 아오야마 미치오[2] 1명
코치 시모조노 타츠야, 후지타 카즈야, 츠루오카 카즈나리, 시마무라 잇키, 야나기다 시게오, 야기 카이, 토노 슌, 이리키 유사쿠, 나카이 다이스케, 오오무라 이와오 10명
투수 이시다 켄타, 미시마 카즈키, 이리에 타이세이, 요시노 테루키, 하마구치 하루히로, 미우라 긴지, 하시모토 타츠야, 모리시타 류다이, 마츠모토 류노스케, 쿄야마 마사야, 이시다 유타로, 타카다 타쿠토, 쿠사노 하루토, 시미즈 마나토, 와타나베 아키, 콘노 류토, 호리오카 하야토, 쇼지 하루토, 알렉산더 마르티네스, 윌니 모론 20명
포수 토바시라 야스타카, 이토 히카루, 죠코 료타, 쿠키 류헤이, 콘도 타이가 5명
내야수 모리 케이토, 야마토, 미야자키 토시로, 렌, 오가사와라 소, 아이바라 류노스케, 코부카타 다이치, 타카미자와 이쿠미 8명
외야수 오오타 타이시, 카미자토 카즈키, 타케다 리쿠, 쿠스모토 타이시 4명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캠프지 나세 운동공원 아마미쇼 구장
기간 2024년 2월 1일~2월 25일
휴식일(멤버 전원) : 2월 5, 9, 13, 17일
휴식일(아마미 조) : 2월 21일
이동 스케줄 1월 31일 : 아마미 이동
2월 21일 : 미야자키 이동(미야자키 조 멤버들만)
2월 25일 : 요코하마 이동
<rowcolor=#fff> 날짜 상대팀 구장 시간 시합 종류
2월 23일 히로시마 텐푸쿠 12:30 연습시합
2월 24일 오릭스 SOKKEN TBD 연습시합

4. 오픈전

<rowcolor=#ffffff> 순위 승차 승률
6 / 12 7 5 6 1.0 0.538

팀 타율 : .270(1위)
팀 홈런 : 12개(2위)
팀 도루 : 24개(1위)
팀 ERA : 2.21(2위)
팀 득점 : 61득점(2위)
팀 실점 : 42실점(공동 1위)
팀 실책 : 10개(공동 5위)

전반적으로 모든 부문에서 상위권을 기록하면서 오픈전을 마무리했다.

가장 주목할 점은 비약적인 팀 도루 갯수 증가. 지난해 143경기 동안 팀 도루가 33개에 불과했지만 오픈전 18경기만에 전년도 정규시즌의 약 ¾ 가량인 24개를 기록했다. 단순히 도루만 많이 한 것도 아니라 성공률 또한 80%로 준수했다는 점도 긍정적인 부분. 그러나 도루 이외의 주루 플레이에선 여전히 견제사 및 주루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주루 쪽에서 디테일을 살려야 한다는 과제도 생겼다.

주목 받는 1순위 신인 와타라이 류키는 비록 오픈전이긴 하나 타격 1위에 오르면서 정규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5. 정규시즌

===# 3~4월 #======# 5월 #======# 6월 #===
===# 7월 #======# 8월 #===

===# 9~10월 #===

6. 포스트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일본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총평

7.1. 정규시즌 총평

유감스럽게도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3위라는 분한 결과가 되어 버려 죄송합니다.
(残念ながら皆さんの期待に応えることができず、悔しい3位という結果になってしまいすみませんでした。)
미우라 다이스케 감독. 10월 3일 홈 최종전 세레모니에서#
전년도에 이어 올해에도 시즌 중반까지는 우승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전반기 막바지부터 불안 요소들이 부각되기 시작해 서서히 무너질 징조를 보이더니 올스타 브레이크를 끼고서 당한 9연패로 내상을 크게 입고 B클래스권 까지 추락했다가 9월 막판 역대급 DTD를 선보인 히로시마를 제치고 간신히 A클래스 막차인 3위로 정규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지난해 선발 로테이션의 축이었던 이마나가 쇼타트레버 바우어의 이탈로 크게 헐거워진 선발진과 주력 불펜 자원들이 잇달아 부상 및 부진으로 쓰러지며 힘겨운 시즌을 보냈음에도 세리그 최강이라 할 수 있는 타선의 힘으로 이를 어느 정도 상쇄하며 중위권에서 버틴 것이 A클래스의 원동력이었다.

투수진은 아즈마 카츠키가 연속 경기 QS 기록이 깨진 이후에는 고전하긴 했으나 그 이전까지는 꾸준히 안정감 있는 모습을 보이며 1선발 역할을 잘 해내었고 안드레 잭슨도 시즌 초 부진을 딛고 재조정 이후에는 준수한 피칭을 보이며 규정이닝까지 진입했다. 다만 앤서니 케이는 시즌 후반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고 하마구치 하루히로 또한 기복 있는 피칭으로 의구심을 떨쳐내지 못해 선발 로테이션을 꾸준히 돌지 못했다. 오오누키 신이치, 이시다 켄타, 타이라 켄타로는 모두 부상으로 한동안 이탈하면서 선발진에 부담을 가중시켰다. 이를 신인 투수인 이시다 유타로와 2년차 사회인 요시노 테루키로 어떻게든 버텨보고자 했지만 이들도 기존 선발 자원들의 공백을 완전히 메꿀만한 결과를 남기지 못했다. 이를 반증하듯 올해 요코하마 선발진은 선발 ERA가 센트럴 리그 5위(3.26)에 그쳤다.

불펜은 올 시즌 들어 가장 불안했던 요소였는데 지난해부터 수술과 재활을 반복하던 이리에 타이세이는 올해에도 수술-재활을 이어가다 결국 시즌을 통으로 날렸고 J.B. 웬델켄은 시즌 초반부터 부상으로 장기간 이탈한데다 지난해 불펜으로 정착한 카미챠타니 타이가가 부진한 투구를 이어간 것도 모자라 부상을 당하는가 하면 전년도 부터 구위 하락이 시작된 이세 히로무의 부진, 거기다 6년 계약 2년차에도 변함없이 먹튀 행각을 이어가는 야마사키 야스아키까지 바람 잘 날이 없었을 정도다. 이를 시즌 중반까지 토쿠야마 소마, 나카가와 코, 쿄아먀 마사야, 사카모토 유야 등 여지껏 활약이 없었거나 미미했던 투수들까지 1군에 불러들이고 육성 선수였던 호리오카 하야토와 요프렉 디아스를 지배하로 전환하면서까지 불펜을 운용했다.

하지만 이것도 기용 초반에나 어느 정도 먹혔을 뿐 점차 등판 횟수가 늘어나기 시작하자 이들의 피칭에서도 한계가 드러나 공략 당하기 시작하면서 패배하는 날이 늘어나게 되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거기다 토쿠야마와 나카가와는 결국 수술대에 오르며 시즌을 마감했다.

다만 아주 부정적인 결과만 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오프 시즌에 영입한 모리 유이토는 선발, 불펜 가릴 것 없이 실망스러운 투구만을 남겼지만 나카가와 하야테는 그나마 롱 릴리프로 나름 결과를 남겼다. 현역 드래프트로 데려온 사사키 치하야는 영입 당시엔 기대치가 낮았지만 막상 시즌이 시작되고 나니 추격조로는 준수한 투구를 보였고 나중에는 필승조 역할도 상황에 따라 수행할 만큼 지위가 올라오기도 했다. 시즌 초 부진한 투구를 선보이던 로완 윅도 후반기 들어선 어쩌다 터지는 제구 난조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잘 막아주면서 후반기의 실질적인 불펜 에이스로 활약했다. 종합적으로 올 시즌 요코하마 불펜은 가용할 수 있는 사실상의 모든 자원들을 끌어다 써서 버텨야 했을 만큼 불펜이 안정되지 못했던 탓에 불펜 ERA도 세리그 5위에 그치는 등(2.82)[29] 아쉬움이 더 컸던 시즌이다.

수비력은 여전히 좋지 못해서 중요한 상황마다 터진 정품 bays★ball로 인해 팬들의 혈압은 올해도 치솟았다. 지난해까지는 UZR 지표만 나빴지만 올해 들어서는 기록된 실책도 부쩍 늘어서 한신을 제치고 리그 최다 실책 1위(96개)로 올라섰다.[30] 이렇게 수비력이 불안하다 보니 이기고 있는 경기도 실책에서부터 시작된 스노우볼이 굴러 다 이긴 경기를 자꾸만 내 주게 되고 그것이 쌓이고 쌓여 순위 경쟁에 적잖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

타선은 세리그에서 가장 좋았다. 팀 타율 1위(.256), 팀 홈런 2위(101개), 팀 득점 1위(522), 팀 wRC+ 1위(108)[31]을 기록했다. 타일러 오스틴은 2년간 부상으로 사실상의 개점 휴업이었지만 2년간 제대로 뛰지 못했던 선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훌륭한 타격을 선보이며 팀 타선을 이끌었고 마키 슈고미야자키 토시로도 심화된 투고타저의 영향 탓에 클래식 스탯에서 손해를 보긴 했지만 세부스탯 상으로는 여전히 건재했다. 거기다 타격에서 더 발전한 야마모토 유다이와 24시즌 최고의 히트 상품이라 할 수 있는 카지와라 코키의 활약까지 더해 세리그 최고의 타선을 구축 할 수 있었다.

이번 시즌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는 바로 도루 갯수인데 근 몇 년 동안 해결하지 못한 주루 개혁에서 드디어 빛을 보게 되었다. 팀 도루 수는 총 69개로 세리그 1위에 올랐으며 성공률 또한 71.8%(69성공 27실패)로 손익 분기점 커트라인에 안착하여 지난해의 55.9%(33성공 26실패)를 아득히 상회하는 큰 성과를 냈다. 다만 어느 정도 성과를 남긴 도루에 비해 주루관련 지표는 상당히 좋지 못했고[32] 늘어난 도루에 대한 부작용으로 주루사 및 견제사도 늘어났기에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미우라 다이스케 감독 체제에서의 경기 운영을 짚어보자면 냉정히 말해 1군 감독 4년차에도 큰 발전이 없었다. 그나마 세이버메트릭스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 활용에 능통한 애널리스트들을 옆에다 붙여줘서 강한 2번타자를 활용하는 등 소기의 성과도 있었지만 큰 틀에서 변화한 점은 도드라지지 않았다.

가히 히로시마의 감독인 아라이 타카히로에 버금가는, 아니 그 이상일 정도로 경기 운영에 관해선 역귀가 들린 수준인데 선수를 믿고 가기로 해도 경기가 터지고 위기를 느끼고 선수 교체를 해도 경기가 터지고 작전을 걸어도 성공보다 실패가 많을 정도니 그야말로 뭘 해도 답이 없는 수준이다. 이렇게 경기 흐름을 잘 읽지 못하는 것도 모자라 선수 기용에 관한 용병술도 좋지 못하니[33] 팬들 속만 타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미우라 감독의 무능한 경기 운영을 난바 토모코 오너도 체감했는지 순위 경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오너 회의에서 미우라 감독에 관해 어떠한 코멘트도 하지 않고 심사숙고하는 스탠스를 취했다.

요약하자면 올 시즌 요코하마는 전력 누수도 있었고 부문별로 균형이 잡히지 않은 전력으로 혼전 양상의 세리그에서 시즌 중반까지 리그 우승 가시권에 있을 만큼 개막 이전의 박했던 평가와는 달리 대권 도전이 충분히 가능했었던 시즌이었다. 이런 찬스를 1차례의 장기 연패와 핵심 선수들의 부상, 이해가 되지 않는 용병술 및 경기 운영 미스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으로 날려버렸으니 대단히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는 시즌이라 할 수 있다. 미우라 감독은 3년 연속 A클래스라는, 구단 역사에서 벳토 카오루, 곤도 히로시 이외엔 달성하지 못했던 업적을 이뤄냈긴 했지만 시즌 중반 혼전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고 우승 경쟁에서 밀려난 책임을 통감하고 홈 최종전이 끝난 뒤 3위에 그쳤다는 이유로 팬들에게 사죄를 했다.

비록 팀이 각성하고 감독 또한 선수 운용 면에서 한결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며 3위로 일본시리즈를 우승하는 이변을 일으켰지만, 난바 오너가 다음 목표는 아직 달성하지 못한 리그 우승이라 밝힌 만큼, 우승하기 위해선 미우라 감독이 시즌 중에 보여준 답답한 운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7.2. 포스트시즌 총평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퍼스트스테이지의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문서
3.5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퍼스트스테이지의 총평:
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문서의 3.5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파이널스테이지의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문서
4.5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파이널스테이지의 총평:
202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문서의 4.5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일본시리즈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4년 일본시리즈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일본시리즈 총평:
2024년 일본시리즈
문서의 4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지난 2년간 미우라 감독이 보여준 엉성한 단기전 운영 탓에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이 크진 않았지만 한신과의 퍼스트 스테이지 맞대결에서 무난한 운영을 펼치며 2연승에 성공해 7년만에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을 결정지었다.

파이널 진출 후에도 내리 3연승을 거두며 일본시리즈 진출을 눈 앞에 뒀지만 4차전을 패배했고 5차전에선 미우라 체제에서 지적받던 형편없는 경기 운영의 종합선물세트가 나와버리며 요미우리에 시리즈 동률을 허용한 채 6차전까지 오고 말았다. 1차전과 마찬가지로 토고와 케이의 리매치로 펼쳐지지만 여전히 타선이 헤매고 있고 케이의 투구 내용은 널뛰기가 심한데다 좋지 않은 전개로 3연승 이후 2경기를 내리 패배했기에 팀 분위기도 최악. 때문에 무기력하게 6차전을 내 주고 시즌을 마감하지 않을 지 많은 팬들이 걱정했다. 하지만, 선수들은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9회 초 역전승이라는 짜릿한 결과로 7년 만의 일본시리즈 진출을 확정 지었다.

압도적인 전력차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던 일본시리즈마저도 1~2차전 홈에서 2연패하며 세간의 예상대로 우승은 고사하고 1승조차도 어려워보였지만 이후 원정 3연전과 홈에서의 6차전에서 되려 상대를 압도하고 4연승을 거두며 소프트뱅크를 꺾고 3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일본야구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하극상을 완성했다. 장장 26년간의 기나긴 한을 풀게 되었고, 역대 최저 승률(.507) 우승도 달성했다. 미우라 감독은 베이스타즈에서 1998년 일본시리즈는 선수로, 2024년 일본시리즈는 감독으로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2024년은 요코하마의 21세기 역대 최고의 시즌이 되었고, 정규시즌 성적에 대한 공개사과가 전화위복이 된 듯 포스트시즌에서는 팬들 앞에서 감사 인사를 올릴 수 있게 되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구단별 2024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Central League)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Pacific League)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오릭스 버팔로즈 치바 롯데 마린즈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주년 기념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주니치 드래곤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1] 은퇴 후 2군 육성 야수 코치 취임.[2] 외야 수비/주루 코치 겸임.[3] 이 홈런은 2024년 NPB 1호 홈런이다.[4] 공식적인 실책은 1회말 병살성 타구를 잡지 못한 것만 실책으로 기록되었다. 허나 이후에 나온 송구 포구 실패와 플라이볼 처리 실패도 기록원의 재량에 따라 충분히 실책을 줘도 될 법한 플레이들이었다.[5] 정확히는 쿠사야큐(草野球), 직역하면 풀뿌리야구라는 얘기를 한 것인데, 일본의 사회인야구 문서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한국에서 말하는 사회인야구와 비슷한 개념이다. 쿠사야큐에 빗대어서 프로 수준이 아니라는 말을 돌려서 한 것.[6] 이날 이전까지 와쿠이는 프로 20년 간 1회 도중 강판이 아예 없었다.[7] 원심은 홈런이었지만 리퀘스트 결과 인정 2루타로 정정되었다.[8] 모리시타는 팀이 득점을 올리지 못하는 와중에도 홀로 3안타를 몰아치며 카프 타선을 일깨우고자 분전했고 마운드에서도 실책으로 준 1점을 제외하면 뛰어난 피칭을 선보였다. 그 결과 카프 타선이 4점을 안겨주었고 끝끝내 승리투수가 되며 마지막에 웃을 수 있게 되었다.[9]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노우에의 강한 타구가 3루수 미야자키 토시로의 머리를 맞고 튕겨져 나가는 아찔한 상황이 나왔다. 장막을 친 채 들것에 실려나가 출혈이 의심되는 등 상태가 꽤 심각한 것으로 보여졌지만 다행히 타박상으로 판명이 났다.[10] 이 홈런은 치카모토가 프로 입단 이후 때린 첫번째 만루홈런이었다.[11] 미야자키가 애매한 땅볼을 잡고 송구까지 이어가지 못했고 호소카와의 타구는 아웃 처리가 될 수 있었지만 수비가 좋지 못한 츠츠고의 좁은 수비 범위로 인해 안타가 되었다.[12] 전진 수비도 아니었을 뿐더러 오스틴이 타구를 잡았을 때 1루 주자는 2루까지 반도 못 간 상태였다. 1점을 주더라도 아웃 2개를 벌 수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점수는 점수대로 잃고 주자만 더 쌓아주는 최악의 판단을 저지른 것.[13] 카프가 먼저 번트 실패를 했다고 따라서 번트를 실패하는가 하면 3루에 발이 빠른 주자가 있음에도 1루 주자만 의식한 나머지 냅다 2루에 공을 던져 3루 주자에게 홈을 허용해 허무하게 실점을 하기도 했다. 거기다 3차전에서는 무려 8번의 득점권 기회에서 적시타를 1개만 때리는 졸공을 펼치다 패배를 당했다.[14] 결국 타나카 세이기는 이날 경기 후 중간계투로 보직이 전환되었다.[15] 이때 3루 주자였던 카미자토는 무작정 홈으로 뛰었었는데 이는 요코하마 벤치의 지시였다. 1점차로 지고 있는 상황에다 동점 가능성이 충준했던 1사 3루에서 주자를 함부로 움직였던 것. 경기 후 미우라 감독은 도박성 지시였음을 시인하면서 자신이 왜 무능함의 극치인 졸장인지 스스로 입증해버렸다.[16] 이 더블 아웃은 운이 없다고 보는게 맞지만 하필이면 실책으로 동점의 빌미를 제공했고 경기 초중반 추가 득점 기회에서 이미 병살타를 한번 기록했던 마키였던지라 오히려 마키가 욕을 더 먹는 상황이 벌어졌다.[17] 이 홈런은 츠츠고가 ZOZO 마린 스타디움에서 때린 첫 번째 홈런이다.[18] 이때 오바타의 안타 타구가 빨랐고 대주자로 투입된 우에다 카이가 잠시 주춤댄데다 와타라이의 홈 송구도 정확했기에 2루 주자가 홈에서 잡혀 연장으로 가는게 아닐까 싶었으나 야마모토 유다이가 홈 송구를 흘려버리는 뼈아픈 실책을 저질렀다.[19] 타이라는 프로 11년차에 개인 첫 완봉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지난 이틀 간 선발들이 이닝을 길게 소화하지 못해 불펜에 부하가 걸린 상태였으나 타이라의 완봉 역투 덕에 불펜진은 귀중한 휴식일을 얻게 되었다.[20] 이날 모리는 2회초 1사 만루에서 삼구삼진, 전술한 악송구와 더불어 9회초에는 보내기 번트를 실패하면서 다른 의미로 경기를 지배했다. 연장전 끝에 겨우 승리했기에 망정이지 경기를 졌다면 적잖은 비난을 받았을 것이다.[21] 노구치의 프로 첫 안타.[22] 0.2이닝 2실점 1자책.[23] 처음엔 세이프 판정을 받았으나 이후 리퀘스트를 통해 번복되었다.[24] 지배하 등록 후 가진 데뷔 첫 선발 등판이다.[25] 이 안타로 와카바야시는 역대 최초로 단일 시즌 양대리그 끝내기 안타를 기록판 타자가 되었다.[26] 일본의 경우 태풍으로 인해 이동에 차질이 생기면 이런 식으로 돔경기장이라도 경기를 취소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2018년에도 태풍 영향으로 야쿠르트-주니치 반테린돔 시합이 중지된 전례가 있었다.[27] 투수인 후쿠타니 코지에게 결승 2루타를 얻어맞는 한심한 투구를 보였다.[28] 야쿠르트의 도밍고 산타나가 최종전을 앞두고 귀국하면서 .315인 상태로 시즌을 마감했고 오스틴이 이 안타로 타율을 .316으로 끌어 올려 타율 순위 역전에 성공했다.[29] 이것도 9월 막판에 분전해서 겨우 끌어내린 덕에 5위인 것이지 8월만 하더라도 세리그 유일의 3점대 불펜 ERA로 세리그 꼴찌를 기록하고 있었다.[30] 그나마 한신은 홈구장인 한신 고시엔 구장의 내야가 흙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이질적인 땅볼 타구가 필연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기에 실책 갯수에서 손해를 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31] 세리그 유일의 팀 wRC+ 100 이상[32] 델타 기준 UBR이 -6.8로 세리그 5위에 그쳤다.[33] 공수 양면에서 1군 기량이라 보기 힘든 하야시 타쿠마를 여전히 편애한다거나 퇴물이 다 된 카미자토 카즈키를 단지 과거의 상대전적이 좋다는 이유로 아오야기 코요의 등판일에 내보냈다가 실패하는 모습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