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32:32

우치하 사스케/사용 술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우치하 사스케|우치하 사스케]]

파일:2부 최종결전 사스케.png
우치하 사스케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colcolor=#FFFFFF> 행적 <colbgcolor=#fff,#1f2023>작중 행적
성격 인간관계 · 평가
능력 사용 술법 · 전투력
게임판 나루티밋 스톰 · 시노비 스트라이커 · Fate Battle Tendency
기타 미안하다 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끌었다 · 차크라 공중회전 ·ブラッドサーキュレーター }}}}}}}}}


1. 개요

보유 차크라 성질
음둔
陽遁
화둔
火遁
수둔
水遁
뇌둔
雷遁
풍둔
風遁
토둔
土遁

나루토가 특유의 차크라량으로 나선환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여러 바리에이션 술법에 의한 초화력 타입이라면, 사스케는 주로 원래 술법에서 형태변화를 습득하여 다양한 전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테크닉 타입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주력기가 치도리 및 카구츠치, 이 두 기술을 형태변화 시킨 바리에이션이다.

1부에서는 화둔을 주력 술법으로, 치도리를 필살기로 사용했으나, 2부 들어서는 치도리의 응용기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그러다가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하자 만화경 사륜안 관련 술법들의 비중이 늘더니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얻어 리스크가 사라지자 아마테라스와 응용형인 염둔 카구츠치와 스사노오를 주력기로 사용하게 된다.

윤회안을 개안해 아메노테지카라를 얻은 이후에는 특유의 검술과 아메노테지카라를 조합한 공격을 주로 사용하며, 스사노오는 강적과의 결전용 기술로서 사용하는 편이다. 그러나 모모시키에 의해 윤회안을 잃은 이후에는 기존에 썼던 주요 동력들이 봉인 당해 전투력이 대폭 하향되었다.

차크라 성질은 본래 음둔과 화둔, 뇌둔 3종으로 그 중에서 가장 친화력이 높은 성질은 뇌둔이다. 이후 윤회안의 개안을 통해 5대 성질을 모두 습득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했듯 윤회안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현재 해당 속성들이 남아있을지는 미지수다.

참고로 의외로 사스케는 타인으로부터 들은 이야기, 한 번 보고 들은 것만으로 술법을 재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자연탄'과 '나뭇잎 무엽'은 록 리, '해사법인'은 카카시, '냉각의 술'가칭은 하쿠의 것을 보고 재현했으며, 위장 스사노오는 하시라마, 인드라의 화살은 하고로모의 옛 이야기를 듣고 재현해냈다.[1] '인드라 스사노오' 자체도 외도마상의 메커니즘을 스사노오로 재현한 술법에 가깝다.

2. 목록

※ 기술의 출처에 따라 이름 옆에 아이콘으로 분류.
범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2]
게임 오리지널[3]
소설 오리지널
스핀오프 오리지널

3. 닌자도구

4. 인술(忍術)

4.1. 변신계(変身系)

4.2. 분신계(分身系)

4.3. 성질변화(性質變化)

4.3.1. 화둔(火遁)

4.3.2. 뇌둔(雷遁)

4.3.3. 토둔(土遁)

4.3.4. 수둔(水遁)

4.4. 혈계한계(血継限界)

4.4.1. 작둔(灼遁)

4.5. 시공간인술(時空間忍術)

4.5.1. 소환술(口寄せの術)

파일:사스케 소환술.png
소환술
口寄せの術
'시공간인술' 계통의 술법. 랭크는 C. 피로 계약을 맺은 생물을 필요할 때 불러내는 술법이다. 만일 소환수와 계약을 맺지 않고 사용할 경우,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다.[27] 사용시 술자는 계약한 쪽의 손에 자신의 피를 발라, 차크라를 짜낸 다음 인을 맺는다. 그 후, 소환하고 싶은 곳에 손바닥을 향하면 계약한 생물을 불러낼 수 있는 것이다.

사스케는 스승인 오로치마루와 마찬가지로 용지둥의 뱀들과 계약을 맺었으며, 재빠른 스피드를 가진 '아오다'나 강력한 힘을 가진 폭군 '만다'를 소환할 수 있다. 소대명을 '매'을 바꾼 후에는 새로운 소환수 '가루다'와도 계약을 맺었다.

===# 의료인술(医療忍術) #===

5. 봉인술(封印術)

==# 체술(體術) #==
애니에선 짤렸지만, 원작 1부에서 나루토에게 사용한 체술을 모티브로 한듯 하다. #
염상우 와는 비슷하지만 몸을 돌리는 각도가 다르다. 마찬가지로 애니에선 짤리고, 원작 1부에서 나루토와의 결전에서 사용.#
===# 검술(劍術) #=====# 수리검술(手裏劍術) #==

6. 선술(仙法)

7. 동술(瞳術)

7.1. 사륜안(写輪眼)

파일:Sharingan.png
사륜안
写輪眼
'동술' 계통의 인술. 우치하 일족 고유의 혈계한계로, 3대 동술 중 하나이다. 우치하의 혈통을 가진 자가 사랑하는 이를 잃거나 그에 준하는 상실감을 느낀 순간, 좌절과 증오가 뇌에서 특수한 차크라를 분비시키고 이것이 시신경을 통해 홍채에 변화를 줌으로써 개안된다. 다만 슬픔을 느낀다고 해서 누구나 다 개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족 내에서도 특이 체질을 지녀야만 본 동술을 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일족 전체에서 '사륜안'에 눈을 뜬 건 소수에 불과하다. 발동시에는 홍채가 붉어지고, 동공 주변에 곡옥과 같은 형태를 가진 반점이 생긴다. 이 곡옥 반점은 통상적으로 첫 개안시 1개로 시작하여 술자의 성장에 따라 동력이 향상되면 최대 3개까지 늘어난다.

'사륜안'의 특징적인 능력으로는 차크라의 시각화와 동체 시력 및 통찰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통찰안', 상대의 환술을 꿰뚫어볼 수 있고 강력한 환술을 걸 수 있는 '최면안'이 있다. '통찰안'의 경우, 상대가 술법을 사용할 때 어떤 인을 맺었는지, 또 술법을 사용하면서 차크라의 완급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보고 해당 술법의 속성 및 원리를 파악하여 카피할 수 있다. 다만 '사륜안'의 능력은 상대의 술법을 보고 즉시 습득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통찰력과 인술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함께 필요하다. 때문에 기밀로 내려오는 비전 인술은 카피하지 못하며, 특수한 피가 필요한 혈계한계 역시 카피할 수 없다. 그 밖에도 상대방의 모습을 카피해 힘의 완급까지 완전히 따라할 수 있으며, 마음을 카피해 상대방의 다음수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45]

두번째 특징인 '최면안'은 개인의 기량에 따라 위력이 천차만별로 갈리며, 상대가 가벼운 환각 및 착각을 보도록 하는 정도에서 정신을 아예 붕괴시켜 쓰러트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반대로 상대의 환술을 깨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사스케는 어린 시절 벌어진 우치하 사변 당시, 같은 일족의 주민들과 부모의 죽음을 목격하여 느낀 슬픔과 형에 대한 증오가 트리거가 되어 '사륜안'을 개안하였으며, 파도의 나라에서 하쿠와의 싸움 이후로 '사륜안'을 자의적으로 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종말의 계곡 나루토와의 싸움에서 '주인'에 적응한 결과, 삼구옥을 개안했다.

7.1.1. 만화경 사륜안(万華鏡写輪眼)

파일:Mangekyo_de_Sasuke.webp
만화경 사륜안
万華鏡写輪眼
'사륜안'의 상위 인술. '사륜안'을 개안한 자가 소중한 이의 죽음과 같은 커다란 슬픔에 직면했을 때 개안하는 특수한 동술이다. 통상의 '사륜안'과 마찬가지로 누구나 다 개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사륜안'의 개안자 중에서도 극소수만이 개안할 수 있다. 개안자 모두 공통된 형태를 띄고 있던 '사륜안'과 달리 '만화경 사륜안'은 적안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개안자 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능력면에서는 '사륜안'의 상위 인술인 만큼 통상의 '사륜안'보다도 강한 동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륜안'의 고유 능력이었던 '통찰안'이나 '최면안' 등의 능력 모두 향상되었다. 특히 두 눈에 부여되는 고유 동술이야멀로 '만화경 사륜안'의 본령으로, 눈의 패턴과 같이 개안자마다 각기 다른 술법을 지니고 있으며, 오른쪽과 왼쪽 눈에 각각 하나씩 부여된다. 다만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했다고 해서 눈에 잠재되어 있던 고유 동술 역시 곧바로 개안되는 것은 아니며[49], 극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나 수련 등을 통해 개안할 수 있다.[50] 만일, 두 눈의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력을 모두 개안했을 경우에는 제3의 힘인 '스사노오'의 현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강력한 능력을 겸비하고 있지만, 차크라의 소모가 심한 데다 쓰면 쓸수록 시력이 크게 저하되어 끝내는 시력과 동력 모두 완전히 잃게 된다.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소할 방법은 오로지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타인의 눈을 이식하여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하는 방법 밖에 없다.

사스케는 이타치와의 전투 이후, 나뭇잎과 자신을 위해 일족을 희생시키고 죄인의 업을 짊어진 이타치의 진실을 토비로부터 듣게 되고 커다란 슬픔에 빠져 이 눈을 개안했다. 부여된 동술은 왼쪽 눈에 '아마테라스' 오른쪽 눈에 '염둔・카구츠치'.

* 환술・만화경 사륜안(幻術・万華鏡写輪眼)
파일:환술만화경.gif
환술・만화경 사륜안
幻術・万華鏡写輪眼
'만화경 사륜안'의 응용 환술. 눈을 마주친 자에게 '만화경 사륜안'에 의한 강력한 환술을 거는 술법이다. 통상의 '사륜안'보다도 강력한 환술을 상대에게 걸 수 있으며, 상대에게서 정보를 빼내는 것부터 구속, 나아가 정신을 붕괴시키는 환영을 보여줄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환술의 구속력은 미수조차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이다.[51]

사스케가 아카츠키에서 첫 임무에 나섰을 때, 마을의 경비를 서고 있던 구름 마을의 닌자에게 이 술법을 걸어 8미의 '인주력'인 킬러비의 위치를 물었다.
*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永遠の万華鏡写輪眼)
파일:사스케영원만화경사륜안.jpg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
永遠の万華鏡写輪眼
'만화경 사륜안'의 강화 인술. 우치하 일족에서 전해지는 동술 중 최상위 동술에 해당한다. 개안은 '사륜안'이나 '만화경 사륜안'과 달리 슬픔과 같은 감정의 힘으로 개안하는 것이 아니며, '만화경 사륜안'의 개안자가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또 다른 자의 눈을 이식했을 경우에 개안할 수 있다. 문양은 이전의 '만화경 사륜안'의 문양에서 이식자의 '만화경 사륜안' 문양이 겹쳐진 것 같은 문양으로 변화한다. 다만 이식한 눈이 본래 지니고 있던 고유 동력까지는 계승되지 않는다.

'만화경 사륜안'은 강력한 동력을 대가로 쓰면 쓸수록 시력이 저하되고 궁극적으로는 실명하게 된다는 큰 리스크를 갖고 있지만, 이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은 그 대가를 완전히 극복하고 더욱 강력한 동력을 발휘한다. 덕분에 '스사노오'를 비롯한 '만화경 사륜안'의 동력을 시력 저하의 대가 없이 발동할 수 있으며, 고유 동력 발동시의 통증 문제도 해소되었다. 특히나 가장 큰 주목점은 '스사노오'의 도달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완성체 스사노오'를 발동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있다.[52]

사스케는 본래 이타치의 눈을 이식할 생각이 없었지만, 나루토와의 싸움에서 나뭇잎에 복수하고 나루토를 부정하고자 이식을 결심하여 수술을 받게 되었다. 한편 마다라는 사스케의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자신과 같은 '직파(直巴)의 사륜안'이라고 언급했다. '직파의 사륜안'이라는 게 무엇인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동력이 더 강하고 '윤회안' 개안의 가능성이 있는 '사륜안'을 의미한다고 한다.
7.1.1.1. 아마테라스(天照)
파일:아마테라스만화경/윤회안.gif
아마테라스
天照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술. 왼쪽 눈에 깃들어 있는 사스케의 고유 동력이다. 사스케가 왼쪽 눈에 '윤회안'을 개안한 이후에는 '윤회안'에 '아마테라스'의 능력이 깃들게 되어, '윤회안'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53]

술자가 바라본 시점과 초점이 맞는 곳에 태양과 같은 온도의 흑염을 발생시키는 술법이다. 타오르는 불길은 술자의 시선을 따라 움직이며, 한 번 타오른 곳은 계속해서 불길이 번져나가, 같은 불조차 태우고 대상이 소멸할 때까지 꺼지지 않는다. 다만 술자의 눈에 부담을 동반하는 술법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한 술자의 눈에서는 피 눈물이 흘러나오며 통증을 동반한다. 이러한 리스크는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통증은 사라져 술자가 괴로워하는 일은 없어졌다. 또한 피 눈물이 흘러나오는 리스크 또한 성인이 된 이후에는 동력이 부족한 상태가 아닌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원래는 왼쪽 눈의 동력이지만, 애니메이션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에서는 항상 오른쪽 눈으로 사용한다. 원작자인 키시모토 마사시의 경우, 외전인 <나루토 외전 ~7대 호카게와 주홍빛 3월~>에서도 항상 '아마테라스'는 왼쪽 눈에서 발동하는 것으로 그렸기 때문에[54], 이는 명백한 설정 오류다.
7.1.1.2. 염둔・카구츠치(炎遁・加具土命)
파일:염둔카구츠치.gif
염둔・카구츠치
炎遁・加具土命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술. 오른쪽 눈에 깃들어 있는 사스케의 고유 동력이다.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직후, 곧바로 사용할 수 있었던 '아마테라스'와 달리 처음에는 오른쪽의 고유 동력을 완전히 개안하지 못해 사용할 수 없었지만, 킬러 비와의 싸움에서 동료인 카린에게 옮겨 붙은 흑염을 소멸시키기 위해 우발적으로 사용하여 그 편린을 일깨웠고[56], 오카게 회담장에서 조우한 에이와의 싸움에서 완전히 개화하게 되었다.[57]

'아마테라스'에 형태변화를 가하는 술법으로, '아마테라스'를 검이나 방패, 스파이크 등의 무기로 만들거나 다른 인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절대로 꺼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 '아마테라스'를 소멸시킬 수도 있다.[58] 이 술법으로 만든 흑염의 장비는 실제 무장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흑염을 옮겨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적에게 순식간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이미 발동시킨 '아마테라스'에 형태변화를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력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차크라의 소비량이 적다. 다만 꼭 '아마테라스'가 있어야만 발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염둔・카구츠치'로 직접 형태변화 된 흑염을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7.1.1.3. 스사노오(須佐能乎)
파일:sasuke-invasao-5-kage.jpg
스사노오
須佐能乎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술. 차크라로 구성된 거인의 아바타를 현현하는 인술로, 양쪽 눈에 하나씩 깃든 '만화경 사륜안'의 고유 동술을 모두 개안한 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최강의 고유 동력이다. '만화경 사륜안'은 술자마다 각기 다른 고유 동력이 각각의 눈에 깃들게 되지만, '스사노오'는 2가지의 고유 동술을 모두 개안했을 때, 공통적으로 얻게 되는 술법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스사노오・제1형태(須佐能乎・第1形態)
파일:사스케스사노오.webp
스사노오・제1형태
須佐能乎・第1形態
'스사노오' 발동 상태. 총 3단계로 구성되는 '스사노오'의 '제1형태'이다. 발동시 차크라가 골격을 만들어 해골 거인의 형상을 현현한다. 비록 '제1형태'지만 이 자체로도 상당한 공격력을 가지며, 특히 방어력은 라이카게인 에이의 공격에도 견디고 가아라의 절대 방어조차 상회할 정도로 강력하다.

위와 같은 특징 외 '스사노오'는 술자마다 각기 다른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사스케의 '스사노오・제1형태'는 머리 양쪽에 뿔이 돋아나 마치 악마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무장으로는 손에 생성한 차크라 덩어리로부터 날을 생성하여 만든 태도나 '염둔・스사노오 카구츠치'로 생성한 '카구츠치의 검'을 다룰 수 있다.

* 스사노오・제2형태(須佐能乎・第2形態)
파일:스사노오제2형태.png파일:스사2전신.png
상반신 - 현현체(顕現體) 전신 - 현현체(顕現體)
스사노오・제2형태
須佐能乎・第2形態
'스사노오・제1형태'의 강화 인술. 총 3단계로 구성되는 '스사노오'의 '제2형태'이다. 골격이 노출된 '제1형태'에서 근육과 피부가 형성되어 오니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모한다. 양팔의 팔꿈치에는 각각 보조용의 팔이 하나씩 더 생성되어 총 4개의 팔을 겸비하게 된다. 또한 본래 '스사노오'는 현현시 거인의 상반신만을 현현할 수 있지만, 술자가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상태에서는 더 강력한 동력을 통해 '완성체 스사노오'와 마찬가지로 전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1~3형태 중 '제2형태'만이 가능한 고유의 특징이다.

능력적으로는 '제1형태'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이 높고, '제3형태'에 비해 민첩성과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제2형태'부터는 '스사노오'의 고유 인술인 '야사카의 곡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원거리에서 뛰어난 위력을 발휘한다. 가히 '스사노오'의 스텐다드 타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스사노오'의 술자들은 '완성체 스사노오'를 제외하면 대게 '제2형태'를 주로 사용한다.

위와 같은 특징 외 '스사노오'는 술자마다 각기 다른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사스케의 '스사노오・제2형태'는 '제1형태'에서 근육과 피부가 형성되어 머리에 돋아난 2개의 뿔을 계승하고 있다. 다만 뿔의 형태는 악마와 같은 형태의 뿔을 가졌던 '제1형태'와 달리 거대한 날개 같은 형태의 유선형 뿔을 가진다.
무장으로는 차크라의 태도 외에 고유 무장인 차크라의 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스케의 '스사노오'만이 갖는 고유의 장비로, 다른 술자의 '스사노오・제2형태'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차크라의 활은 방패와 일체화되어 왼팔에 장착되어 있고, 화살은 태도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보조 팔의 손바닥 위에 생성되어 있는 차크라 덩어리로부터 생성된다. 화살을 사용할 때에는 왼팔의 활과 연계하여 사용하고, 태도를 사용할 때에는 오른쪽 보조 팔에서 생성한 태도를 그대로 오른 손이 잡아 휘두른다.

* 스사노오・제3형태(須佐能乎・第3形態)
파일:만화경스사노오쓰리.png파일:영만경 스사노오3.png
만화경 사륜안 Ver.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 Ver.
스사노오・제3형태
須佐能乎・第3形態
'스사노오・제2형태'의 강화 인술. 총 3단계로 구성되는 '스사노오'의 '제3형태'이다. '제2형태'의 몸을 텐구 형태의 갑옷이 감싸 착용함으로써 '제3형태'로 전환한다. 절대 방어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한 방어력을 갖춘 '스사노오'에 또 하나의 갑옷이 장착되어 그 방어력은 대폭 향상되었다.

위와 같은 특징 외 '스사노오'는 술자마다 각기 다른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사스케의 '스사노오・제3형태'는 텐구의 입에 날카로운 이빨 등으로 하여금 거친 인상을 주며, 이러한 특징을 포함해 외형은 이타치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이후 사스케가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이후에는 '제3형태'에서 텐구의 이빨은 사라지고 새와 같은 부리의 형태가 되었다.
* 스사노오・어(須佐能乎・御) / 스사노오의 갑옷(須佐能乎の鎧)
파일:제목 없음4656.png
스사노오・어 / 스사노오의 갑옷
須佐能乎・御 / 須佐能乎の鎧
'스사노오'의 응용 인술. '스사노오・제1형태'의 갈비뼈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술자의 몸 주변에 형성하는 술법이다. 일부만을 현현함으로써 막대한 동력을 소모하는 '스사노오'가 가진 힘의 일부를 사용하면서도 동력의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현현한 갈비뼈는 '스사노오・제1형태'의 일부이기 때문에 방어력은 '제1형태'에 필적하며, 막강한 파워나 스피드를 가진 카게 급의 닌자들이 아니라면 이 방어를 깨부수기란 어렵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스사노오'의 골격으로 구성된 팔을 현현시켜 근접 전투에도 대응할 수 있다.

사스케는 '만화경 사륜안'으로 '스사노오'를 사용할 당시에는 이 술법을 주로 사용해 동력의 소모를 최대한 억제하였다. 특히 '염둔・스사노오 카구츠치'에 의해 만든 흑염의 장비는 이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비록 간이형이지만 일정한 공격력을 갖는다. 한편 모모시키와의 싸움 중에는 보루토를 손 위에 태우고 부유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는 '스사노오'의 능력이라기보단 '천도'의 능력을 가능성이 높다.

7.1.1.3.1. 위장・스사노오(威装・須佐能乎)
파일:Susanoo_K11.webp파일:위장스사노오_인드라.png
완성체 스사노오 - 장갑 인드라 스사노오 - 장갑
위장・스사노오
威装・須佐能乎
'완성체 스사노오'의 응용 인술. '완성체 스사노오'의 거대한 차크라를 장갑화하여 미수에게 착용시키는 술법으로, 이를 착용한 쿠라마는 '쿠라마 스사노오(九喇嘛須佐能乎)'라고 지칭한다.[64] 술법의 개발자는 우치하 마다라로, 일찍이 벌어졌던 나뭇잎 마을 습격 당시 하시라마와의 싸움을 상정하여 미수를 잠재우는 그의 '목둔'을 무력화할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스사노오'를 장갑화함으로써 천재지변이라고 알려진 미수의 공격력과 절대 방어라고 일컬어지는 '스사노오'의 방어력이 시너지를 이뤄 그야말로 무적에 가까운 힘을 발휘한다. 또한 '스사노오'의 태도나 팔과 같은 무장이나 부위를 미수가 직접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고, '목둔'과 같은 미수의 힘을 저해시키는 일부 인술을 차단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미수는 인간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이 술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수를 동력으로 강제로 복종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미수를 동력으로 컨트롤하는 것만 해도 상당한 동력이 필요하며, 거기에 '완성체 스사노오'까지 현현하여 장갑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아무리 뛰어난 닌자라도 차크라량이 받쳐줄 리는 만무하다. 때문에 이 술법의 술자는 매우 한정적이다.

사스케는 미수의 협력을 얻어낸 나루토와 공투함으로써 이 술법을 사용했다. 사스케가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전쟁 참전에 앞서 하시라마로부터 마다라와의 싸움의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으로, 이야기를 들은 것만으로 마다라의 술법을 능숙하게 재현해낸 것이다. 그러부터 15년의 시간이 흘러 지구를 침공한 모모시키와의 싸움에서는 9마리 차크라와 링크되어 있는 쿠라마의 차크라체 안에서 '위장・스사노오'를 발동시켜, 갑옷이 '인드라 스사노오'의 형태로 발현되었다.
7.1.1.3.2. 완성체 스사노오(完成体 須佐能乎)
7.1.1.3.3. 인드라 스사노오(インドラ須佐能乎)
파일:인드라 스사노오 와꾸.png파일:인드라스사노오몸.png
인드라 스사노오
インドラ須佐能乎
'완성체 스사노오'의 강화 인술. '외도마상'을 대신할 그릇으로서 '지폭천성'에 봉인한 9마리 미수 차크라를 '완성체 스사노오'에 흡수하여 발현된 규격 외 궁극의 형태이다. 발현을 위해서는 우선 '완성체 스사노오'를 현현한 상태에서 '지폭천성'에 봉인한 9마리 미수로부터 차크라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래 미수 차크라의 추출은 '외도마상'의 소환에 의한 '봉인술・환룡구봉진'을 통해서만 이루어지지만, '외도마상'의 해방 목적이 아닌 술자 자신에게 미수 차크라를 흡수하는 것이라면 '아귀도'로도 가능하다. 본래 '아귀도' 자체는 범위가 크지 않지만, '완성체 스사노오'로 사용하는 인술은 통상의 인술의 위력과 범위를 증가시켜주기 때문에 이러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수 차크라나 자연 에너지는 흡수한다고 해서 바로 다룰 수 있을 만한 것이 아니다. 이를 자신의 것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차크라로서 환원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고난이도의 차크라 컨트롤 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9마리 미수 전체의 각기 다른 차크라 성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은 사실상 '육도선인'이라 불린 오오츠츠키 하고로모 외에는 불가능한 재주였지만, 사스케는 천재적인 센스로 능숙하게 이를 자신의 차크라로 만들었다. 때문에, 이 광경을 지켜본 쿠라마는 '마치 육도 할아범이 하는 걸 보고 있는 것 같다'는 감상을 표했다.

위 과정을 통해 환원된 차크라는 사스케의 차크라의 성질 중 가장 짙게 드러나는 성질인 '뇌둔'의 차크라로 변환되고, 그 방대한 '뇌둔'의 차크라 자체가 빛의 거인의 모습이 되고, '완성체 스사노오'의 갑옷을 착용함으로써 완성에 이른다.

9마리 미수 차크라를 근간으로 하는 만큼 그 힘은 '완성체 스사노오'나 '미수 모드'의 쿠라마를 아득히 뛰어넘으며, 방어력 또한 쿠라마가 혼신을 다한 일격을 직격으로 받아도 개의치 않을 정도로 강력하다. 무장은 기존 '스사노오'의 장비는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그 대신 손에서 '뇌둔' 차크라의 형태변화로 생성한 번개의 창이나 화살을 사용한다. 특히 9마리 미수 차크라를 고밀도의 '뇌둔' 차크라로서 응축해 발사하는 '인드라의 화살'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본 형태의 최대의 강점이다.

본래 '완성체 스사노오'는 미수를 담는 그릇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외도마상'을 대신한 임시방편으로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9마리 미수 차크라를 완전히 흡수하지는 못했다.[70]

7.2. 윤회안(輪廻眼)

파일:제목 없음린네간.png
윤회안
輪廻眼
'동술' 계통의 인술. 3대 동술 중 하나이다. 이 눈을 가진 술자는 육도의 능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5대 성질 변화를 모두 다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만화경 사륜안'과 마찬가지로 '윤회안' 자체의 고유 능력이 하나 더 부여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7.2.1. 축생도(修羅道)

파일:노이미지.gif
축생도
畜生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소환과 관련된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소환술'과 마찬가지로, 전투에서 술자 자신을 서포트할 다양한 동물과 생물들을 소환한다. '소환술'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특정 소환수와 계약을 맺거나 발동시 필요한 소량의 피나 인을 생략하고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술법으로 소환된 동물들은 모두 거대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몸 어딘가에 '검은 수신기'가 박혀있어 술자의 차크라를 수신한다. 또한 '소환・윤회안'이 기본으로 걸려있기 때문에, 소환수의 눈은 모두 '윤회안'이며, 술자와 시야 공유가 이루어진다. 게다가 이 소환수들은 설령 죽어도 같은 개체를 또다시 소환할 수 있는데, 그 원리는 알려져 있지 않다.[81]

사스케는 설정상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한 적은 없다.

7.2.2. 인간도(人間道)

파일:노이미지.gif
인간도
人間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인간의 혼과 정신에 관련된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상대의 머리에 손바닥을 접촉시켜 발동하며, 손이 닿은 상대는 즉시 몸을 움직이기는 커녕 자신의 의지로 말을 내뱉을 수조차 없게 된다. 특히 따로 술법이나 장치의 필요없이 상대의 머릿속에 든 기억이나 정보를 읽어낼 수 있기 때문에 심문이나 표적 수색에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한다.

사스케는 설정상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한 적은 없다. 정보를 끌어내기에 좋은 술법이지만, 사스케의 경우는 눈을 마주치는 것만으로도 '환술・사륜안'이나 '만화경 사륜안'으로 상대에게 걸어 정보를 이끌어낼 수도 있고, 그들의 기억을 직접 엿볼 수도 있으니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다.

7.2.3. 수라도(修羅道)



7.2.4. 지옥도(地獄道)

파일:노이미지.gif
지옥도
人間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술자에게 살아있는 자의 영혼을 흡입하는 명부의 왕(옥염왕/獄閻王)을 불러내 심문과 복원이라는 두 가지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사스케는 설정상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한 적은 없다.

7.2.5. 아귀도(餓鬼道)

파일:흡인하는 사스케.webp
아귀도
餓鬼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술자에게 모든 형태의 차크라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이 술법은 인술에 기반한 술법을 모두 흡수하여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에 특화된 술법이라 할 수 있다.

* 봉술흡인(封術吸印)
파일:사스케 봉술흡인.gif
봉술흡인
封術吸印
'윤회안'의 고유 동력으로, '아귀도' 계통의 인술. 체내의 차크라 회전을 반대로 회전시켜 적의 술법을 빨아들이고, 흡수한 차크라를 체내에서 무산시키는 원리를 통해 계속해서 차크라를 흡수하는 술법이다. 단순히 상대의 차크라를 흡수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에 기반한 인술까지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차크라를 흡수한 후 무산시키지 않음으로써 흡수한 차크라를 자신의 것으로 사용하여 차크라를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선술 차크라나 미수 차크라와 같은 특수한 차크라의 경우, 일반적인 차크라로 환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흡수의 범위는 전방위이며, 사용시에는 술자 주변으로 장벽이 생겨 인술 흡수를 도모한다. 그뿐만 아니라 신체 접촉을 통해 포착한 상대의 차크라를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스케의 '윤회안'은 통상의 윤회안보다 강한 동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봉술흡인'과 달리 접촉하지 않은 상대의 차크라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드라 스사노오'를 발현시킬 때, '지폭천성'에 가둔 9마리 미수 차크라를 '스사노오'로 끌어올 수 있었다. 9마리 미수 차크라의 각기 다른 성질을 사스케 본인의 차크라로 환원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지만,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사스케는 흡수한 차크라들을 모두 자신의 주요 차크라 속성인 '뇌둔'의 차크라로 환원하였다. 이러한 차크라 컨트롤 능력을 본 쿠라마는 마치 육도 할아범을 보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나루토와의 싸움 막바지에서도 '봉술흡인'을 사용해 단순히 나루토의 차크라를 빼앗는 것만이 아닌, 빼앗은 차크라를 자신의 차크라로 만들었다. 이후 '치도리 카구츠치'를 발동해 나루토와 최후의 격돌을 실시하기 전에도 쿠라마가 가장 견제한 술법이 '봉술흡인'이었지만, 이때의 사스케는 '윤회안'을 개안하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술법을 방출하면서 동시에 흡수하는 건 불가능할 것이라 말했고, 실제로 그러했기에 다행히 나루토가 무력화되는 일은 없었다. 성인이 된 시점에서는 '윤회안'의 사용이 능숙해졌기 때문에 방출과 동시에 흡수하는 재주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7.2.6. 천도(天道)

파일:천도비행.png
천도
天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술자에게 인력과 척력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물체와 사람을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늘을 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술법의 시전 규모에 따라 재사용 시간이 달라지며, 술법을 최소 출력으로 사용해도 기본적으로 최소 5초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사스케는 '윤회안'을 개안한 이후 '지폭천성'만 주로 사용하고, 인력과 척력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84], 다만 모모시키와의 싸움에서는 '스사노오・어'를 사용한 상태에서 '천도'의 능력으로 부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85]

7.2.7. 외도(外道)

'윤회안'의 고유 동력. '윤회안'의 개안자가 갖는 기본 동력인 '육도의 술' 중 하나로, 술자에게 삶과 죽음을 제어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술법이다. 외도의 술자는 신체에서 발생시킨 '검은 수신기'를 시체에 꽂아 그들을 자신의 아바타로서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십미의 껍데기인 '외도마상'을 소환하여 제어하는 권한을 얻게 된다.

사스케는 설정상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한 적은 없다.


[1] 인드라의 화살은 정확히는 극중에 말을 했는지는 나오지 않지만, 사스케가 인드라의 화살이라는 이름을 쓴다는 것 자체가 이 술법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의미이며, 그 경위는 하고로모로부터 들었을 가능성 밖에 생각할 수 없다.[2] 정사에 들어가는 더 라스트/보루토 애니메이션 제외.[3] 원작에서 나왔지만 기술명은 게임에서 명명된 기술 제외. EX,) 육도 초대옥 나선수리검.[4] 지금의 나루토에서 나오는 인술들은 거의 마법 수준이기 때문에 이게 왜 인술인가 싶지만, 나루토 초기의 술법들은 대게 진짜로 닌자 만화에서 나올 법한 첩자용 술법이 대부분이었다.[5] 소설판 : 사스케 신전 ~사제의 별~ 제2장 中[6] 알몸의 자신으로 변신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옷을 벗긴 거다. 사스케가 '카구츠치의 검'을 날린 후의 장면을 보면 다시 옷을 입은 사스케가 목쪽의 옷깃을 갖추는 장면이 있다.[7] 술법명 출처 : 닌자 볼테이지[8] 나루토 질풍전 322화(전체 에피소드 542화) -우치하 마다라- 中.[9] 물론 사스케가 사용하는지는 불명.[10] 여담으로 이 시절의 사스케는 까칠한 성격답게 "자신을 방해하면 지울 뿐"이라고 말하는데, 사라다는 어이없어하며, "지금은 호흡을 맞출 때잖아?"라고 말한다.[11] 국내에서는 한 때 빠른 나루토가 느린 사스케의 스피드에 맞춰줬다고 하는 거짓 루머가 사실인냥 퍼져있다. 소설 내에서 수라도에 관한 묘사는 영화 초반부 킨시키와의 싸움에서 짧게 묘사되는 게 전부다. 소설 보루토 극장판에서는 나루토와 사스케가 협공하여 모모시키와 싸우는 장면의 묘사가 정말 짧고 간략하다. 애초에 본인보다 강한 모모시키를 상대로 나루토가 일부러 느리게 싸웠다는 것 자체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12] 보루토 단행본에 실린 사스케의 프로필에서 '뇌둔 치도리'로 표기하고 있다.[13] '치도리예창'과는 확실히 다르다. '치도리예창'의 경우는 '치도리'에서 검의 날을 방출시키는 술법인데, '치도리 검'은 치도리 자체를 검의 형태로 만들어 손에 직접 쥐고 사용한다.[14] 본래 사스케는 주인술을 습득하지 않았으나 오로치마루를 흡수한 덕분에 쓸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본 술법은 게임 내에서 오로치마루와의 합동 인술로 표기되어 있다.[15] 본래의 사자연탄은 공중에서 펀치 등을 사용하지만, 사스케가 한 손에는 검을 쥐고 있고, 왼팔은 없기 때문에 발차기로 콤보를 때린다.[16] 이 표기를 먼저 쓴 건 나루티밋 스톰 4인데, 나루티밋 스톰 4는 웬만한 사소한 기술들 모두 고유의 이름을 붙이는 걸, 이 기술만 '검은 치도리'라 명명했다. 때문에 나루티밋 스톰의 표기를 따르는 기타 나루토 게임들 모두에서 검은 치도리라고만 표기한다.[17] 소설 <NARUTO -나루토- 사스케 신전 : 사제의 별> 中[18] 나루토 세계관에는 부부끼리 반지를 나누는 풍습이 없는데, 임무터인 열타국에선 그러한 풍습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알고 사쿠라에게 주었다.[19] 만약 있었으면 인플레 문제가 났을 가능성이 높다.[20] 소설 <NARUTO -나루토- 카카시 열전 : 6대 호카게와 낙오자 소년> 中.[가칭] [22] 소설 <NARUTO -나루토- 사스케 신전 : 사제의 별> 中.[23] 압도당한 코노하마루에게, 사스케가 말한다. "그래서 수둔에 풍둔을 조합해, 발생하는 수증기로 얼렸다." / 코노하마루 : "수둔이 아니라 '빙둔'이라는 겁니까?" / "가깝지만, 그건 아니다. 옛날에 싸웠던 상대가 쓰던 걸 본뜬 술법이지만, 녀석의 위력에는 아직 못 미쳐." - 소설 <NARUTO -나루토- 사스케 신전 : 사제의 별> 프롤로그 中[24] 토비라마가 그렇게 말했다.[25] 나선수리검은 상대에게 명중할시 상대는 풍둔의 차크라 칼날이 회전하면서 극소 사이즈의 공격을 셀 수도 없을 정도로 받게 되는데, 술자 역시도 나선수리검의 명중과 동시에 잠시나마 그 피해를 입기 때문에 투척하지 않고 직접 때려박는 나선수리검은 양날의 검과 같은 술법이다.[26] "이름하여, 작둔・광륜질풍...아무튼 가라!"[27] 지라이야가 묘목산으로 처음 갔던 계기가 소환수와 계약하지 않고 소환술을 사용해서였다. 이때 히루젠이 계약을 하지 않고 사용하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고 하였다.[28] 네번째 데이터북 '진의 서' 15p. 참조.[29] 차크라를 전달해야하는 경우는 신수에게 차크라를 빨렸을 때와 같은 경우만이 한정된다. 사스케가 미수가 아닌 이상, 외상을 입은 상대에게 차크라를 주입해봐야 상처는 낫지 않는다.[30] '장선술'은 실제로 차크라를 주입해 사용하는 술법이 맞다.[31] 전문 : 손바닥으로 방출한 차크라가 미지근한 열을 수반해 사쿠라의 안으로 스며들었다. 독의 작용이 사라지고, 차가웠던 사지에 체온이 돈다. - 소설 <NARUTO -나루토- 사스케 열전 : 우치하의 후예와 천구의 별들> 中[32] 사실 따지고보면 '장선술'도 독에 대항해 사용하는 술법은 아니긴 하다.[33] 애초에 본편과 보루토 사이는 무려 15년이나 되는 간극이 있다. 이 정도 시간이만 사실 원작에서 사용하지 못했던 술법을 다량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설정 붕괴라고 할 수가 없다.[34] 원작 1부 기준으로 이 술법을 사용할 수 있는 하급닌자는 사스케와 리, 네지가 있다. 네지는 원작에서 사용하지는 않지만, 설정집에서 이 술법을 쓸 수 있을 만큼 숙련된 닌자라고 소개된다.[35] 그러나 이후 '요호의 옷'을 둘러 나루토가 재기했다.[36] 보루토 데이터베이스에 공식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술법.#[37] '치도리류'는 설정상 지면에 흘리는 게 가능하다.[38] 프로필에 사용된 사진은 그냥 마구잡이로 던진 거처럼 보이지만 닌자 볼테이지에서는 이 술법을 '우치하류 수리검술'이라 명시했다.[39] 애니메이션 설정화에서 '오른쪽 눈만 상태 2에 준한 상태'라고 지시되어 있다.[40] 때문에 주고는 사스케가 '부분 변화'하자 "부분 변화를 할 수 있다니 대단한 녀석이야! '주인'을 다루는 것이 능숙한가 보군!"라고 말했다.[41] 대표적인 예로 검은 뇌둔을 다루는 다루이가 존재한다.[42] 1부 사스케 주인 2[43] 2부 사스케 주인 2[44] '비상하는 치도리'는 데이터북 '투의 서'에서 본 술법에 대해 묘사할 때 사용한 표현이다. - p.51 참조.[45] 대표적으로 종말의 계곡의 전투에서 삼구옥을 막 각성한 사스케가 구미 차크라 상태의 나루토의 다음 움직임을 꿰뚫어보고 공격한 적이 있었다.[46] 제츠는 이를 더러 사륜안이나 만화경 사륜안 모두 결국은 닌자의 도구이며, 쓰기에 따라서는 사륜안이 만화경 사륜안의 환술을 뛰어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말했다.[47] 이타치의 경우는 '마환・경천지천'을 사용해 쿠레나이의 '마환・주박살'을 분석한 후 그대로 되돌려준 적이 있었는데, 그게 가능했던 것은 '마환・주박살'은 환술을 사용할 줄 아는 숙련된 닌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술법이기 때문이다. 반면 '츠쿠요미'는 '만화경 사륜안'이라는 매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륜안'으로 환술에 대해 분석을 할 줄 안다고 해도 이를 재현하는 건 불가능하다. 전 세계 나루토 팬덤에서 가장 자료가 방대한 나루토 팬덤 위키에서도 '마환・경천지천'의 술자로 사스케를 등록해놓지 않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48] 사스케 : 사라다! 아빠 말 좀 들으렴! / 사라다 : 하아? 아빠랑 같이 빨래하자는 거죠? 난 싫어요! 라는 대화를 나누고 있다(...).[49] 사스케로 예를 들면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후 오른쪽 눈의 동술인 '염둔・카구츠치'를 오카게 회담 습격 당시에 개안했다.[50] 카카시의 경우는 이미 본편 이전의 시점에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했지만 '카무이'는 나루토 1부~2부 사이에 수련을 거쳐 습득했다. 사스케는 카린을 구한다는 극한 상황에서 오른쪽의 눈을 즉흥적으로 사용해 '아마테라스'의 흑염을 잠재우는 것으로 그 편린을 보였으며, 라이카게와의 싸움에서 열세에 몰렸을 때 '염둔・카구츠치'의 동력을 습득했다.[51] 소설 <이타치 진전>에서 후가쿠가 '만화경 사륜안'으로 미수 컨트롤이 가능하다는 언급이 나온다. 나루토/소설 항목에도 기재되어 있지만 소설판의 설정은 다 정사다.[52] 예외로 오비토가 카카시에게 준 '만화경 사륜안'은 '완성체 스사노오'를 발동할 수 있었는데, 이는 육도의 힘으로 동력이 상승한 특이 케이스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오비토의 사례가 시사하는 것은 굳이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하지 않아도 동력이 일정 수준 이상까지 상승하면 '완성체 스사노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소리가 된다. 미디어 오리지널이긴 하지만 실제로 메르츠가 이를 증명했다.[53] 설정 오류로 애니메이션 <보루토:나루토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에서는 항상 오른쪽 눈으로 사용한다.[54] 이와 같은 장면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오른쪽 눈으로 발동하는 씬으로 그려졌다.[55] 프로필에서는 상대를 '신라천정'으로 튕겨낸 후, '아마테라스'를 쓰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단 공식적인 인술 설명은 이러하다.[56] "아마테라스의 검은 화염을...이것이 이 만화경(오른쪽)의 동술인가?"라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온다.[57] 이 시점에서 오른쪽 만화경 사륜안의 동력을 습득하게 되면서 '스사노오'의 동력이 해금되었다.[58] '아마테라스'만 갖고 있는 이타치는 자신이 사용한 '아마테라스'를 자의적으로 끌 수는 없다.[59] 게임 <나루토 질풍전 : 나루티밋 스톰 4>, '우치하 사스케 (윤회사륜안)'의 수리검으로서 구현되어 있다.[60] '야사카의 곡옥'은 '스사노오'의 한 손이나 두 손 사이에 무수한 곡옥을 만든 후, 이를 부메랑처럼 투척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본 술법은 그냥 흑염의 구체에서 흑염을 발사하는 것 뿐, 모양만이라도 곡옥이면 몰라도 '야사카의 곡옥'이라고 볼 여지가 없다.[61] 사쿠라를 구할 때를 보면 언뜻봐서는 흑염의 검기를 날린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1프레임씩 캡쳐해서 보면 사스케가 휘두른 검기로부터 6개의 흑염의 탄환이 분산되어 발사되는 것을 볼 수 있다.[62] 게임 <나루토X보루토 닌자 볼테이지>에서는 상대를 베어내는 과정을 생략하고 마무리로 가하는 '아마테라스'만을 지칭해 '옥염장'이라고 표기했다.[63] 다만 애니메이션 <나루토 질풍전>에서는 해당 장면에서 '카구츠치의 검'이 아니라 '스사노오'의 공용 검으로 그려넣은 오류가 있다.[64] 출처 : 극장판 설정화 공식 표기# & 반다이의 공식 피규어 제품군 Precious GEM에서의 표기.#[65] 명칭은 '나루토 팬덤 위키'의 가칭을 사용함.[66] 그것도 설정상 아홉 미수 중 가장 강한 구미의 미수옥.[67] 게임판 <나루토X보루토 닌자 볼테이지> 中[68] 이타치와의 싸움에서 사용할 때는 자신의 몸을 던져 이타치가 '아마테라스'를 발동하도록 유도하여 태양의 온도를 지녔다는 아마테라스의 열기로 공기를 데우고, 이어서 주인 상태 2로 스펙을 올린 '화둔・호룡화의 술' 여러발을 하늘로 쏘아내어 적란운을 형성시켰다. 그러나 '스사노오・호화구의 술'은 이런 번거로운 과정 필요없이 단 세 발만으로도 '기린'의 발동 조건을 충족시킬 정도의 열기를 지녔다.[69] '타케미카즈치'는 <나루토 질풍전: 나루티밋 스톰 4>에서 처음 만들어진 술법으로, 이후 <NARUTO TO BORUTO: SHINOBI STRIKER>나 <나루토X보루토 닌자 볼테이지, <점프 포스> 등, 거의 100%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본 술법을 필살기로 달고 나온다.[70] 이는 '인드라의 화살' 사용 후 사스케가 "미수 놈들을...!"이라고 독백하며, 다시 한 번 미수 차크라를 끌어다 쓰려고 한 장면에서 알 수 있다. '스사노오'가 미수 차크라를 끝까지 담아냈다면 미수들에는 더이상 끌어다쓸 수 있는 차크라가 없어야 한다.[71] 정식 명칭이 없어 가칭을 사용.[72] 낙뢰를 떨굴 수 있었던 건, 앞서 '스사노오・호화구의 술'로 적란운을 생성해뒀기 때문이다.[73] 정식 명칭이 없어 가칭을 사용한다.[74] 후자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모모시키에게 붙잡힌 나루토의 차크라를 감지하고 모모시키의 이공간으로 이동한 사례를 들 수 있다.[75] TVA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 中, 사스케가 카구야의 얼음 공간에 도달했을 때 겨우 도달했다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물론 사스케는 카구야의 얼음 공간에 와봤던 적이 있긴 하지만 저런 대사를 내뱉은 걸보면 카구야의 이공간에 잘 연결이 안됐다거나 하는 트러블이 발생한 것 같다.[76] 사스케가 모모시키 및 잇시키에게 끌려간 나루토가 어떤 차원으로 갔는지 알 수 있었던 이유가 이 힘에 의한 것이다.[77] 나루토와 사스케가 해당 시점까지 '양/음의 힘'을 갖고 있었다면 사스케가 나루토가 죽었다는 거짓말을 믿지도 않았을 것이다.[78] 이러한 관계로 카구야의 껍데기인 '외도마상'도 달에 봉인되어 달의 오오츠츠키 일족의 관리하에 있었지만 마다라가 윤회안을 개안하고 소환술로 소환하여 본의아니게 강탈을 해버렸다.[79] 필요한 건 오로지 미수 차크라이며 인주력일 필요는 없다.[80] 다만 전자는 실현 가능성이 있어도, 후자는 실현 가능성이 없다. 오비토가 전쟁에서 나가토가 가진 마다라의 '윤회안' 2개를 모두 이식하지 못한 이유는 하나만 이식했을 뿐인데, 정신 침식을 당할 뻔했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순혈 우치하이자 하시라마 세포를 사용하던 오비토조차 끼기 버거워 했던 물건을, 통상의 '윤회안'보다도 동력이 훨씬 강한 사스케의 '윤회안'을 우치하도 아니고, 나가토처럼 차크라의 그릇이 큰 것도 아니며, 하시라마 세포도 없는 카카시가 이식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것이다.[81] 시마에게 반토막 난 카멜레온, 가마켄한테 일격사 당한 개가 다음에 또 불려오는 등. 다른 개체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이타치의 까마귀 정도를 제외하면 나루토 세계관에서 모습이 완전히 같은 개체군은 웬만하면 찾아보기 힘들다.[82] 대표적인 예시로, 사스케는 완전체 스사노오를 일격에 분쇄하는 지겐의 발차기를 얻어맞고도 타박상에서 끝났다. 즉, 사스케의 맷집은 타격에 한에선, 완전체 스사노오보다도 단단한 것이다. 평범한 신체를 가진 사람이였다면 그 자리에서 폭사했을 것이다. 이 밖에도 뒤로 전력질주를 하거나, 발바닥으로 장검을 돌려 던지는 등 사람의 신체구조상 물리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운 기괴한 동작을 당연하게 구사한다. 즉 정황상 단순한 신체 단련 이외에도, 모종의 신체강화술법을 쓴게 확실하며, 사스케가 쓸 수 있는 신체강화술법은 수라도밖에 없다. 때문에 독자들은 사스케가 수라도를 구사한다는 것을 기성사실로 간주한다.[83] 국내에서는 보루토 극장판 소설에서 나루토가 사스케의 움직임에 맞춰줬다거나 하는 루머가 돌고 있지만 그러한 내용은 등장하지 않는다. 사스케의 '수라도' 관련한 지문은 본 각주에서 설명한 내용이 전부다. 이후로는 관련 내용은 일체 묘사되지 않는다.[84] 윤회안의 인력과 척력이 파워 인플레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시로, 신라천정은 꼬리6개상태인 쿠라마에게 뚫렸는데, 이 정도 출력이 오오츠츠키한테 통할 리 없다.[85] 스사노오의 능력일 가능성은 없다. 스사노오는 완성체 스사노오부터 비행 능력이 부여되기 때문. 설정 자체가 그렇다.[86] 하고로모의 '지폭천성'도 사스케와 같은 방식이라는 건 게임판 <나루토X보루토 나루티밋 스톰 커넥션즈>에서 확인 가능하다.[87] 흑제츠가 카구야의 과거 이야기를 하면서 그녀를 봉인한 술법(육도・지폭천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십미 자체를 지폭천성의 핵으로 바꾸는 술법'이라 설명했다. - 나루토 원작 681화 中.[88] 게임판 <나루토X보루토 나루티밋 스톰 커넥션즈> 中, 스톰 게이지가 모두 찬 상태에서 오의를 발동하면 '아마테라스'를 발동하는 씬이 확실하게 나온다. 통상의 오의로 시전할 경우에도 상대의 발밑을 보면 '아마테라스'를 발동한 게 보인다.[89] '염둔・카구츠치'로 구속하는 게 아닌, 단순히 '아마테라스'로 지면만 불태운다.[90] 묘사상으로는 보라색 광탄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술법명을 해석해보면 흑염(카구츠치)의 칼날이 파괴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광탄의 정체가 '염둔・카구츠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우치하 사스케]]}}}{{{#!if external != "o"
[[우치하 사스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uuid=41ef2054-8911-4357-a08c-a07e55225e68|r17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uuid=41ef2054-8911-4357-a08c-a07e55225e6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우치하 사스케?from=179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우치하 사스케]]}}}{{{#!if external != "o"
[[우치하 사스케]]}}}}}}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uuid=41ef2054-8911-4357-a08c-a07e55225e68|r17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우치하 사스케?uuid=41ef2054-8911-4357-a08c-a07e55225e6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우치하 사스케?from=179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