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23:35:32

원소/어원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원소

1. 각 원소의 어원 목록
1.1. 별난 원자
2. 볼만한 내용

1. 각 원소의 어원 목록

기본 설명은 원소 기호 어원을 우선하고, 하위 설명은 별도의 한국 표준으로 읽는 어휘를 우선으로 한다.[1]

참고출처

1.1. 별난 원자

2. 볼만한 내용

발견한 연구소가 속한 소재지 주소, 설립자가 줄줄이 원소명이 되기도 했다. 명예의 전당
같은 연구소에서 2개 이상의 원소가 발견된 것만 등재합니다.
미국캘리포니아 주버클리UC 버클리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23]
- 캘리포늄 버클륨 로렌슘
러시아모스크바 주두브나JNRI[24](설립자 플레로브)
- 모스코븀 더브늄 - 플레로븀
독일헤센 주다름슈타트중이온연구소
-하슘다름슈타튬-

또한 광석 발견지 이름을 원소명으로 돌려쓰기도 했다.
스웨덴 이테르비
이트륨, 터븀, 어븀, 이터븀

몇몇 원소는 물리학/화학과 아예 무관한 실존인물의 이름이 붙었다. 물론 싹 다 지명 유래가 되서 그런 것.
아메리슘 이름을 따온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아메리카가 아시아와는 다른 땅임을 입증한 업적으로 그의 이름을 따와 대륙의 이름을 지었고, 훗날 여기에 세워진 나라 중 하나인 미국에서 아메리슘을 합성했다.
버클륨 이름을 따온 조지 버클리는 아일랜드의 성공회 주교로, 자연과학에 관련된 것이라고는 미적분의 토대가 부실한 것을 비판한 것뿐이었다. 그러나 훗날 미국에 이 사람의 이름을 딴 대학을 세우게 되었고, 여기서 버클륨을 합성했다.
리버모륨 이름을 따온 로버트 리버모어는 미국의 농부로, 리버모어가 세운 마을에 연구소가 세워졌고 여기서 리버모륨을 합성했다.

[1] 관습상 명칭은 각주 참조[2] 宇田川榕菴; 1798 ~ 1846[3] 정확히는 蓬砂(봉사)라고 썼는데 둘 다 붕산 나트륨([math(\rm Na_2[B_4O_5(OH)_4]{\cdot}H_2O)])을 가리키는 말로 중국에서 번역되어 널리 쓰이고 있던 용어다.[4] 石黒忠惠; 1845 ~ 1941[5] 개화기 때는 중국에서 번역된 양기(養氣)라는 용어도 병행된 적이 있으나 도태되었다.[6] 불소(弗素)는 음차한 한자어.[7] natron은 미라용 소다(nṯrj, 고전 이집트어)가 고전 그리스어로 수입된 νῐ́τρον(nítron)에서 유래. 엄밀하게는 중세 연금술사들이 소다(탄산나트륨)와 탄산칼륨을 뭉뚱그려서 부르던 명칭.[8] 중세 유럽에서 쓰이던 두통약 sodanum에서 온 말로, sodanum은 아랍어 '두통'(صُدَاع; ṣudāʿ)을 라틴어화한 말.[9] 타국은 유황이라 하고 한국도 전에 그랬으나 근래 대세가 바뀌었다.[10] 어느 원소랑도 반응하지 않아서.[11] 바나디스는 프레이야의 이명이다.[12] 취소(臭素)는 의역한 한자어인데 근래 한국에서 거의 안쓴다.[13] 루비 역시 어원이 같다.[14] 로마 정치인 대 플리니우스가 휘안석에서 따와 명명[15] 옥소(沃素)는 의역+음역한 한자어인데 근래 한국에서 거의 안쓴다만 옥도정기라는 속어로 흔적이 남아있다.[16] 현재는 네덜란드어로 백금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현대에 백금으로 쓰이는 단어는 platina[영어명3] 영어명 Mercury는 로마 신화의 신 메르쿠리우스 유래.[18] 고구려어 內勿등에도 흔적을 보인다. 한자어 鑞과 연관짓는 설도 있다.[19] 라듐이 붕괴해서 라돈을 형성하기 때문.[20] 버클리 시 소재라서 명칭으로 됨[21] 과학 연구 계획도시[22] 정확히는 인명이다. 해당 지역에 목장을 세워 정착한 농부의 이름인데, 이곳 인근에 연구소를 세워서 이 원소를 발견함에 따라 졸지에 농부 이름이 원소명이 된 것.[23] 사이클로트론을 발명한 어니스트 로런스가 연구소명과 원소명의 유래[24] 합동원자핵연구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