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03:20:37

존 레스터

존 레스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d3039>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01 1902 1903 1904~1908 1909
윈 켈럼 사이 영 조지 윈터 사이 영 프랭크 아렐라네스
<rowcolor=#ffffff> 1910 1911~1913 1914 1915 1916~1918
에디 시콧 스모키 조 우드 레이 콜린스 어니 쇼어 베이브 루스
<rowcolor=#ffffff> 1919 1920 1921 1922 1923~1924
칼 메이스 앨런 러셀 새드 샘 존스 잭 퀸 하워드 엠키
<rowcolor=#ffffff> 1925 1926 1927 1928 1929
알렉스 퍼거슨 하워드 엠키 슬림 해리스 대니 맥페이덴 레드 러핑
<rowcolor=#ffffff> 1930 1931 1932 1933 1934
대니 맥페이덴 윌시 무어 대니 맥페이덴 아이비 앤드류스 고든 로즈
<rowcolor=#ffffff> 1935~1937 1938 1939~1940 1941 1942
웨스 페럴 짐 배그비 레프티 그로브 잭 윌슨 딕 뉴섬
<rowcolor=#ffffff> 1943 1944 1945 1946~1947 1948~1949
텍스 휴슨 양크 테리 렉스 세실 텍스 휴슨 조 돕슨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1954 1955~1956 1957
멜 파넬 빌 라이트 멜 파넬 프랭크 설리반 톰 브루어
<rowcolor=#ffffff> 1958 1959 1960 1961 1962
프랭크 설리반 톰 브루어 톰 스터디반트 빌 몬부켓 돈 슈월
<rowcolor=#ffffff> 1963~1965 1966 1967 1968 1969
빌 몬부켓 얼 윌슨 짐 론보그 딕 엘스워스 짐 론보그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1975 1976~1977
게리 피터스 레이 컬프 마티 패틴 루이스 티안트 퍼거슨 젠킨스
<rowcolor=#ffffff> 1978 1979~1983 1984 1985 1986
마이크 토레스 데니스 에커슬리 브루스 허스트 오일 캔 보이드 브루스 허스트
<rowcolor=#ffffff> 1987 1988~1994 1995 1996 1997
밥 스탠리 로저 클레멘스 애런 셀레 로저 클레멘스 톰 고든
<rowcolor=#ffffff> 1998~2004 2005 2006~2007 2008 2009~2010
페드로 마르티네스 데이비드 웰스 커트 실링 마쓰자카 다이스케 조시 베켓
<rowcolor=#ffffff> 2011~2014 2015 2016 2017 2018~2019
존 레스터 클레이 벅홀츠 데이비드 프라이스 릭 포셀로 크리스 세일
<rowcolor=#ffffff> 2020~2022 2023 2024 2025
네이선 이볼디 코리 클루버 브라이언 베요 개럿 크로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e3386>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시카고 컵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cc3433> 1876 1877 1878~1879 1880~1882 1883
알 스팰딩 조지 브래들리 테리 라킨 래리 코코란 프레드 골드스미스
<rowcolor=#cc3433> 1884~1885 1886~1887 1888 1889~1890 1891
래리 코코란 존 클락슨 조지 반 할트렌 빌 허친슨 팻 루비
<rowcolor=#cc3433> 1892 1893 1894 1895 1896
애드 검버트 윌리 맥길 빌 허친슨 클락 그리피스 대니 프렌드
<rowcolor=#cc3433> 1897~1900 1901~1903 1904 1905~1906 1907~1910
클락 그리피스 잭 테일러 제이크 와이머 칼 런드그렌 오벌 오버롤
<rowcolor=#cc3433> 1911 1912 1913 1914 1915
에드 로일백 킹 콜 지미 라벤더 래리 체니 히포 본
<rowcolor=#cc3433> 1916 1917 1918 1919 1920~1922
조지 맥코넬 히포 본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히포 본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rowcolor=#cc3433> 1923 1924 1925 1926 1927~1929
타이니 오스본 빅 알드리지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윌버 쿠퍼 찰리 루트
<rowcolor=#cc3433> 1930 1931~1932 1933~1936 1937 1938
셰리프 블레이크 찰리 루트 론 워너키 래리 프렌치 클레이 브라이언트
<rowcolor=#cc3433> 1939~1940 1941~1942 1943 1944 1945
빌 리 클로드 패소 폴 데린저 행크 와이스 폴 데린저
<rowcolor=#cc3433> 1946 1947 1948 1949 1950
클로드 패소 행크 보로위 러스 마이어 더치 레너드 자니 슈미츠
<rowcolor=#cc3433> 1951 1952 1953 1954 1955~1957
프랭크 힐러 폴 미너 밥 러시 폴 미너 밥 러시
<rowcolor=#cc3433> 1958 1959~1960 1961 1962 1963~1966
짐 브로스넌 밥 앤더슨 글렌 호비 돈 카드웰 래리 잭슨
<rowcolor=#cc3433> 1967 1968 1969~1973 1974~1975 1976~1977
퍼거슨 젠킨스 조 니크로 퍼거슨 젠킨스 빌 보넘 레이 버리스
<rowcolor=#cc3433> 1978~1981 1982 1983 1984 1985~1989
릭 러셸 더그 버드 퍼거슨 젠킨스 딕 루스벤 릭 서클리프
<rowcolor=#cc3433>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마이크 빌리키 대니 잭슨 그렉 매덕스 마이크 모건 짐 벌린저
<rowcolor=#cc3433>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하이메 나바로 테리 멀홀랜드 케빈 태파니 스티브 트랙슬 존 리버
<rowcolor=#cc3433> 2003~2004 2005~2010 2011~2012 2013~2014 2015
케리 우드 카를로스 잠브라노 라이언 뎀스터 제프 사마자 존 레스터
<rowcolor=#cc3433> 2016 2017~2019 2020~2022 2023 2024
제이크 아리에타 존 레스터 카일 헨드릭스 마커스 스트로먼 저스틴 스틸
<rowcolor=#cc3433> 2025
이마나가 쇼타
}}}}}}}}}}}} ||

존 레스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BOS_2007_WSChampion.gif 파일:BOS_2013_WSChampion.png 파일:CHC_2016_WSChampion.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07 2013 2016

파일:2010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6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0 2011 2014 2016 2018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6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대니얼 머피
(뉴욕 메츠)
존 레스터&
하비에르 바에즈
(시카고 컵스)
저스틴 터너&
크리스 테일러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로고.svg 2016년 메이저 리그 워렌 스판 상
댈러스 카이클
(휴스턴 애스트로스)
존 레스터
(시카고 컵스)
클레이튼 커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다승왕
클레이튼 커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존 레스터
(시카고 컵스)

마일스 마이콜라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맥스 슈어저
(워싱턴 내셔널스)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워싱턴 내셔널스)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62번
김선우
(2001)
<colbgcolor=#0d2b56><colcolor=#fff> 존 레스터
(2006)
데이비드 폴리
(2006~2008)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31번
맷 만테이
(2005)
존 레스터
(2006~2014)
알레한드로 데 아자
(2015)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1번
자니 곰스
(2012)
존 레스터
(2014)
켄달 그레이브먼
(2015)
시카고 컵스 등번호 34번
케리 우드
(2011~2012)
존 레스터
(2015~2020)
결번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34번
브라이스 하퍼
(2012~2018)
존 레스터
(2021)
루크 보이트
(202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31번
마이크 매덕스
(2018~2021)
존 레스터
(2021)
앤드류 수아레즈
(2023)
}}} ||
}}} ||
파일:존6.jpg
조너선 타일러 "존" 레스터
Jonathan Tyler "Jon" Lester
출생 1984년 1월 7일 ([age(1984-01-07)]세)
워싱턴 주 타코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벨라마인 고등학교
신체 193cm / 108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02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7번, BOS)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2006~201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4)
시카고 컵스 (2015~2020)
워싱턴 내셔널스 (202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21)
기록 Pitched a no-hitter (2008.5.19.)

1. 개요2. 피칭 스타일3. 선수 경력4. 수상 내역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했던 미국 국적의 좌완 선발투수.

한때 보스턴 레드삭스의 프랜차이즈 좌완 에이스였던 투수이자, 암을 극복하고 일어선 사나이.

2014년 후반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 되지만 반년 렌탈을 거쳐 2014 시즌 후 FA 시장에 나와 여러 빅마켓 팀들의 러브콜 끝에 테오 엡스타인이 사장으로 있는 시카고 컵스 유니폼을 입고 제2의 전성기를 보낸 뒤 워싱턴 내셔널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2. 피칭 스타일


전성기 기준 평균 92~93마일, 최고 98마일의 패스트볼과 함께 커터, 싱커, 커브와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구속이 빠른 편은 아니지만 제구력이 좋아 외곽으로 공을 집어넣으면서 적극적으로 스트라이크존을 공략할 수 있다. 특히 커터는 주무기로서 패스트볼과 비슷하게 날아오다 예리하게 꺾이기 때문에 스트라이크존에 걸치거나 몸쪽,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면서 헛스윙을 유도하는데, 사실상 슬라이더 대신 사용하는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좌완 투수라는점, 패스트볼과 커터를 주로 던진다는 점, 포스트시즌에 특히 강하다는 점에서 매디슨 범가너와도 비슷하다.

단점으로는 입스가 심하여 주자 견제나 땅볼 처리에 극도로 약하다는 점이 있다.

3.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존 레스터/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14 BOS 14 OAK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1 WSH 21 STL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07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파일:2013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파일:2016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3회 (2007, 2013, 2016)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5회 (2010, 2011, 2014, 2016, 2018)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2016)
파일:MLB 로고.svg 워렌 스판 상 (201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승리 1위 (2018))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레스터의 통산 성적은 2740이닝 200승 117패 2488삼진 ERA 3.66 bWAR 44.2 fWAR 46.2이다. 다승 1회의 개인 타이틀과 올스타전 5회 출전 경력이 있고, 사이영 상 투표에서는 2위 1번, 4위 2번을 기록했으나 수상한 적은 없다.

레스터가 기록한 200승 2740이닝 2488K의 클래식 스탯은 그가 활동한 2006년~2021년 시기 내에서 순위를 매기면 각각 3위, 3위, 6위에 해당하는 좋은 성적이며 2010년대 후반으로 넘어올수록 선발 투수들의 승수와 이닝 소화가 낮아지는 추세임을 감안하면 가치가 더 올라갈 수 있다. 다만 명예의 전당 통계 측면에서 보면, 블랙 잉크는 8 (입성자 평균 40), 그레이 잉크는 148 (입성자 평균 185), Hof 모니터 98 (입성자 평균 100), Hof 스탠다드 40 (입성자 평균 50)이라는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명전급 투수의 성적이라 보기에는 부족하며 상술했듯이 사이영 상 수상 경력이 없고 개인 타이틀마저 다승 1회뿐이라는 점, 50조차 되지 않는 낮은 수치의 통산 war를 기록한 점들이 명전 입성 가능성을 어둡게 만드는 요소들이다.

다만 레스터의 명전 입성 도전에서 확실한 어드밴티지가 있는데 이는 그가 당대를 대표하는 빅게임 피쳐였다는 것이다. 포스트시즌 통산 26경기 154이닝 ERA 2.51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고, 월드 시리즈로 한정하면 통산 6경기 35.2이닝 ERA 1.77이라는 훌륭한 성적이 나온다. 레드삭스에서 2번, 컵스에서 1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따낼 동안 모두 주역이었으며[1] 특히 컵스에서의 우승은 야구계를 대표하는 징크스였던 염소의 저주를 깨뜨린 것이다 보니 더욱 가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트시즌 통산 성적에 비해 별달리 내세울 것이 없는 정규시즌 통산 성적은 큰 약점이 분명하며 결정적으로 동시기에 활동한 투수들 중 한수 위로 평가받았던 펠릭스 에르난데스가 첫 해 투표에서 20.6%라는 낮은 득표율을 기록함으로써 레스터 또한 전망이 밝지는 않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투표를 통한 입성은 불가능에 가깝고 추후 베테랑 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입성을 노리는 것이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6. 여담

7. 관련 문서


[1] 컵스에서 2016년 월드 시리즈를 우승할 당시에는 NLCS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2] 26경기 22선발[3] 사실 범가너는 와일드카드 게임(2경기 2완봉)과 월드시리즈(5경기 36이닝 0.25)에서의 모습이 워낙 기억에 남아서 그렇지 디비전 시리즈(4경기 22⅓이닝 4.43)와 챔피언십 시리즈(5경기 26이닝 4.15)에서는 그리 강하지 않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