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0:21:13

타임패트롤대 오타스케맨

타임패트롤대 오타스케맨 (1980~1981)
タイムパトロール隊オタスケマン
파일:1000012843.pn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SF, 스페이스 오페라, 시간 여행
기획 토리우미 진조
제작 요시다 켄지(吉田健二)
원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기획실
총감독 사사가와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아마노 요시타카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미술 담당 오카다 카즈오(岡田和夫)
녹음 디렉터 토리우미 토시키(鳥海俊材)
녹음 타카하시 히사요시(高橋久義)
음악 진보 마사아키(神保雅彰)
야마모토 마사유키(山本正之)
애니메이션 제작 타츠노코 프로덕션
제작 후지 테레비
타츠노코 프로덕션
방영 기간 1980. 02. 02. ~ 1981. 01.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1957-1986).svg / (토) 18: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53화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스토리
2.1. 등장인물2.2. 등장 메카
3. 주제가4. 회차 목록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otasukeman.jpg

타임보칸 시리즈의 4번째 작품. 제작진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감독은 사사가와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아마노 요시타카.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시리즈 구성 각본 코야마 타카오. 머나먼 미래의 시간관리국인 타임패트롤대에 소속된 오타스케맨과 오쟈마맨의 대립을 다루고 있다. 화수는 총 53화로 구성되어 있다.

얏타맨, 젠다맨, 오타스케맨은 한눈에 서로 구별하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디자인이 비슷하다.

2. 스토리

시대는 20세기의 끝 무렵 지구에서 수만 km 떨어진 우주 공간 속에 거대한 우주정거장에 위치한 시간 관리국타임패트롤대는 세계 각지에서 모인 대원들이 역사의 흐름을 관리하고 감시하고 있는 조직이다.

타임패트롤 대원들 중에서 실적이 가장 떨어지는 대원들인 아타샤,세코비치, 도와르스키 이렇게 삼인조는, 자신들이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유명인이 되기를 꿈꾸고 있었다. 그때, 아타샤반 앞에 나타난 톤마노 망토[1]는 그들의 원대한 꿈을 이루게 해주는 것을 약속하고, 아타샤 일당을 방해자로 만들어 자신이 만든 역사로 역사 속에 사건들을 바꾸려고 한다. 그 전파를 잡은 것처럼 타임 패트롤 대원의 히카루와 나나는 그 야망을 저지하기 위해서 오타스케만이 되어 싸우는 것을 결의. 시간을 넘어 역사를 원래대로 흐르게 하려는 오타스케(도움)맨과 역사의 흐름을 제멋대로 뒤바꿔놓으려는 오쟈마(훼방)맨의 대결을 그린 작품이다.[2]

2.1. 등장인물


파일:Otaskemen.jpg

오타스케맨
역사를 지키며 과거와 미래를! 올바른 역사를 지키기 위해 하늘을 대신해서 여기에 등장!
그들의 정체는 타임패트롤 대원인 히카루와 나나로 오쟈마맨이 노리는 과거의 역사 속의 시대로 향하는 과정에서 오타스케맨으로 변신하며, 역사를 지키기 위해 오쟈마맨과 맞서 싸우는 정의의 히어로이다. 이 사실은 주위에서 비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남 장관으로 부터 항상 “근무 태도는 성실하지만 언제나 오타스케맨에게 도움을 받고 있는 문제아 대원” 취급을 받으며(매회 아타샤들의 방해를 받고 나서 현장에 출동하는 것이 주요 패턴이다.) 장관은 매회마다 정신교육을 목적으로 한 일명 "사랑의 특훈"이라는 벌을 받고 있다. 이 사랑의 특훈은 A코스, B코스해서 2개로 준비되어 있는데, 히카루와 나나는 매회 코스를 선택 할 때마다 연애 모드로 변하게 되어 이게 훈련인지 데이트 코스인지 모를 훈련을 받고 있다. 딱 한번 32화에서는 엄격한 코스를 받아본게 전부이다.

파일:external/pds21.egloos.com/c0026297_55d706decd59f.jpg

오쟈마맨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지금 그대로 있다가는 언젠가 이 지구가 멸망해 버린다!
그 정체는 톤마노망토의 제작자이자 사실상 톤마노 망토 본인이다.

본 작품의 흑막인 것이 최종회에 밝혀진다. 이전부터 지구에 있는 모든 학문을 (물리학, 인류학, 생물학, 자연과학)배운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의 인간이 저지른 행동들인 전쟁 , 범죄, 환경파괴 등으로 인해 머지않아 지구를 멸망시킨다는 극단적인 결론을 내리게 되고, 오쟈마맨을 이용해서 과거의 역사를 개변하는 것을 생각했다. 결국 마지막에는 아타샤네와 함께 타임패트롤대에 잡히게 되고 투옥되었을 때에는 말투가 후배를 연기했을 무렵으로 돌아가 그때까지 속이고 있던 것을 사죄하며 "나는 안 되겠지만 여러분은 가벼운 형벌을 받으면 되는거에요"라고 위로한다,
최후에는 다른 오쟈마맨 멤버들과 함께 지구를 위협하는 대혜성에 맞서 특공에 합류하게 되고 결국 지구를 구하게 되고 행방불명되었다.

2.2. 등장 메카


오타스케맨의 메카

등장 메카들은 전작과는 달리 자아를 가진 메카가 아닌 순수하게 전투용과 구조용, 이동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오쟈마맨의 메카
* 안드로메다호: 아타샤반(=오쟈마맨) 전용 메카이자 우주선으로, 콘도르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출동전에는 선데이호와 마찬가지로 평범한 메카였다가, 오쟈마맨으로 활동할 때는 날개를 접어 목과 다리와 부스터를 수납하고, 도립하여 부스터를 수납한 부분에서 더미의 머리를 내고 올빼미형 오자마 메카로 위장한다. 메카 내부에는 오쟈마맨으로 변신하는 변신 캡슐이 있는데 오타스케맨에 변싱 머신처럼 자동으로 슈트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보디 체인지!라고 외치고 그 후로는 캡슐 안에서 스스로 갈아 입는다. 본 작품에서는 해골 마크의 색이 녹색으로 변경되고 있다.

최종회에서 오오보라의 대혜성이 지구로 충돌하는 전망이라고 알게 된 게키가스키가 함께 안드로메다호에 태우고 자동 조종으로 대혜성에 특공을 걸어서 대혜성 모두 우주의 먼지가 되어 소멸했다. 충돌 직전에 4개의 비행 물체가 대혜성과는 다른 방향으로 방출(정확하게는 처음에 3개, 조금 늦게 1개) 되어 있는 것이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편에서 이것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 오쟈마맨도 전원 생사불명으로 다루어져, 충돌을 지켜봐온 패트롤 대원들이 모두를 구했다고 파악하고 울면서 폭발의 장면을 바라보는 것으로 끝을 냈다.

3. 주제가


풀버전작사 · 작곡 - 야마모토 마사유키 / 편곡 - 진보 마사아키 / 노래 - 야마모토 마사유키, 소년소녀합창단 미즈우미(みずうみ)

풀버전작사 · 작곡 - 야마모토 마사유키 / 편곡 - 진보 마사아키 / 노래 - 야마모토 마사유키, 오하라 노리코, 타테카베 카즈야, 야나미 죠지[5]

1화부터 22화까지 쓰인 엔딩곡. 가사 중에 들어가는 '아우' 부분은 당시 내각총리대신으로 재임하고 있던 오히라 마사요시의 말버릇을 가져온 것이다(...)

풀버전작사 - 우치마 쇼 / 작곡 - 야마모토 마사유키 / 편곡 - 진보 마사아키 / 노래 - 야마모토 마사유키

23화부터 최종화까지 쓰인 두번째 엔딩곡

4. 회차 목록

5. 기타

6. 관련 문서



[1] 1화인 본편 이전부터 알 던 사이로 일본어 기준으로 이름이 회문으로 되어 있다(원문은 トンマノマント).[2] 오타스케맨의 유래는 도와줘의 다스케테, 오쟈마맨의 유래는 방해를 의미하는 쟈마에서 유래했다.[3] 아즈마 박사에 본명인 히가시 코타로(東 光太郎)에 성인 히가시(東=동)를 따서 동 그리고 난부 박사에 풀네임인 난부 고사부로(南部考三郎)에 성인 난(南=남)을 따서 남이다.[4] 원문은 보야(ぼうや) 일본에서 보통 남자를 낮춰서 부를 때, 남자아이를 지칭할때 사용하는 표현.[5] 삼악의 성우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