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 | |
보트가 발견된 위치 |
[clearfix]
1. 개요
2020년 5월 23일,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에 위치한 백리포~십리포 해수욕장 사이 해변(작은댕골산 부근)에 평소 보이지 않던 불상의 보트가 떠내려와 마을 주민이 신고해 대한민국 국군과 경찰의 조사 결과 중국 등 외국에서부터 5-6인을 태우고 밀항한 것이 유력시된 사건.2. 경과
해변에 좌초된 해당 보트 |
발견 이틀 후인 2020년 5월 25일 합동참모본부는 "대공 혐의점은 낮아 보인다. 추가적인 확인과 평가·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당 선박은 레이더, 감시카메라, 열상장비(TOD) 등 군 감시체계에 13회나 포착되었으나 육군 제32보병사단 98여단 3대대 운용병들이 낚싯배 내지 일반 레저보트로 오판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1. 검거
2.1.1. 2020년 5월 27일
2020년 5월 27일 밀입국자 1명이 목포에서 검거되었다고 경찰이 발표했다.# 관련 기사에 따르면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에서 출발하였다고 하며 발견 당시부터 제기되어 온 중국인 밀입국자가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경 측에서는 워낙 소형선박이었기 때문에 레이더에 잡히지 않았다고 한다. 1명이 검거되었으므로 나머지 5명에 대한 수사를 확대했다.2.1.2. 2020년 5월 28일
2020년 5월 28일 밀입국자 1명의 자수에 따르면 경찰이 추정한 6명이 아니라 8명이 밀입국했다고 한다. 실제로 CCTV에는 10명이 승합차에서 내리는 장면이 포착되었으며 이에 따라 밀입국자 8명과 조력자 2명으로 보인다.2.1.3. 2020년 5월 29일~5월 31일
2020년 5월 29일부터 31일까지 마찬가지로 목포에서 조력자를 포함한 밀입국자 5명이 추가 검거되었으며 태안해양경찰서로 압송되었다.#3. 기타
- 밀입국한 중국인이 경인 아라뱃길 자살 사고와 연관성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해당 중국인들의 밀입국 사유 및 대공 혐의점이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아 단순 추측에 불과하지만 만약 해당 중국인들이 진짜로 간첩 등의 특정한 목적들을 가지고 밀입국한 것이라면 이야기가 상당히 달라진다.
- 중국인의 밀입국 사건으로 밝혀지자, 태안 지역에 해안경계가 강화되었고 지역 민간인들도 정체 모를 외부인들을 수상하게 바라보면서 민감해졌다. 이런 긴장된 분위기에서 오인 신고 해프닝까지 생겼다. 6월 9일 낮 12시 30분경에 태안군 안면읍 바다에서 고무보트를 타고 있던 특전사 대원 두 명이 밀입국자로 오인받아 신고를 받은 군·경 100여명과 헬기 2대가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1] 우습게도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군·경 100여명이 해안쪽에 들이닥쳐 검문·검색을 실시하자 마침 인근 농장에서 작업 중인 불법체류하던 외국인 노동자들이 자기들을 잡으러 온 것으로 착각하고 놀라서 도주하다가 경찰에 붙잡히기도 하였다.
- 해당 부대는 군기가 일부 상실된 모습도 있었는데 민간에게 개방된 천리포해수욕장에서 당시 현역이었던 연대 인원의 군번줄도 습득할 수 있었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2020년 대한민국 군부대 무단침입 사건 일람 | ||||||||||
{{{#!folding [ 펼치기·접기 ] | <colbgcolor=#004098> 일자 | 위치 | 부대 | 내용 | 비고 | |||||
1월 3일 | 경남 진해 | 진해기지사령부 | 영내 침입 | |||||||
3월 7일 | 제주 서귀포 | 제주기지전대 | 영내 침입 | 구럼비바위 발파 8주년 관련 | ||||||
3월 16일 | 경기 시흥 | 수도방위사령부 방공부대 | 영내 침입 | 땅굴 이용 | ||||||
4월 12일 | 경기 의정부 | Camp Jackson | 영내 침입 | |||||||
4월 13일 | 경기 고양 | 군사안보지원학교 | 영내 침입 | |||||||
4월 14일 | 경기 양주 | 육군 군 부대 | 영내 침입 | |||||||
5월 21일 | 충남 태안 | 제32보병사단 담당 해안지역 | 밀항 | 태안 보트 밀입국 사건 | ||||||
7월 19일 | 인천 강화 | 해병대 제2사단 담당 전방지역 | 월북 | 북한이탈주민 강화도 경유 월북 사건 | ||||||
9월 17일 | 강원 철원 | 제3보병사단 전차대대 | 월북 미수 | |||||||
10월 9일 | 경기 평택 | 제2함대사령부 | 영내 침입 | |||||||
11월 3일 | 강원 고성 | 제22보병사단 전방지역 | 월남 | 북한이탈주민 철책 훼손 귀순 사건 |
}}}||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건(1996)A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
[1] 기사엔 훈련 중인 특전사 대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저땐 아직 본격적인 해상훈련 시즌 전이고 낮에 남자 2명만 보트에 있었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대 훈련이 아니라 특전사가 태안으로 훈련 오기 전에 앞서 간부 두 명이 훈련 장소로 사전 답사를 와서 바다와 해안에 장애물 등이 있는 지를 점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