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1:06:03

폐역

폐선다음역에서 넘어옴

1. 개요2. 원인3. 활용4. 부활5. 폐역이 아닌 경우6. 목록7.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doopedia.co.kr/800_121744888822414.jpg 파일:한탄강역.jpg 파일:external/pajucc.or.kr/d002_01.jpg
수요 부족으로 폐지된 경북선 두원역 선로 이설로 폐지된 경원선 한탄강역 전쟁으로 폐지된 경의선 장단역

폐역()은 더 이상 영업을 하지 않고 폐쇄된 철도역. 사실 폐역은 영업 거리표에 등장 조차 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정거장 등급이라 보기에는 어렵다. 반대로 영업거리표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모종의 사유로 영업을 중지한 역은 따로 유령역이라고 부른다.

2. 원인


대한민국에서는 첫 번째 예시가 많았다. 1970~80년대보통역으로 호황을 누리던 역이 고속버스자동차 같은 도로 교통의 발달로 이용객이 점점 줄어가면서 배치간이역으로, 또 무배치간이역으로, 최후에는 화물 취급이나 여객 취급 중단으로 이어지면서 방치되었다가 폐역이 되는 수순이다. 특히나 이러한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곳이 바로 경북선과 서부 경전선. 경북선은 임시승강장의 남발로 인한 폐역이 상당히 많은데 대부분 통학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역들이었다. 서부 경전선은 유독 화순군에서만 이런 일이 벌어졌는데, 수요 부족으로 무려 5개 역이 폐역되었다. 화순군 내 경전선 역인 도림 - 이양 - 입교 - 석정리 - 능주 - 만수 - 화순 - 앵남 중 이양역, 능주역, 화순역을 빼고 전부 폐역되었다. 폐역된 5개 역 모두 2000년대 기준으로 제대로 된 역 건물조차 없었다. 나머지 역들도 2025년 나주시로 선로가 이설되어 폐지될 예정이며,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연장이 논의되고 있다.

2010년대부터는 노선 이설로 인한 폐역이 많아지고 있다. 중앙선[1], 영동선[2], 동부 경전선, 동해선, 경춘선, 장항선이 이에 해당한다.

전쟁으로 인한 폐역은 경원선철원역, 월정리역[3]경의선장단역이 있다.

다만 1974년에 개통한 국내 최초의 전철 노선인 수도권 전철 1호선 이후로 전철역이나 지하철역이 폐역된 사례는 아직 없으며, 오히려 이미 없어진 폐역을 복원하거나 기존 폐역들을 광역전철 정차역으로 변경하면서 다시금 부활을 시키고 있다.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철도의 강대국인 일본이 오히려 폐역 사례가 늘고 있다.

3. 활용

안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선로와 전신주를 먼저 철거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역 건물을 철거하고 공터로 만든다.[4] 이 경우 역터에는 플랫폼이나 나무 정도가 남을 뿐이다.[5] 대부분 향나무측백나무 종류. 이를 철도 동호인들은 역목(驛木)이라고 부르며 역의 터를 짐작케 하는 수단이 된다. 이 역목들은 신기하게도 역이 철거된 후에도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 등이 아닌 이상 대부분 살아남는다. 심지어 폐선된 지 거의 한 세기가 다 되어가는 노선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것을 보면 동호인들이 괜히 이 나무들을 폐선 답사의 지표로 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만약 위 과정에서 운 좋게 살아남았다면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취소선 처리가 되어있는 역은 활용 중이다가 철거된 역이나, 혹은 활용되다가 어떠한 사유로 인해서 사용하지 않게 된 폐역이다.

4. 부활

5. 폐역이 아닌 경우

열차가 다니지 않거나 아예 선로가 철거되어도 전산상으로 무배치간이역 등으로 남아있는 경우. 대표적으로 수도권의 교외선 대정역, 원릉역, 삼릉역, 벽제역, 일영역, 장흥역, 온릉역, 송추역과 경남의 진해선 신창원역, 남창원역, 성주사역, 경화역, 진해역이 있다. 이런 역들은 일부 지도에서 폐역으로 오기되기도 한다[24]. 최소한 여객용 열차가 다니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은 폐역과 같으나, 간혹 화물열차가 선로를 운행하며, 출입 시 철도안전법에 저촉되는 전산상으로 존재하는 역들이라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6.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1] 동화역의 경우, 선로가 철거되지 않았다. 강릉선 고속열차가 다니기에 선로를 철거하면 그대로 강릉선 노선이 만종역에서 끊기기 때문. 또 반곡역은 근대문화유산이라 선로도 다른 역들에 비해 남아 있다. 다만, 원주역 방면으로는 곧 끊기고 신림역 방면으로는 조금 더 가다가 그대로 끊긴다. 신림역 방면 선로는 언덕이라서 끊긴 것이 보이지 않는다.[2] 솔안터널 개통으로 스위치백 구간에 있던 역들이 폐역되었다.[3] 복원 예정[4] 이 다음 과정은 대개 온비드 등을 통해 매각 절차를 밟는다.[5] 종종 가로등이나 화물취급소, 신호기 등이 남기도 한다. 정말 드물지만 인근의 철도관사가 남는 경우도 있다.[6] LPG충전소 직원의 창고로 쓰이다가 도로 확장으로 인해 철거[7] 수인선 재개통으로 구 역사 자리를 재매입하여 신 역사 준공[8] 소유주가 철거[9] 다만 미룡역의 경우 가정집을 임대하여 썼던 대매소였다.[10] 민영기업 철수 후 얼마 안가 철거되었다.[11] 농소1파출소의 임시 건물로 쓰이다가 현재는 철수하여 방치되어 있다.[12] 현재는 자율방범대 초소로 바뀜[13] 성시교회라는 이름으로 운영중이다.[14] 카페로 활용 중[15] '구자운의원'이라는 병원으로 쓰이다가 병원이 원래 위치로 이전하면서 2020년 철거[16] 청주MBC (현 MBC충북) 사옥으로 있다가 2006년 사옥이전 및 철거[17] 1969년에 現 광주역으로 이전하고 구 역사는 증축을 통해 1970년부터 광주소방서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現 광주 동부소방서로 바뀌었고, 2012년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쳤으나 아직도 광주역 구 역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8] 다만 송정역은 폐선을 이용해 바다열차로 이용하고 있다.[19] 원래는 보존될 예정이었으나, 교통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2015년에 철거되었다.[20] 서류상으로는 여전히 화물전용역으로 존치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화물 영업이 중단된 상태로 폐역이나 다름없어 리모델링을 거쳐 '장항도시탐험역'이라는 간판을 달고 관광자원으로 전환했다. 그후 2021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21]진삼선의 종착역이였으며, 복싱장으로 전환되었다. 2020년 이후 재건축으로 철거되었다.[22] 에어소프트 게임장으로 전환했다. 단, 서류상으로는 아직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중이다.[23] 토당토당 능곡마을 프로젝트 사업에 포함되어 2021년 상반기에 능곡1904 라는 이름으로 오픈하였다.[24] 카카오맵 기준 신창원역을 제외하면 모두 폐역으로 오기되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