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21:35:34

한겨레민주당

(창당) 한겨레민주당 (해산)
신한민주당
(개별 합류)[1]
평화민주당
(개별 합류)[2]
사회민주당
(개별 합류)[3]
민주당(1990년)
(개별 합류)[4]
통일민주당
(개별 합류)[5]
민주당(1991년)
(개별 합류)[6]
평화민주당
(개별 합류)[7]
<nopad> 파일:한겨레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겨레민주당
<colcolor=#FF7F50> 한문 명칭 <colbgcolor=#fff,#000>한겨레民主黨
슬로건 우리 모두가 주인인 한겨레민주당
새롭고 성실하게! 그리고 책임있게!
등록번호 제51호
등록연월일 1988년 4월 6일
말소연월일 1991년 3월 13일
(성립요건 흠결로 인한 등록취소)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길 34 (청진동 184-1, 삼송빌딩) (창당 당시)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38 (태평로2가 340, 대한일보빌딩 805호) (해산 당시)
상임대표위원 예춘호
대표위원 최병욱, 장을병, 조순형, 이강철, 제정구
국회의원
0석 / 299석 (0%)
당 색
주황색 (#FF7F50)
스펙트럼 중도 ~ 중도좌파
당원 수 9,780명[8]
국고보조금 70,799,910원
당비 수입 966,182,830원
1991년 3월 13일 기준
1. 개요2. 역사
2.1. 창당2.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2.3. 총선 이후
3. 역대 지도부4. 출신 인물5. 선거 결과
5.1. 국회의원 선거
6. 기타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한겨레민주당은 1988년 4월 6일부터 1991년 3월 13일까지 존속하였던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2. 역사

2.1. 창당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김대중 양김의 분열로 일부 의원들이 탈당했다. 결국 대선 결과 신군부 출신인 민주정의당노태우 후보가 당선되었고, 이에 조순형, 유인태, 제정구, 원혜영, 김부겸 등 재야 세력들과 지식인, 일부 탈당 의원들이 모여서 삼김의 지역할거 정치 및 민주정의당의 관권 정치에 저항하는 제3의 당을 구상했고, 그 산물이 한겨레민주당이었다.

1988년 2월 17일에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하였고, 3월 29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어 4월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당이 등록되었다.[9] 대표최고위원에는 예춘호가 선출되었다.[10] 창당대회에서 자주, 민주, 통일이 핵심을 이루는 10대 강령과 5대 기본 정책을 채택했다.

2.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창당 과정에서 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의 야권 통합 협상에 참여하였으나, 결국 실패로 끝나자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독자적으로 후보를 출마시켰다. 예춘호, 조순형, 원혜영, 장광근, 김부겸 등이 입후보하였고, 당시 통일 문제나 경제적 불평등의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당시 선거 대책 사무소를 취재한 자료가 있다. # 개별 후보자 외에 한겨레민주당 당 차원의 공보물도 보인다. 후보들의 공보물을 보면 각양각색으로 되어 있다.
파일:한겨레민주당 정당공보물.png
당시 정당 공보물

68명의 후보가 입후보했으나, 선거 결과 딱 1명 당선되어 겨우 등록 무효를 면하는 신세가 되었다. 당선자는 전라남도 신안군박형오인데, 사실 박형오 후보자는 이미 당선되면 평화민주당에 입당한다는 밀약을 했으며, 예정대로 제13대 국회 개원 직후인 6월 11일 평민당에 입당하여 한겨레민주당은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애초에 박형오는 親DJ 인물로, 그가 당선된 것도 자력이 아니라 순전히 평화민주당 한화갑 후보의 등록 무효로 인해[11] 대타로 출마했다. 평화민주당이 여당인 민주정의당에 대항하기 위해 대타로 밀어준 것이다.

그렇게 해서 신안군에서는 평화민주당 성향의 표가 한겨레민주당의 박형오에게 쏠려서 당선될 수 있었다. 만약 한겨레민주당이 전남 신안 선거구에 공천을 안 했더라면 민주정의당 김복수 후보가 무투표 당선될 뻔했다. 이뿐 아니라, 실제 선거 결과를 보면 박형오는 77.66%밖에 얻지 못했고, 민정당 김복수가 22.33%를 얻었다.[12] 만약 민정당의 김복수가 무투표 당선되었다면, 이것을 교두보 삼아 호남 공략에 나섰을지도 모를 일이다.[13]

전국구 득표율 또한 251,236표를 얻어 약1.3%의 득표율로 5위를 기록하면서 한 석의 전국구 의석도 얻지 못하였다. 다만 당시 주요 정당이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신민주공화당으로 4개나 있었음을 고려하면, 바로 아래에 있는 5위도 나름대로 선전했다고 볼 수도 있다.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 한국국민당 등은 아무리 저물어간다지만 과거 당세가 있던 원내정당이었는데, 모두 한겨레민주당에 밀리면서 당시 정당법에 따라 등록이 취소되었다.

2.3. 총선 이후

총선 참패로 인해 당은 흔들리기 시작했는데, 일단 예춘호 대표는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후 남은 인원들은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정치연합'('진보정치연합')과 '민중의 정당 건설을 위한 민주연합추진위원회'('민연추') 등에서 활동하며 재야 세력을 통합하여 정치활동을 하려고 했다. 진보정치연합에는 제정구, 최병욱, 이강철, 홍성표, 전대열, 고영하, 유인태, 김부겸, 원혜영, 장광근 등 한겨레민주당 인사들이 중앙위원으로 있었다.

그러나 민연추 측에서는 진보정당의 재건을 먼저 해야 한다고 했고, 한겨레민주당 측에서는 야권 통합을 먼저 해야 한다고 하면서 의견 차이를 보였다. 결국 통합은 무산되었고, 민연추 측은 따로 진보정당인 민중당을 창당한다.

이렇게 되자 기본적인 정당 활동조차 중지되었고, 남은 인사들이 탈당하면서 당은 와해해 갔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회계책임자이던 이수인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고, 나머지 인물 상당수는 꼬마민주당에 입당한다.

이렇게 껍데기만 남아 있던 한겨레민주당은 1990년 12월부터 지구당 수가 정당 존속 기준 아래로 내려갔고, 결국 이것이 원인이 되어 1991년 3월 13일, 등록된 지 2년 11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정당 등록이 말소되었다.[14] 당을 재건하려는 이들도 거의 없었는지, 당무 관계자가 당을 해체할 뜻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전달하였다고 한다.

3. 역대 지도부

파일:한겨레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위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임대표위원
예춘호
대표위원
최병욱 장을병 조순형 이강철 제정구
}}}}}}}}}}}}}}}

4. 출신 인물

5. 선거 결과

5.1. 국회의원 선거

<rowcolor=#fff> 연도 선거명 지역구
(비율)
전국구
(득표율)
총 의석
(비율)
1988년 13대 1 / 224
(0.45%)
0 / 75
(1.3%)
1 / 299
(0.33%)

6. 기타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등록취소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제1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48 ~ 199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 수립 이전
독립노농당 사회당 사회민주당 민주주의독립전선 민주독립당
와해 및 소멸 (6.25 전쟁)
진보당 민주혁신당
등록취소
혁신동지총연맹 사회대중당 혁신당 사회당
사회대중당 통일사회당*
강제해산 (5.16 군사정변)
대중당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10월 유신)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5.17 내란)
사회당 신정당 민주사회당
신정사회당
사회민주당
한겨레민주당 민중의 당
민중당
*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다수파가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셨으나 곧 해산됨.
노태우 정부 이후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2대 국회
원내 구성
''' 1985.5.13. ~ 1988.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48석
야당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103석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로고.svg
21석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석
무소속
1석
재적
276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0석
야당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석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22석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9석
무소속
29석
재적
27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3대 국회
원내 구성
''' 1988.5.30. ~ 1992.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25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석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5석
무소속
8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후반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18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민주당 1990년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2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4석
야당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64석
파일:통일국민당 심볼.svg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7석
파일:신정치개혁당 축약 로고 백색.svg
5석
무소속
15석
재적
285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파일:조순형 투명.svg조순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ddd> 일생 일생
논란 논란 및 사건사고
물은 셀프
가족 조부 조인원 · 아버지 조병옥 · 형 조윤형 · 아내 김금지
기타 조순형/여담 · 너 노사모지 · 한겨레민주당
}}}}}}}}} ||

[1] 예춘호 등.[2] 박형오, 이수인 등.[3] 장광근 등.[4] 김부겸, 원혜영, 유인태, 장광근, 조순형, 이강철, 최병욱, 고영하 등.[5] 조순형 등.[6] 제정구 등.[7] 박형오 등.[8] 등록 당시 당원 수는 1,035명이었다.[9] 당시 보도 영상이 있다. #[10] 당시 한겨레민주당 지도부 중에서 국회의원 경험이 있는 사람은 예춘호 대표(6~7, 10대/전직 국회의원)와 조순형 의원(11~12대/현직 국회의원) 정도였고, 나머지는 전부 재야에서 활동하던 사람들이었다.[11]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으로 인해 피선거권을 박탈당했는데 이게 아직도 사면 복권되지 않은 상태였다.[12] 전라남도김대중동교동계에 대한 지지가 매우 강한 곳이다. 특히 신안군은 김대중의 출생지이기도 하다.[13] 위 사례처럼 주요 정당 후보의 등록 무효로 인해 군소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사례로는 7회 지선 봉화군수 선거에서 엄태항의 당선, 22대 총선 세종시 갑 선거구에서 김종민이 당선된 일 등이 있다.[14] 사유는 지속적인 이탈로 인한 법정 지구당 수(전체 지역구의 1/5)에 미달. 이 규정은 2004년에 시도당 제도로 개편되면서 5개 이상의 시도당을 유지해야 존속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5] 한겨레민주당 창당 발기인 중 하나였으나,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한다.[16]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지 못했다.[17] 전술했듯이 평화민주당 등록 무효자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한겨레민주당에 들어왔고, 당선된 직후 평민당으로 복귀한다.[18] 꼬마민주당1노 3김의 정당이 아닌 제3지대에 가까운 정당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19] 이후 이들은 1995년 야권 분열 과정에서 흩어진다. 조순형, 원혜영 등은 새정치국민회의로, 제정구, 김부겸, 장광근 등은 통합민주당을 거쳐 한나라당으로 간다. 제정구는 1999년에 지병으로 별세하였고, 김부겸은 2003년에 한나라당을 탈당해 열린우리당 창당에 합류하면서 다시 민주당계 정당으로 돌아왔다.[20] 정태윤, 이재오, 박형준, 이우재, 김문수, 차명진, 임해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