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21:12:23

신정치개혁당

민주당신정치개혁당신민당
파일:신정치개혁당 초기 로고.svg
파일:신정치개혁당 축약 로고.svg
14대 총선 당시 로고
파일:신정치개혁당 로고.svg
14대 대선 당시 로고
신정치개혁당
공식명칭<colbgcolor=#FFF,#1F2023>신정치개혁당 (新政治改革黨)
약칭신정당 (新政黨)
영문명New Political Reform Party
창당일1992년 2월 25일 (민주당에서 분당)
해산일1994년 7월 8일 (신민당으로 신설합당)
선행조직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이념자유보수주의
자유민주주의
보수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길 7 (여의도동 44-73, 충무빌딩)
당 색초기
파란색 (#101299)
후기
청록색 (#317873)

1. 개요2. 상세3. 역대 대표4. 역대 선거 결과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신정치개혁당 창당식.png
▲ 신정치개혁당 창당식에서 당기를 흔드는 박찬종 대표의 모습 (1992.2.25)

1992년 2월 박찬종이 창당한 사실상 최초의 1인 중심 정당.[1] 약칭은 신정당.

2. 상세

박찬종은 1990년 1월의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 등의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던 당시, 통일민주당 소속이었으면서도 당 총재인 김영삼의 합당노선에 반발하여 통일민주당 탈당 후 꼬마민주당에 입당하였다.

박찬종은 뒤이어 꼬마민주당이기택 중심으로 운영되는 데 반발하여 꼬마민주당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활동하였다. 박찬종은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1992년 2월 기성 정치권과 관계가 없는 정치 지망생들을 끌어모아 박찬종계를 형성하고 신정치개혁당을 창당하였다. 박찬종은 당연히 신정당의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리고 1992년 3월에 실시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정당은 총 11명의 지역구 후보자를 입후보시켰으나 서초구 갑에 출마했던 박찬종 본인을 제외한 김옥선 등 다른 후보들은 모두 낙선하였다.[2] 이후 박찬종은 1992년 5월부터 신정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것을 선언하고, 노상 토론회와 거리 유세 등을 실시하며 20∼30대의 젊은 유권자들을 파고들었다.

그리고 이어진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찬종은 김영삼·김대중·정주영 등의 노인 정치인들[3]에 혐오감을 가진 젊은 층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1백50만 표를 넘는 표(득표율로는 6.4%로 4위)를 획득하는 성공을 거두었다.

이때부터 박찬종은 3김시대가 끝나고 나면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가 될 정치인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성과를 근거로 박찬종은 활발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신정당은 태생부터가 박찬종 1인에 의존하는 정당이어서 정당으로서의 체제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단지 명맥만 유지할 뿐이었다. 이에 박찬종은 제14대 대통령 선거 이후 김영삼 정부에 의한 정치 보복으로 인하여 와해되어가던[4] 통일국민당 대표 김동길과 합당교섭을 전개하여 1994년 5월 두 당을 합당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한 합의에 따라 1994년 7월 신정치개혁당과 통일국민당은 통합전당대회를 개최하고 신민당이라는 새로운 정당을 창당함으로써 신정당은 소멸되었다.

여러모로 2007년 창조한국당과 유사한 점이 많았던 정당.[5]

3. 역대 대표

파일:신정치개혁당 초기 로고 백색.svg
파일:신정치개혁당 로고 흰색.svg

대표
초대
박찬종
민주당(1990년) 총재 신민당(1994년) 총재 및 대표

4. 역대 선거 결과

5.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제5공화국 이전
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민주당에서 분당
민주자유당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 새한국당 신정치개혁당
신민당
민주당에 합당 신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민주당※ 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 국민신당
한나라당
* 3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한나라당 창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민주당계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3당 합당 민주당에서 분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새한당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 새한국당 통일국민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신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당에 합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에서 분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에서 분당 무당파국민연합 무정파전국연합
정당등록취소 신한국당으로 합류
국민신당 한나라당에서 분당 자유민주연합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새천년민주당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으로 합류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의 정부 이후
}}}}}}}}} ||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정당 해산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파일:1px 투명.svg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3대 국회
원내 구성
''' 1988.5.30. ~ 1992.5.2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25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석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5석
무소속
8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후반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18석
야당
파일:평화민주당 로고.svg
71석
파일:민주당 1990년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2석
재적
299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4석
야당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64석
파일:통일국민당 심볼.svg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7석
파일:신정치개혁당 축약 로고 백색.svg
5석
무소속
15석
재적
285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위의 대선 당시 로고를 보면 알겠지만, 실제로 박찬종의 이름 마지막 글자가 바로 그 (鍾)이다.[2] 이는 박찬종을 제외한 타 인물의 인지도가 그리 높지 않은 데다가 당시 돌풍을 일으킨 통일국민당보다 자금력도 후달렸고, 무엇보다 결정적으로 당시 국회의원 선거 제도가 지금처럼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를 따로 뽑는 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결국 김옥선은 탈당 후 대선에 무소속 출마한다.[3] 당시만 해도 박찬종의 나이는 겨우 54세. 김영삼과 김대중은 이미 회갑을 넘겨 칠순을 바라보고 있었고 정주영은 팔순을 바라보는 노인이었다.[4] 특히 이 시절에는 전국구 의원이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는 법안도 없었기 때문에 민주자유당으로 넘어가는 인사들이 제법 많았다. 1993년 8월이 되어서야 전국구 의원 탈당시 의원직 상실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된다.[5] 두 정당 모두 1인 중심 정당이었으며 대선에서의 성적도 서로 비슷하다. 심지어 계파갈등까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