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0:19:05

한마음혈액원

파일:한마음logo.png
1. 개요2. 헌혈카페
2.1. 서울특별시2.2. 경기도2.3. 인천광역시2.4. 대전광역시2.5. 운영 종료 지점
3. 지정헌혈4. 조혈모세포 기증5. 기념품
5.1. 다회헌혈자 기념카드(~2017.04.30)5.2. 다회헌혈자 기념품(2017.05.01~)5.3. 다회헌혈자 기념품(2019.06.01~)5.4. 다회헌혈자 기념품(2021.04.01~)5.5. 다회헌혈자 기념품(2023.02.01~)
6. 관련 문서

1. 개요

공식 웹사이트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전자문진

직장 건강검진을 담당하는 대한산업보건협회가 설립하여 운영하는 혈액원.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예하에 있지 않고 독립된 민간 혈액원으로서 적십자사 혈액원에 비해 규모가 작다. 2002년 5월 보건복지부 승인을 받아 설립되었다. 혈액원 본원은 원래 경기도 과천시에 있었다가 2021년에 지금의 본원인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공단 지역 내에 이전하였으며, 수도권 각지와 대전에 헌혈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2. 헌혈카페

공식 웹사이트에서 입점한 지역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헌혈 종류나 절차 등은 헌혈의 집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헌혈 기록은 통합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이곳 헌혈카페에서 헌혈해도 적십자사 웹사이트에서 헌혈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한마음혈액원이 경기 남부에 있기 때문에, 헌혈카페도 경기 남부와 가까운 수도권과 대전 지역에만 있다.[1] 수도권 시군구 중 헌혈의 집이 없었던 광주시, 이천시 등에 헌혈카페가 생겨서, 헌혈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이 보다 넓어졌다. 다만 시흥시는 도시 구조상 헌혈카페 배곧점에 가는 것보다 헌혈의 집 부천센터가 더 가까운 지역도 있다.

초창기 "헌혈카페 예그리나"라는 이름을 쓰기도 했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이 예그리나 명칭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022년부로 신림점에만 그 흔적이 남아있다.

장소에 따라 전혈, 전혈 + 혈장만 가능하거나 혈소판 헌혈 장비[2] 중 빠져있는 것이 있는 경우가 있는 헌혈의 집과 다르게 전혈, 혈장, 혈소판이 어느 지점에서든 모두 가능하며 혈소판 장비도 어느 지점이나 3종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2023년 6월부터, 주말/공휴일 한정으로 운영 시간이 2시간 앞당겨져, 11시~20시에서 09시~18시로 변경된다.

헌혈카페가 있는 지역과 개수 (2024.12. 기준 총 20개소)

2.1. 서울특별시

<rowcolor=white> 지점명 (5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미아사거리 강북구 도봉로 45, 3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미아사거리역 2013년 06월[3]
신림 관악구 신림로 321, 동진빌딩 4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역 2008년 03월[4]
청량리 동대문구 왕산로 205, 동광빌딩 4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청량리역 2011년 01월[5]
홍대 마포구 양화로 176, Y'Z Park 5층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홍대입구역 2008년 04월[6]
구파발 은평구 진관 2로 15-46 메트로프라자 2층 파일:Seoulmetro3_icon.svg 구파발역 2018년 12월[7]

2.2. 경기도

<rowcolor=white> 지점명 (13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화정 고양시 덕양구 화신로 272번길 58, 영프라자 5층 파일:Seoulmetro3_icon.svg 화정역 2013년 11월[8]
광주 광주시 중앙로 95-11. 성환빌딩 B동 4층 파일:광주시 CI.svg 광주종합터미널 2018년 05월[9]
군포(본원) 군포시 산본로48번길 8 3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군포역[10] 2021년 12월[11]
신사옥 이전
역곡 부천시 경인로 511, 유림빌딩 3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역곡역 2011년 12월[12]
미금 성남시 분당구 돌마로 73, 우방코아 3층 파일:SBLine_icon.svg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미금역 2011년 09월[13]
신흥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249, 서라벌빌딩 5층 파일:Seoulmetro8_icon.svg 신흥역 2016년 02월[14]
영통 수원시 영통구 청명남로 21. 아셈프라자 2층 파일:SBLine_icon.svg 영통역 2015년 12월[15]
수원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 3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수원역 2010년 10월[16]
2021년 03월
확장 이전
시흥배곧 시흥시 배곧3로 96. M-플러스빌딩 2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오이도역[17] 2020년 11월[18]
안산 안산시 단원구 고잔2길 59, 신세기빌딩 2층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중앙역 2009년 05월[19]
2011년 03월
이전 개소
의정부 의정부시 오목로 205번길 55. 민락메가타워 3층 파일:ULine_icon.svg 어룡역[20] 2017년 11월[21]
이천 이천시 중리천로 58. 랜드마크 2층 파일:이천시 CI.svg 이천종합버스터미널 2019년 05월[22]
미사 하남시 미사강변동로 95. 힐스테이트 미사역 그랑파샤쥬 2층. 2026~2027호 파일:Seoulmetro5_icon.svg 미사역 2021년 08월[23]

2.3. 인천광역시

<rowcolor=white> 지점명 (1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인천논현 남동구 청능대로 583(논현동), 중앙프라자 3층 파일:SBLine_icon.svg 인천논현역 2020년 03월[24]

2.4. 대전광역시

<rowcolor=white> 지점명 (1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관저 서구 관저로 142. 2층 파일:충청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가수원역[25] 2022년 12월[26]

2.5. 운영 종료 지점

서울에 있던 헌혈카페를 닫고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의 헌혈 음영 지역으로 이전 개소하는 형태이다. 때문에 서울에서는 헌혈카페를 찾기 힘들어졌다.
서울특별시
<rowcolor=white> 지점명 (9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 폐소
한양대[27] 성동구 왕십리로 222 인근 추정[28] 파일:Seoulmetro2_icon.svg 한양대역 추정 2003년 03월[29]
미상#[30]
대방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2길 4, 신한빌딩 3층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대방역 2008년 03월[31]
2012년 하반기
센트럴시티 서초구 신반포로 176, 강남고속터미널 호남선 대합실 중1층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고속터미널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센트럴시티
2008년 04월[32]
2015년 12월
명동 중구 명동길 38, 6층
방배점으로 이전 개소
파일:Seoulmetro4_icon.svg 명동역 2008년 11월[33]
2016년 09월
대학로 종로구 대학로 136, 2층
광주점으로 이전 개소[34]
파일:Seoulmetro4_icon.svg 혜화역 2008년 10월[35]
2018년 05월
종로 종로구 종로 70-1 2층
이천점으로 이전 개소
파일:Seoulmetro1_icon.svg 종각역 2009년 10월[36]
2019년 04월
구로 구로구 시흥대로 563, 2층
인천논현점으로 이전 개소
파일:Seoulmetro2_icon.svg 구로디지털단지역 2009년 10월[37]
2020년 02월
신천 송파구 올림픽로 116, 메디시티 지하1층
시흥배곧점으로 이전 개소
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새내역 2010년 10월[38]
2020년 10월
방배 서초구 방배로 81 유경빌딩 5층
미사점으로 이전 개소
파일:Seoulmetro2_icon.svg 방배역 2016년 10월[39]
2021년 07월
경기도
<rowcolor=white> 지점명 (1개) 주소 연계교통 개소 / 폐소
송내 부천시 소사구 송내대로 39
송내점 운영 종료 안내[40]
파일:Seoulmetro1_icon.svg 송내역 2012년 11월[41]
2023년 02월

3. 지정헌혈

모든 병원에 지정헌혈이 가능한 헌혈의 집과는 다르게 헌혈카페수도권 일부 병원만 지정헌혈이 가능하다.

헌혈카페 지정헌혈 병원 목록 (2025.1. 기준 총 64개소)
서울특별시 (29개)
<rowcolor=white> 병원명 주소 연계교통 비고
삼성서울 강남구 일원로 81 파일:Seoulmetro3_icon.svg 일원역, 대청역 삼성서울병원
강동경희대 강동구 동남로 892 파일:Seoulmetro5_icon.svg 고덕역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 강동성심 강동구 성안로 150 파일:Seoulmetro5_icon.svg 강동역, 길동역 강동성심병원
강서힘찬 강서구 강서로56길 38 파일:Seoulmetro5_icon.svg 발산역
이화의대 서울 강서구 공항대로 260 파일:Seoulmetro5_icon.svg 발산역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척편한 관악구 신림로 318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역
건국대 광진구 능동로 120-1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건대입구역 건국대학교병원
혜민 광진구 자양로 85 파일:Seoulmetro2_icon.svg 구의역 혜민병원
고대구로 구로구 구로동로 148 파일:Seoulmetro7_icon.svg 남구로역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희명 금천구 시흥대로 244 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천구청역
강북힘찬 도봉구 도봉로 446 파일:Seoulmetro4_icon.svg 쌍문역
경희의료원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회기역 경희의료원
연세의료원(신촌세브란스) 서대문구 연세로 50-1 파일:GJLine_icon.svg 신촌역 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 서초구 반포대로 222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고속터미널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센트럴시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강남연세사랑 서초구 효령로 10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사당역
고대안암 성북구 고려대로 73 파일:Seoulmetro6_icon.svg 안암역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강남힘찬 송파구 백제고분로 407 파일:Seoulmetro8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석촌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송파나루역
서울아산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파일:Seoulmetro2_icon.svg 잠실나루역
파일:Seoulmetro8_icon.svg 강동구청역
서울아산병원
목동힘찬 양천구 신목로 120 파일:Seoulmetro5_icon.svg 오목교역
이화의대 목동 양천구 안양천로 1071 파일:Seoulmetro9_icon.svg 신목동역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영등포구 63로 10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샛강역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한림대학교 한강성심 영등포구 버드나루로7길 12 파일:Seoulmetro5_icon.svg 영등포시장역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신관) 영등포구 시흥대로 665 파일:SinansanLine_icon.svg 대림삼거리역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 영등포구 신길로 1 파일:SinansanLine_icon.svg 대림삼거리역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신길성애 영등포구 여의대방로53길 22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대방역 성애병원
최원호 은평구 서오릉로 45 파일:Seoulmetro6_icon.svg 역촌역
본서부 은평구 은평로 133 파일:Seoulmetro6_icon.svg 역촌역, 응암역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 은평구 통일로 1021 파일:Seoulmetro3_icon.svg 구파발역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서울대 종로구 대학로 101 파일:Seoulmetro4_icon.svg 혜화역 서울대학교병원
경기도 (30개)
<rowcolor=white> 병원명 주소 연계교통 비고
명지(화정) 고양시 덕양구 화수로14번길 55 파일:Seoulmetro3_icon.svg 화정역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국립암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파일:Seoulmetro3_icon.svg 정발산역 국립암센터
일산21세기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59 파일:Seoulmetro3_icon.svg 백석역
인제대학교 일산백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역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광명21세기 광명시 광명로 963 파일:Seoulmetro7_icon.svg 광명사거리역
광명성애 광명시 디지털로 36 파일:Seoulmetro7_icon.svg 철산역 광명성애병원
더플러스(경기도 광주) 광주시 경안로 40 파일:광주시 CI.svg 광주종합터미널
참조은(경기도 광주) 광주시 광주대로 45 파일:광주시 CI.svg 광주종합터미널 참조은병원
한양의대 구리 구리시 경춘로 153 파일:GJLine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구리역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지샘(효산의료재단) 군포시 군포로 591 파일:Seoulmetro1_icon.svg 군포역
원광대 산본 군포시 산본로 327 파일:Seoulmetro4_icon.svg 산본역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김포우리(우리의료재단) 김포시 감암로 11 파일:GoldLine_icon.svg 걸포북변역 김포우리병원
부천세종(혜원의료재단) 부천시 소사구 호현로489번길 28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소사역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327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소사역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연세본사랑(전 부천연세사랑) 부천시 원미구 장말로 376 파일:Seoulmetro1_icon.svg 부천역
아주대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아주대학교병원
센트럴(시화) 시흥시 공단1대로 237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정왕역
시화(남촌의료재단) 시흥시 군자천로 381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정왕역 시화병원
일어나 시흥시 황고개로 472
안산21세기 안산시 단원구 보화로 50
고대안산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3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고잔역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한림대학교 평촌성심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170번길 22 파일:Seoulmetro4_icon.svg 평촌역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샘안양(효산의료재단) 안양시 만안구 삼덕로 9 파일:Seoulmetro1_icon.svg 안양역
국제나은(안양)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223번길 5 파일:Seoulmetro1_icon.svg 안양역
용인세브란스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363 파일:EverLine_icon.svg 동백역 용인세브란스병원
용인명주 용인시 처인구 금령로39번길 8-6 파일:EverLine_icon.svg 김량장역
의정부 을지대 의정부시 동일로 712 파일:Seoulmetro1_icon.svg 가능역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 의정부시 천보로 271 파일:ULine_icon.svg 효자역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동탄시티 화성시 동탄지성로 113
한림대학교 동탄성심 화성시 큰재봉길 7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인천광역시 (5개)
<rowcolor=white> 병원명 주소 연계교통 비고
가천의대 길 남동구 남동대로774번길 21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예술회관역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석천사거리역
가천대 길병원
인천힘찬종합 남동구 논현로 72 파일:SBLine_icon.svg 인천논현역, 호구포역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 부평구 동수로 56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부평역
파일:Incheonmetro1_icon.svg 동수역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부평힘찬 부평구 장제로 78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부평역
국제성모 서구 심곡로100번길 25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서구청역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4. 조혈모세포 기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혈모세포 기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마음혈액원에서는 헌혈 사업 외에도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자 접수를 받고 있다. 조혈모세포 기증희망자 등록 가능 헌혈카페 지점은 아래와 같다. 한마음혈액원 조혈모세포 기증 안내

5. 기념품

적십자 헌혈의 집에서는 지역 혈액원에 따라 기념품이 다르나, 한마음혈액원은 모든 지점이 같은 혈액원 산하에 있어 어디를 가나 기념품이 비슷하다. 헌혈카페에서는 다종 헌혈자도 영화 예매권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42] 또한 다양한 기념품 이벤트를 벌인다. 헌혈의집에서는 5,000원 상당의 기념품 한 가지와 3,500원 상당의 기념품 한 가지를 주는게 일반적이나, 헌혈카페는 거의 항상 이벤트를 해서 5,000원 상당의 기념품을 두 개 받을수 있었으나,[43] 2024년 3월 18일 이후로 다종 헌혈자를 제외한 헌혈자들은 기념품 1개를 지급 받는다. 링크

5.1. 다회헌혈자 기념카드(~2017.04.30)

파일:external/www.bloodnet.or.kr/2014101122022589.jpg

대한적십자사헌혈유공장과 같이 헌혈 30회에 동, 헌혈 50회에 은, 헌혈 100회에 금으로 된 기념카드를 증정한다. 헌혈유공장과 다르게 오직 헌혈카페에서 헌혈한 횟수로 수여한다. 2017년 5월 1일을 기점으로 다른 기념품으로 교체되었다.

5.2. 다회헌혈자 기념품(2017.05.01~)

30회의 경우는 핸드폰 보조배터리, 50회의 경우 시계가 달린 기념패, 100회의 경우 헌혈자의 실사 사진을 이용하여 만든 3D 피규어(흡사 트로피의 모양을 하고 있다)를 준다. 바뀐 이유는 (직접 헌혈카페 소속 간호사에게 물어본 바에 의하면) 기념카드가 단순히 장식용에 불과하고 실용성이 없다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기념카드가 사라져서 아쉽다는 의견도 있다.

5.3. 다회헌혈자 기념품(2019.06.01~)

동장, 은장, 금장 상장이 생겼다.

5.4. 다회헌혈자 기념품(2021.04.01~)

링크

100회 금장 기념카드가 부활했다.

한마음 혈액원 문의 결과 이미 100회를 넘긴 사람은 자기가 비용부담을 하더라도 금 카드 발급은 어렵다고 한다.

5.5. 다회헌혈자 기념품(2023.02.01~)

링크
다회헌혈자 기념품의 종류가 다양화와 15회~300회를 7구간으로 한 변경이 23년 2월 1일자로 적용되었다.
15회, 25회, 50회에 유공패와 유공장이 수여되며, 70회, 100회, 200회, 300회에 유공패·유공장·기념품이 수여된다.

파일:한마음 유공패.png
파일:한마음혈액원 유공패.jpg

6. 관련 문서



[1] 이와 달리 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산하에는 전국 각지에 15개의 개별 혈액원이 있다.[2] 트리마, 아미커스, 엠플. 주로 아미커스가 빠져있다.[3] 16호점[4] 1호점[5] 12호점[6] 3호점[7] 23호점[8] 17호점[9] 22호점[10] 군포역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24분이 소요되므로 버스자가용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11] 28호점[12] 14호점[13] 13호점[14] 19호점[15] 18호점[16] 10호점[17] 오이도역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27분이 소요되므로 버스자가용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18] 26호점[19] 8호점[20] 어룡역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21분이 소요되므로 버스자가용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21] 21호점[22] 24호점[23] 27호점[24] 25호점[25] 2027년 개통 예정이고, 개통 이후로도 가수원역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36분이 소요되므로 버스자가용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26] 29호점[27] 폐소된 다른 지점들과는 다르게 한양대점은 한마음혈액원 주요 연혁 외에 어떠한 자료도 찾을 수 없다.[28] 헌혈카페는 근처 역명이나 지역명을 사용하므로 한양대학교 내부나 인근에 개소된 것으로 추정되며, 자료가 없는 점을 감안하면 팝업스토어 형식으로 단기간 운영했다고 추정된다.[29] 0호점. 한마음혈액원은 신림점을 1호점으로 설명하고 있기에 한양대점은 공식 지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30] 1호점인 신림점이 2008년 03월에 개소하였기에, 그 이전에 폐소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양대점에 대한 어떠한 자료도 찾을 수 없기에 개소 이후 빠르게 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31] 2호점[32] 4호점[33] 6호점[34] 공지에는 광주점 언급이 없지만 광주점이 대학로점 운영 종료와 같은 시기인 2018년 05월에 문을 열었다.[35] 5호점[36] 7호점[37] 9호점[38] 11호점[39] 20호점[40] 별도의 이전 개소 안내문은 없었으나, 대전 관저점이 생기면서 문을 닫은 것으로 추정된다.[41] 15호점[42]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중 택1. 다종 헌혈자의 경우 2장 가능.[43] 혈장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