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7:01:13

호주 오픈

호주오픈에서 넘어옴
테니스 그랜드 슬램
파일:Australian_Open_logo_PNG1.png 파일:프랑스 오픈 로고.svg 파일:윔블던 로고.svg 파일:US 오픈 로고.svg

호주 오픈
Australian Open (AO)
파일:Australian_Open_logo_PNG1.png
<colbgcolor=#1991d0><colcolor=#fff> 창설 연도 1905년
개최지 호주 멜버른 멜버른 파크
코트 하드 / 야외
총 상금 A$86,500,000[1]
타임키퍼 롤렉스
최근 남자 단식 챔피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닉 시너[2024]
최근 여자 단식 챔피언 아리나 사바렌카[2024][4]
최다 남자 단식 챔피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10회)
최다 여자 단식 챔피언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7회)[5]
공식 홈페이지 파일:Australian_Open_logo_PNG1.png
공식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경기장4. 대회 특징5. 주요 기록
5.1. 남자 단식5.2. 여자 단식5.3. 한국인 선수 최고 기록
6. 상금 규모7. 역대 결승전
7.1. 남자 단식7.2. 여자 단식
8. 대한민국 선수 출전기록
8.1. 남자 단식8.2. 여자 단식
9. 기타

[Clearfix]

1. 개요

매년 1월 중순 호주 멜버른에서 열리는 테니스 대회로 시즌 첫 번째 그랜드 슬램이다. 따라서 대회가 열리는 남반구 기준으로 한여름에 진행되며, 야외 하드 코트 대회이고 남녀 단식, 남녀 복식, 혼합 복식, 주니어 및 시니어, 휠체어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14~15일[6]에 걸쳐 진행되며, 국경일인 1월 26일 호주의 날(Australia Day)이 대회 둘째 주에 포함되도록 하여 대회 기간을 정한다. 약칭은 AO이다.[7]

2. 역사

호주테니스협회(당시 Lawn Tennis Assosication of Australia, 현 Tennis Australia)의 주최 하에 1905년에 처음 치러졌으며,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1922년에 여성 테니스 선수들까지 참가 범위가 확대되었고 1924년 들어 메이저 챔피언십 자격을 얻었다. 초창기에는 멜버른 뿐 아니라 호주와 뉴질랜드의 여러 도시들에서 개최된 바 있다. 1916년부터 1918년까지는 1차 대전,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2차 대전으로 대회가 중단되었던 적 있지만 그 후로 지금까지 대회가 중단된 적은 없다. 1969년부터 프로 선수들의 참여를 허용하였고[오픈시대], 1972년들어 대회 개최 도시를 멜버른으로 확정하는 등 세부적인 규정이 확립되었다.

대회 첫 해부터 1987년까지는 잔디 코트 대회였지만, 1988년부터 메인 경기장을 멜버른 파크로 옮기면서 하드 코트 대회로 바뀌었다. 구체적으로 1988년부터 2007년까지는 리바운드 에이스(Rebound Ace) 코트, 2008년부터 2019년까지는 플렉시쿠션 프리스티지(Plexicushion prestige) 코트를 사용하였으며, 2020년부터는 그린셋(GreenSet) 코트를 사용하고 있다. 코트 제작사에 따라 코트 스피드 및 공이 바운스되는 정도 등에 있어 조금씩 차이가 있다.

대회 개최 시기에 있어서도 다소 변동이 있었는데, 초창기에는 1월에 하다가, 8월로 옮긴 적도 있고, 1977년부터 1985년 사이에는 12월에 개최했다.[9] 그러다 다시 1월로 복귀시키기로 결정하면서 1986년을 건너뛰고 1987년부터 1월 개최로 돌아왔다. 그로 인해 1977년에는 호주 오픈이 1월과 12월에 두 번 열리게 되었으며, 반대로 1986년의 경우, 1985년(12월) 대회 후 1달 만에 대회를 진행할 수는 없기에 1년의 간격을 두고 1987년 1월에 다음 대회가 개최되었다. 그후로 지금까지 쭉 1월 중순에 진행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국경일(호주의 날, Australia Day)인 1월 26일이 대회 둘째 주에 포함되도록 하여 대회 기간을 정한다. 다만 선수 입장에서는 크리스마스 연휴와 연말연시가 지나자마자 그랜드 슬램 대회를 치르게 되므로[10] 선수들이 최상의 컨디션을 찾을 수 있도록 개최 시기를 조금 미루는 게 어떻냐는 선수·팬들의 의견도 있다.

1990년대 이전까지는 유명 선수들이 출전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에 비해 역사가 짧은데다 상금도 적고, 호주까지의 거리도 먼 데다[11], 1월 호주의 폭염으로 인해 컨디션 조절도 어렵기 때문이다. 즉, 참가를 위해 상당한 리스크와 체력 소모를 감수해야 했기 때문에 아무리 메이저 대회라고 해도 선호도가 다소 떨어졌다. 대표적으로 비외른 보리[12]는 '프로 테니스 선수도 사람인데 연말과 연초에는 좀 쉬면서 인생을 즐겨야 한다'며 호주 오픈에는 커리어를 통틀어 단 한 번(1974년) 출전했으며, 당시 라이벌이었던 지미 코너스도 두 번(1974년과 1975년)만 참가했다. 80년대 선수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존 매켄로가 총 5번 참가에 그쳤다. 이런 이유로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에 비해 경쟁이 덜한 대회였던지라 역대 최고령 그랜드 슬램 남자 단식 우승 기록(1972년 켄 로즈웰, 당시 만 37세 2개월)을 호주 오픈이 가지고 있다.

그래도 1990년대 들어서부터는 이러한 불참 추세가 수그러들고 탑 랭커들 대부분이 부상 등의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꼬박꼬박 참가하고 있다. 새로운 시즌을 시작하며 열리는 첫 그랜드 슬램인지라, 당해 테니스계의 판도를 파악하는 기준점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과는 상당한 간격이 있는 편이라[13] 예전에는 일찍이 페이스를 끌어올린 호주 오픈 우승자가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는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빅3(페더러·나달·조코비치)에게는 그런 거 없다.[14] 참고로 2004년부터 2023년까지 20년 동안 빅3가 아닌 선수가 호주 오픈 우승을 차지한 것은 단 두 번(2005년, 2014년) 뿐이다.

4대 그랜드 슬램을 통틀어 역대 결승 경기 최장 시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바로 노박 조코비치라파엘 나달의 2012 호주 오픈 결승전으로, 호주 오픈 사상 최고의 명경기로 꼽힌다. 공식적인 총 경기 시간은 5시간 53분으로, 종전 기록(1988년 US 오픈 결승전, 4시간 54분)보다 무려 1시간을 경신했다. 6시간 가까이 진행된 혈투 끝에 조코비치가 우승을 차지했는데, 경기 종료 후 폐막식·시상식 동안 두 선수 모두 다리가 후들거려 제대로 서있지 못하자, 주최 측에서 이례적으로 의자와 물 한 병씩을 가져다 줘 둘이 나란히 앉아 폐막 연설을 듣기도 했다.[15]

3. 경기장

호주 오픈은 호주에서 개최되는 가장 큰 정기 스포츠 행사 중 하나이다. 특히 1월 중순, 호주의 여름 휴가 시즌에 개최되기 때문에 가족 단위의 방문객들이 매우 많은 편이고 관광객들의 필수 체크 코스로 통하기도 한다.
파일:72210-1-1170x630.jpg
호주 오픈이 개최되는
멜버른 파크

대회가 열리는 멜버른 파크는 야라 강(Yarra River) 옆으로 위치해 있어 경치도 좋고, 최신식 시설과 자연친화적인 설계를 자랑하고 있기 때문에 놀러 와도 후회하지 않을 만하다.
파일:FOS-22-8.10-Australian-Open.jpg
메인 코트로 사용되는
로드 레이버 아레나 (Rod Laver Arena)

대회의 메인 코트로는 로드 레이버 아레나[16]와 함께 존 케인 아레나(John Cain Arena)마가렛 코트 아레나(Margaret Court Arena)가 있다. 최대 수용 인원은 차례대로 14,820명 / 10,300명 / 7,500명이며, 이 세 개 메인 코트에는 우천이나 폭염 등 기상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어 있다.[17] 그 외에도 멜버른 파크는 최대 3000~5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3개의 쇼 코트(Show Court)[18]를 포함해 총 33개의 하드 코트를 갖추고 있다.[19]

4. 대회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대회 진행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그랜드 슬램(테니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회가 치러지는 1월은 남반구 기준으로 한여름이라서, 폭염과 높은 습도로 인해 애를 먹는 선수들이 많다. 더위 때문에 체력 안배가 힘들어 중간에 기권하거나 경기중 일사병으로 쓰러지는 선수가 간혹 나오기도 한다. 2014년 대회 때는 30도가 넘는 폭염으로 인해 1라운드에서만 무려 9명의 선수가 기권하며 한 라운드에서의 최다 기권으로 2011년 US 오픈과 동률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호주 오픈 주최측은 기온 및 습도가 위험 수준까지 상승하는 경우 '폭염 시 특별 규정(extreme heat policy)'을 적용하여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헤 노력 중이다.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와 달리, 대회 주최 측이 가지는 본선 와일드카드 8장 중 일정 부분을 특정 방식으로 배정한다. 2025년 기준, 호주에서 열리는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아시아-태평양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 부문별 우승자(복식의 경우 우승팀)에게 한 장씩 배부된다. 그리고 프랑스 테니스협회와 미국 테니스협회가 각각 선정한 선수 1명씩 와일드 카드 2장을 부여하며[20], 나머지는 호주 테니스협회가 내부적으로 고른다. 대회 주최국에서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건 종종 있는 일이지만 아시아-태평양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는 상당히 특징적이다. [* 참고로 권순우가 2018년 호주 오픈 아시아-태평양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여 남자 단식 본선에 참가하였다. 2020년 호주 오픈 아시아-태평양 와일드카드 플레이오프에서는 한나래가 여자 단식 부문을 우승하고#, 남지성/송민규가 남자 복식 부문을 우승하여# 각각 본선 와일드카드를 받았다. ]

2019년 대회부터 최종 세트(남자 단식 5세트, 나머지 부문 3세트)에서 게임스코어 6:6이 되면 10점 선취 타이브레이크('슈퍼 타이브레이크')로 승패를 가리는 방식을 도입했다. # 이는 2022년부터 모든 그랜드슬램 대회에 적용되는 경기 진행 표준이 되었다.

2021년부터는 선심(line judges) 없이 호크아이를 이용한 자동 라인 판정(Electronic Line Calling, ELC)을 사용하고 있다. 즉, 경기 도중 들리는 폴트 및 아웃콜은 녹음된 음성이다.

5. 주요 기록

5.1. 남자 단식

<rowcolor=#fff><colcolor=#fff> 기록 성명 횟수
<colbgcolor=#1991d0> 최다 우승 노박 조코비치 10회[21]
최다 결승 진출 노박 조코비치 10회[22]
최다 4강 진출 로저 페더러 15회[23]
최다 본선 승리 로저 페더러 102승[24]

5.2. 여자 단식

<rowcolor=#fff><colcolor=#fff> 기록 성명 횟수
<colbgcolor=#1991d0> 최다 우승 세레나 윌리엄스 7회[25][26]
최다 결승 진출 8회[27] [28]
최다 4강 진출 9회[29]
최다 본선 승리 92승

5.3. 한국인 선수 최고 기록

주니어 부문에서 한국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둔 바 있다. 1995년 주니어 남자 단식에서 이종민, 2005년 주니어 남자 단식에서 김선용, 2015년 주니어 남자 단식 부분에서 홍성찬 선수가 준우승을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2018년 대회에서 정현남자 단식 본선 4강에 진출하면서 호주 오픈에 출전한 역대 한국 선수 중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그 과정에서 당시 랭킹 4위 알렉산더 즈베레프를 3-2, 역대 호주 오픈 최다(당시 6회) 우승자 노박 조코비치를 3-0으로 꺾으면서 굉장한 화제가 되었고, 대회 자체의 국내 인지도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6. 상금 규모

<rowcolor=#fff> 연도 총상금 상승률 단식 우승상금 상승률 단식 1회전 탈락자 상금
2009 23,140,000 12.3% 2,000,000
2010 24,094,000 4.1% 2,000,000 0.0%
2011 25,005,635 3.7% 2,200,000 10.0% 20,000
2012 26,000,000 3.9% 2,300,000 4.5% 20,000
2013 30,000,000 15.3% 2,430,000 5.6% 27,600
2014 33,000,000 10.0% 2,650,000 9.0% 30,000
2015 40,000,000 21.2% 3,100,000 16.9% 34,500
2016 44,000,000 10.0% 3,400,000 9.6% 38,500
2017 50,000,000 13.6% 3,700,000 8.8% 50,000
2018 55,000,000 10.0% 4,000,000 8.1% 60,000
2019 62,500,000 13.6% 4,100,000 2.5% 75,000
2020 71,000,000 13.6% 4,120,000 0.5% 90,000
2021 80,000,000 12.7% 2,750,000 -33.3% 100,000
2022 75,000,000 -6.3% 2,875,000 1.0% 103,000
2023 76,500,000 2.0% 2,975,000 3.5% 106,250
2024 86,500,000 13.1% 3,150,000[30] 5.9% 120,000[31]
2025 96,500,000 11.6% 3,500,000[32] 10.0% 132,000[33]

호주 오픈의 총상금 규모는 아직 4대 그랜드 슬램 중에서는 가장 작은 편이지만, 2009년에서 2021년 사이에 3.46배 정도 증가함에 따라 예전에 비해 차이가 크게 줄었다. 다만, 우승 상금은 하위 랭커에 대한 상금 배분 정책이 강화됨[34]에 따라 2021년 들어 전년도에 비해 크게 줄었다.

7. 역대 결승전

호주 오픈이 프로 테니스 선수의 출전을 허용한(오픈 시대 개막) 1969년 대회부터 표시한다. 참고로 1977년 호주 오픈은 1월과 12월에 두 번 개최되었고, 반대로 1986년에는 호주 오픈이 개최되지 않았다.[35]

7.1. 남자 단식

<rowcolor=#fff>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69 파일:호주 국기.svg 로드 레이버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안드레이 히메노 6-3, 6-4, 7-5
1970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애시 파일:호주 국기.svg 딕 크릴리 6-4, 9-7, 6-2
1971 파일:호주 국기.svg 켄 로즈웰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애시 6-1, 7-5, 6-3
1972 파일:호주 국기.svg 말 앤더슨 7-6, 6-3, 7-5
1973 파일:호주 국기.svg 존 뉴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오니 파룬 6-3, 6-7, 7-5, 6-1
1974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호주 국기.svg 필 덴트 7-6, 6-4, 4-6, 6-3
1975 파일:호주 국기.svg 존 뉴컴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7-5, 3-6, 6-4, 7-6
1976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에드먼슨 파일:호주 국기.svg 존 뉴컴 6-7, 6-3, 7-6, 6-1
1977 1월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코 태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기예르모 빌라스 6-3, 6-3, 6-3
1977 12월 파일:미국 국기.svg 비타스 게룰라이티스 파일:영국 국기.svg 존 로이드 6-3, 7-6, 5-7, 3-6, 6-2
197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기예르모 빌라스 파일:호주 국기.svg 존 마크스 6-4, 6-4, 3-6, 6-3
1979 파일:미국 국기.svg 존 사드리 7-6, 6-3, 6-2
1980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티처 파일:호주 국기.svg 킴 워윅 7-5, 7-6, 6-2
1981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요한 크리크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덴튼 6-2, 7-6, 6-7, 6-4
1982 파일:미국 국기.svg 요한 크리크 6-3, 6-3, 6-2
1983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츠 빌란데르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6-1, 6-4, 6-4
1984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케빈 커렌 6-7, 6-4, 7-6, 6-2
1985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테판 에드베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츠 빌란데르 6-4, 6-3, 6-3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팻 캐쉬 6-3, 6-4, 3-6, 5-7, 6-3
1988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츠 빌란데르 6-3, 6-7, 3-6, 6-1, 8-6
1989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파일:체코 국기.svg 미로슬라프 메치르시 6-2, 6-2, 6-2
199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테판 에드베리 4-6, 7-6, 5-2(기권)
1991 파일:독일 국기.svg 보리스 베커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1-6, 6-4, 6-4, 6-4
1992 파일:미국 국기.svg 짐 쿠리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테판 에드베리 6-3, 3-6, 6-4, 6-2
1993 6-2, 6-1, 2-6, 7-5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라스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마틴 7-64, 6-4, 6-4
1995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라스 4-6, 6-1, 7-66, 6-4
1996 파일:독일 국기.svg 보리스 베커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창 6-2, 6-4, 2-6, 6-2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라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모야 6-2, 6-3, 6-3
1998 파일:체코 국기.svg 페트르 코르다 파일:칠레 국기.svg 마르셀로 리오스 6-2, 6-2, 6-2
1999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파일:스웨덴 국기.svg 토마스 엔크비스트 4-6, 6-0, 6-3, 7-6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3-6, 6-3, 6-2, 6-4
2001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노 클레망 6-4, 6-2, 6-2
2002 파일:스웨덴 국기.svg 토마스 요한슨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라트 사핀 3-6, 6-4, 6-4, 7-64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파일:독일 국기.svg 라이너 슈틀러 6-2, 6-2, 6-1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라트 사핀 7-63, 6-4, 6-2
2005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라트 사핀 파일:호주 국기.svg 레이튼 휴이트 1-6, 6-3, 6-4, 6-4
2006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마르코스 바그다티스 5-7, 7-5, 6-0, 6-2
2007 파일:칠레 국기.svg 페르난도 곤살레스 7-62, 6-4, 6-4
2008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 윌프리드 송가 4-6, 6-4, 6-3, 7-62
200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7-5, 3-6, 7-63, 3-6, 6-2
2010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파일:영국 국기.svg 앤디 머레이 6-3, 6-4, 7-611
201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6-4, 6-2, 6-3
2012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5-7, 6-4, 6-2, 6-75, 7-5
2013 파일:영국 국기.svg 앤디 머레이 6-72, 7-63, 6-3, 6-2
201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탠 바브린카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6-3, 6-2, 3-6, 6-3
201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영국 국기.svg 앤디 머레이 7-65, 6-74, 6-3, 6-0
2016 6-1, 7-5, 7-63
2017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6-4, 3-6, 6-1, 3-6, 6-3
2018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마린 칠리치 6-2, 6-75, 6-3, 3-6, 6-1
2019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6-3, 6-2, 6-3
20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도미니크 팀 6-4, 4-6, 2-6, 6-3, 6-4
20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메드베데프 7-5, 6-2, 6-2
2022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2-6, 65-7, 6-4, 6-4, 7-5
202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그리스 국기.svg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6-3, 7-64, 7-65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닉 시너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메드베데프 3-6, 3-6, 6-4, 6-4, 6-3

7.2. 여자 단식

<rowcolor=#fff>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69 파일:호주 국기.svg 마거릿 코트 파일:미국 국기.svg 빌리 진 킹 6-4, 6-1
1970 파일:호주 국기.svg 케리 멜빌 6-1, 6-3
1971 파일:호주 국기.svg 이본 굴라공 2-6, 7-67-0, 7-5
1972 파일:영국 국기.svg 버지니아 웨이드 6-4, 6-4
1973 파일:호주 국기.svg 마거릿 코트 6-4, 7-5
1974 파일:호주 국기.svg 이본 굴라공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7-67-5, 4-6. 6-0
1975 파일:체코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6-3, 6-2
1976 파일:체코 국기.svg 레나타 토마노바 6-2, 6-2
1977.1 파일:호주 국기.svg 케리 멜빌 파일:호주 국기.svg 다이앤 프롬홀츠 7-5, 6-2
1977.12 파일:호주 국기.svg 이본 굴라공 파일:호주 국기.svg 헬렌 굴레이 6-3, 6-0
1978 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 오닐 파일:미국 국기.svg 벳시 나겔센 6-3, 7-67-3
1979 파일:미국 국기.svg 바바라 조던 파일:미국 국기.svg 샤론 월시 6-3, 6-3
1980 파일:체코 국기.svg 하나 만들리코바 파일:호주 국기.svg 웬디 턴불 6-0, 7-5
1981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6-74-7, 6-4, 7-5
1982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6-3, 2-6, 6-3
1983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미국 국기.svg 캐시 조던 6-2, 7-67-5
1984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파일:체코 국기.svg 헬레나 수코바 6-74-7, 6-1, 6-3
1985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6-2, 4-6, 6-2
1987 파일:체코 국기.svg 하나 만들리코바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7-5, 7-67-1
1988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6-1, 7-67-3
1989 파일:체코 국기.svg 헬레나 수코바 6-4, 6-4
1990 파일:미국 국기.svg 메리 조 페르난데스 6-3, 6-4
199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파일:체코 국기.svg 야나 노보트나 5-7, 6-3, 6-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메리 조 페르난데스 6-2, 6-3
1993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4-6, 6-3, 6-2
1994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6-0, 6-2
1995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리 피어스 6-3, 6-2
1996 파일:미국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파일:독일 국기.svg 안케 후버 6-4, 6-1
1997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티나 힝기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리 피어스 6-2, 6-2
1998 파일:스페인 국기.svg 콘치타 마르티네스 6-3, 6-3
1999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멜리 모레스모 6-2, 6-3
2000 파일:미국 국기.svg 린지 데이븐포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티나 힝기스 6-1, 7-5
2001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카프리아티 6-4, 6-3
2002 4-6, 7-69-7, 6-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7-67-4, 3-6, 6-4
2004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6-3, 4-6, 6-3
2005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린지 데이븐포트 2-6, 6-3, 6-0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멜리 모레스모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6-1, 2-0 기권
2007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샤라포바 6-1, 6-2
2008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샤라포바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아나 이바노비치 7-5, 6-3
2009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디나라 사피나 6-0, 6-3
2010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6-4, 3-6, 6-2
2011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파일:중국 국기.svg 리나 3-6, 6-3, 6-3
2012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빅토리아 아자렌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샤라포바 6-3, 6-0
2013 파일:중국 국기.svg 리나 4-6, 6-4, 6-3
2014 파일:중국 국기.svg 리나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도미니카 치불코바 7-67-3, 6-0
2015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샤라포바 6-3, 7-67-5
2016 파일:독일 국기.svg 안젤리크 케르버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4, 3-6, 6-4
2017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6-4, 6-4
2018 파일:덴마크 국기.svg 캐럴라인 보즈니아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시모나 할렙 7-67-2, 3-6, 6-4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 나오미 파일:체코 국기.svg 페트라 크비토바 7-67-2, 5-7, 6-4
2020 파일:미국 국기.svg 소피아 케닌 파일:스페인 국기.svg 가르비녜 무구루사 4-6, 6-2, 6-2
2021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 나오미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브레이디 6-4, 6-3
2022 파일:호주 국기.svg 애슐리 바티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콜린스 6-3, 7-67-2
2023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아리나 사발렌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엘레나 리바키나 4-6, 6-3, 6-4
2024 파일:중국 국기.svg 정친원 6-3, 6-2

8. 대한민국 선수 출전기록

8.1. 남자 단식

<rowcolor=#fff> 순서 성명 기록
1 김봉수 1패
2 이형택 2승 7패
3 정현 7승 4패
4 권순우 1승 6패

8.2. 여자 단식

순서 성명 기록
1 이덕희 1승 2패
2 이순오 1패
3 양정순 1승 1패
4 박성희 2승 5패
5 조윤정 1승 2패
6 한나래 1패
7 장수정 1패

9. 기타




[1] 약 792억윈[2024] [2024] [4] 중립 선수 자격으로 대회 참가[5] 오픈시대 이전 포함시 마거릿 코트 (11회)[6] 1라운드를 3일에 걸쳐 진행하는 경우 총 15일.[7] 이니셜인 'A'와 'O'를 형상화한 현 로고는 2017년 대회부터 사용중이다. 서울, 수원, 신안...[오픈시대] 참고로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은 1968년부터 개방했다.[9] 그래서 미국의 마르티나 나브로틸로바가 1983년~1984년에 걸쳐 논 캘린더 이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을 당시 1983년에 윔블던-US-호주, 1984년에 프랑스-윔블던-US까지 순서로 6개 대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었다. 오늘날의 시즌 일정에 따르면 6연속이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당시 대회 개최 순서 상으로는 연속이었다.[10] 게다가 호주 오픈을 앞두고 진행되는 웜업 대회들은 크리스마스 직후에 시작된다. 따라서 여기 참가하는 선수들은 크리스마스조차 집에서 쉴 수 없게 된다. 시즌 일정이 11월 초~중순에 종료되는 것을 고려하면 오프 시즌이 매우 짧다.[11] 주무대가 미국과 유럽인 (대부분의) 선수들의 경우, 과거에는 여객기의 항속 거리가 지금보다 짧아서 호주까지 가기 위해 비행기를 2번 이상 갈아타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현재도 최소 1번은 환승해야 한다.[12] 1970년대에 전성기를 보낸 스웨덴 출신의 레전드급 선수로 그랜드 슬램 우승 11회, ATP 투어 남자 단식 우승 51회에 달하는 커리어를 가지고 있다.[13] 나머지 세 대회는 5월 말~9월 초에 몰려 있는 반면, 호주 오픈은 이전 대회인 US 오픈부터 약 4개월, 다음 대회인 롤랑 가로스까지도 약 4개월의 간격이 있다.[14] 이들이 과거의 테니스 선수들과 다르게 호주 오픈 이후에도 좋은 성적을 올리게 된 것은 엄청난 자기 관리와 더불어 스포츠과학의 발전으로 전문적인 관리를 받았기 때문이다. 과거의 선수들은 오늘날과 같이 스포츠과학 전문지식을 갖춘 숙련된 스태프들의 관리를 받지는 못했다.[15] 신사의 스포츠라고 불리며 격식을 중요시하는 테니스인만큼 보통은 행사 내내 서있는 것이 기본이다.[16] 호주의 전설적인 테니스 선수 로드 레이버의 이름을 딴 경기장이다. 로드 레이버는 한 해에 4개 그랜드 슬램을 모두 우승하는 업적을 두 차례나 달성하였으며, 이 기록을 가진 선수로는 테니스 역사상 남녀를 통틀어 아직까지 유일하다. 아직도 정정하신 터라 남녀 단식 결승전 경기에 항상 초청되어 관전을 하신다.[17] 다른 그랜드 슬램 대회들은 지붕을 갖춘 코트가 최대 2개인 반면, 호주 오픈만 3개이다.[18] 그 중 가장 큰 코트인 쇼 코트 아레나의 공식 명칭은 기아 아레나(KIA Arena)이다.[19] 당연히 33개의 코트를 대회 내내 전부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반 라운드 며칠 동안은 10개 이상의 코트가 사용되며 수많은 선수들의 연습을 위한 코트도 필요하기 때문에 그랜드 슬램을 개최하기 위해서라면 이 정도 규모는 되어야 한다.[20] 그 대가로 프랑스/미국 주최 측에서 롤랑 가로스와 US 오픈에 호주 테니스협회가 택한 호주 선수에게 와일드카드를 부여한다. 즉, 그랜드 슬램 주최국 협회끼리 서로 와일드 카드를 교환하는 것이다.[21] 2위 로저 페더러(6회)[22] 2위 로저 페더러(7회)[23] 2위 노박 조코비치(11회)[24] 2위 노박 조코비치(94승)[25] 공동 2위는 마거릿 코트, 슈테피 그라프, 모니카 셀레스, 이본 굴라공의 4회[26] 오픈시대 이전 포함시 1위는 마거릿 코트의 11회[27] 2위는 이본 굴라공의 7회[28] 오픈시대 이전 포함시 1위는 마거릿 코트의 12회[29] 오픈시대 이전 포함시 1위는 마거릿 코트의 12회[30] 약 28억 8400만원[31] 약 1억 980만윈[32] 약 31억 7100만원[33] 약 1억 1960만윈[3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해 많은 대회들이 취소된 것에서 영향을 받았다.[35] 앞서 서술했지만 1977년부터 1985년 사이에 호주 오픈의 개최 시기가 연초(1월)에서 연말(12월)로 변경되었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1977년에는 호주 오픈이 1월과 12월에 두 번 열리게 되었다. 반대로 1986년의 경우, 1985년(12월) 대회 후 1달 만에 대회를 진행할 수는 없기에 1년의 간격을 두고 1987년 1월에 다음 대회가 개최되었다.[36] 대회 진행 및 참가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오는 선수 및 스태프들이 안그래도 많은데, 예선 참가자까지 포함시키면 입국자 수가 너무 많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하와 두바이는 유럽에서 호주로 이동할 때 대표적인 경유지이다.[37] 물론 원래 빅토리아주에 살던 선수들은 해당 없음.[38] 당시 호주는 일일 확진자 수가 10만 명을 넘어가는 상황이었고, 매우 엄격한 봉쇄 및 백신 접종 정책을 펼치고 있어 자국민들마저 이동이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이기 때문에 백신을 맞지 않은 조코비치가 대회에 참가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특혜라는 반응이 압도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