終 마칠 종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糸,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5급 | ||||||
終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お-わる, お-える, しま-う, つい | ||||||
终 | |||||||
표준 중국어 | zhō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終은 '마칠 종'이라는 한자로, '마치다', '끝내다' 등을 뜻한다.여담이지만 일본 TV프로그램 엔딩에 이 한자가 주로 많이 쓰인다. 한국은 '끝' 이라는 한글단어가 있기 때문에 '終' 하나만 쓰일 일이 전혀 없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D42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FHEY(女火竹水卜)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糸(가는실 멱)과 소리를 나타내는 冬(겨울 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冬이 현재의 終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冬은 '겨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래의 '마치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冬 옆에 糸(실 사)를 덧붙인 것이 바로 終이다.
3. 자형
국가나 일부기기에 따라 자형의 차이가 있다.- 한국(u7d42-k)
Windows 자형은 糸 오른쪽의 冬(겨울 동)이 ⺀(점 두 개) 형태로 표시되고 안드로이드나 iOS 기기들은 冬(겨울 동) 冫(이수변)으로 표시된다.
대법원 지정 자형도 안드로이드,iOS기기들과 동일하다.
- 일본(u7d42-j)
- 대만,홍콩(u7d42-g),(u7d42-t),(u7d42-h)
4. 용례
4.1. 단어
- 임종(臨終)
- 종결(終結)
- 종례(終禮)
- 종료(終了)
- 종말(終末)
- 종무(終務)
- 종식(終熄)
- 종신(終身)
- 역종신(役終身)
- 유종신(流終身)
- 종신감독(終身監督)
- 종신관(終身官)
- 종신금고(終身禁錮)
- 종신보험(終身保險)
- 종신적(終身的)
- 종신지상(終身之喪)
- 종신직(終身職)
- 종신행선(終身行善)
- 종신형(終身刑)
- 중신회원(終身會員)
- 한종신(限終身)
- 종업(終業)
- 종영(終映)
- 종전(終戰)
- 종점(終點)
- 종지(終止)
- 교회종지(敎會終止)
- 반종지(半終止)
- 변격종지(變格終止)
- 완성종지법(緩聲終止法)
- 완전종지(完全終止)
- 위종지(僞終止)
- 전종지(全終止)
- 정격종지(正格終止)
- 종지법(終止法)
- 종지부(終止符)
- 종지사(終止詞)
- 종지형(終止形)
- 최종(最終)
4.2. 고사성어/숙어
- 무시무종(無始無終)
- 사유종시(事有終始)
- 선시선종(善始善終)
- 시종(始終)
- 시종여일(始終如一)
- 시종일관(始終一貫)
- 역부종심(力不終心)
- 유시무종(有始無終)
- 유시유종(有始有終)
- 일부종신(一夫終身)
- 자초지종(自初至終)
- 종무소식(終無消息)
- 종불출급(終不出給)
- 종신계(終身計)
- 종천지모(終天之慕)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絳(짙게붉을 강)
- 昸(겨울 동)[1]
- 㤏(근심할 동)
- 鉖(낚싯바늘 동)
- 䂢(돌떨어지는소리 동)
- 峂(땅이름 동)
- 炵(불꽃 동)
- 𧹝[⿰赤冬](붉을 동)[2]
- 𢓘[⿰彳冬](성씨 동/퉁)
- 𨠌[⿰酉冬](술썩을 동)
- 𦙭[⿰⺼冬](아플 동)[3]
- 𣧩[⿰歹冬](마칠 종)[4]
- 㚵(여자의자 동)
- 𤤮[⿰⺩冬](옥소리 동)
- 鮗(전어 동)
- 𧲴[⿰豸冬](짐승이름 동)
- 咚(쿵하는소리 동)
- 㠽(표기 동)
- 𤱞[⿰田冬](밭갈 전)
- 㹣(개이름 종)
- 柊(나무이름 종)
- 鴤(논병아리 종)
- 泈(물이름 종)[5]
- 鼨(얼룩쥐 종)
- 佟(성씨 퉁)
- 𰄓[⿰凸冬]
- 𰉡[⿰土冬]
- 𰋋[⿰壴冬]
- 𢫝[⿰扌冬]
- 𣁲[⿰斗冬]
- 𮂽[⿰禾冬]
- 𧊂[⿰虫冬]
- 𨀐[⿰𧾷冬]
- 𩢦[⿰馬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