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96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들이 소중히 여기던 성전산(하람 앗샤리프)에 유물 발굴을 핑계로 터널을 뚫어 팔레스타인인들과 이스라엘군이 충돌하면서 유혈사태가 일어난 사건.2. 배경
1996년 예루살렘 성전산 터널 공사 사태가 왜 일어났는지 이해하려면 1987년으로 거슬려 올라가야 한다. 당시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제3차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둔 후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강제로 점령[1]했다.1987년에는 제1차 인티파다[2]가 터지기 전에도 성전산에 극우파 유대인들이 난입해 알 아크사 사원을 철거하려고 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팔레스타인인들이 필사적으로 막았으나 이스라엘군과 경찰이 잔인하고 포악하게 진압해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결국 1987년 12월 8일, 제1차 인티파다가 터지고 팔레스타인인들이 저항에 나섰다.
1993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중재하는 가운데 오슬로 협정이 맺어지고 평화의 길로 가나 싶었는데 이츠하크 라빈 암살 사건이 터지고, 극우파였던 베냐민 네타냐후가 1995년 정권을 잡았다.
이때부터 팔레스타인인들을 도발하기 시작했다. 베냐민 네타냐후는 팔레스타인 마을에 군대를 보내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3. 전개
1996년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는 전운이 감돌았다. 결국 1996년 1월, 성전산 터널 공사 사태가 일어나고 이스라엘군과 이스라엘 경찰이 항의하는 팔레스타인인들을 잔인하게 진압해 70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사망했고, 15명의 이스라엘 군인들이 사망했다.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8%, #fff 8%, #fff 92%, transparent 92%), conic-gradient(from 225deg at 8% 50%, #cf0921 90deg, transparent 90deg), linear-gradient(to bottom, #000 33%, #FFF 33%, #FFF 67%, #007b3b 67%)"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파타-하마스 분쟁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팔레스타인/행정구역 · 하마스 · 파타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 팔레스타인 인민당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 팔레스타인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요르단 디나르 · 이집트 파운드 | |
군사 | 팔레스타인 보안군 | |
문화 | 문화 전반(케피예) · 요리 · 후무스 · 쿠나파 · 마클루바 · 무삭칸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 |
인물 | 아민 알후세이니 · 야세르 아라파트 · 마흐무드 압바스 · 쉬린 아부 아클레 | |
지리 | 가자 지구 · 요르단강 서안 지구(베들레헴) | |
민족 | 팔레스타인인(아르메니아계) ·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38b8>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다윗의 별 · 이스라엘/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출애굽 · 12지파 · 이스라엘 왕국 · 유다 왕국 · 바빌론 유수 · 디아스포라 · 홀로코스트 · 중동전쟁 | |
정치 | 정치 전반 · 이스라엘/행정구역 · 시오니즘 · 리쿠드 · 예쉬 아티드 · 청백동맹 · 야미나 · 이스라엘 노동당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새로운 희망(정당) · 메레츠 · 연합 아랍 명단 · 샤스 · 유대교 토라 연합 · 종교 시온주의당 · 공동 명단 | |
외교 | 외교 전반 · JUSCANZ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
교통 | 철도 환경 · 이스라엘 철도 | |
사회 | 사회 전반 · 대입능력 계량시험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 |
국방 | 이스라엘군 · 이스라엘 해군 · 이스라엘 육군 · 이스라엘 공군 · 징병제/이스라엘 | |
치안·사법 | 이스라엘 경찰 | |
문화 | 문화 전반(키파) · 유대교 · 요리 · 후무스 · 할라(빵)· 이스라엘/스포츠 · 이스라엘/관광 · 이스라엘 영화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 히브리어 | |
인물 | 다비드 벤구리온 · 골다 메이어 · 아리엘 샤론 · 이츠하크 라빈 · 베냐민 네타냐후 | |
지리 | 갈릴래아호 · 사해 · 골란 고원 | |
사회 | 이스라엘 마피아 | |
민족 | 이스라엘인(아르메니아계) · 이스라엘 아랍인 · 이스라엘계 미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
기타 | 이스라엘 무슬림 · 이스라엘/논란 및 사건 사고 |
[1] 보통 전쟁 이후 가나안을 강제로 통일했다고 나오지만 사실이 아니고 사실은 이스라엘군이 강제로 점령했기 때문에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이 등장했고 1987년에는 PFLP보다 더욱 과격한 하마스가 등장하게 되었다.[2] 인티파다는 아랍어로 봉기, 각성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