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23:53:15

Nintendo Switch 2

NS2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Nintendo Switch 2"><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9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정용 하이브리드 휴대용
PS5 (Pro) Xbox Series X | S Nintendo Switch 2 Playdate
각 세대별 콘솔 게임기 둘러보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0012,#e60012><tablebgcolor=#e60012,#e60012>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콘솔 게임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가정용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컬러 TV 게임 로고.svg파일:컬러 TV 게임 로고 화이트.svg
파일:패밀리 컴퓨터 로고.svg
파일:슈퍼 패미컴 로고.svg파일:슈퍼 패미컴 로고(화이트).svg
파일:NINTENDO 64 로고_좌우.svg
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svg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 화이트.svg
파일:Wii 로고.svg
파일:Wii U 로고.svg
64DD · iQue 파나소닉 Q RVL-101 · mini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휴대용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게임 & 워치 로고.svg파일:게임 & 워치 로고 화이트.svg
파일:게임보이 로고 컬러.svg
파일:버추얼 보이 로고.svg
파일:게임보이 컬러 로고.svg
파일:포켓몬미니 로고 화이트.png파일:포켓몬미니 로고 블랙3.png
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
파일:닌텐도 DS 로고.svg파일:닌텐도 DS 로고 화이트.svg
파일:닌텐도 DSi 로고.svg파일:닌텐도 DSi 로고 화이트.svg
Lite XL
파일:닌텐도 3DS 로고.svg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svg파일:New 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
XL · 2DS XL · 2DS X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하이브리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Nintendo Switch 2 로고 레드 (임시방편).png파일:Nintendo Switch 2 로고 화이트.svg
개선판 · Lite휴대용 · OLED }}}}}}}}}
<colbgcolor=#e60012><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0012><tablebgcolor=#e60012> 파일:Nintendo Switch 2 로고 화이트.svgNintendo Switch 2
닌텐도 스위치 2
}}}
<bgcolor=#fff,#1c1d1f>파일:welcome-hero-sp.webp
개발 닌텐도
한국 유통 한국닌텐도
대원미디어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6월 5일[1]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ASEAN 깃발.svg 2025년 3분기[2]
가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48,000(VAT포함)
파일:일본 국기.svg ¥49,980(VAT포함)[일본전용]
¥69,980(VAT포함)[다언어대응]
파일:미국 국기.svg $449.99(VAT별도)[5]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469.99(VAT포함)
파일:영국 국기.svg £395.99(VAT포함)
판매량
홈페이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출시 전 정보3. 사양
3.1. 사용자 편의성
3.1.1. 게임챗3.1.2. 나눔 통신
3.2. 하드웨어 및 기술 특징
3.2.1. SoC3.2.2. 화면3.2.3. 음향3.2.4. 저장소3.2.5. Joy-Con 23.2.6. 입출력3.2.7. 폼 팩터3.2.8. 게임 카드(롬 카트리지)
3.3. 하위 호환
3.3.1. 구현3.3.2. 하위 호환 지원 게임 목록3.3.3. 하위 호환 향상 지원 여부
3.4. 호환성에 따른 게임 구분3.5. 운영체제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4. 주변 기기5. 논란 및 사건사고6. 게임 목록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닌텐도의 9세대 콘솔 게임기이자 Nintendo Switch의 후속기기.

==# 프로모션 동영상 #==
Nintendo Switch 2 예고 영상
Nintendo Switch 2 소개 영상
Nintendo Direct: Nintendo Switch 2

2. 출시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출시 전까지 정보와 루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Nintendo Switch 2/출시 전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출시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출시 전 정보#|]][[Nintendo Switch 2/출시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사양

<colbgcolor=#e60012><colcolor=#fff> 모델명 BEE-001
SoC NVIDIA Tegra T239(추정)
CPU CPU 코어: ARM Cortex-A78C MP8
CPU 클럭: 1100.8MHz(휴대모드) / 1007MHz(독모드)
GPU GPU 코어(CUDA): 1536개[6]
GPU 클럭: 568MHz(휴대모드) / 1007.3MHz(독모드)
약 1.723 ~ 3.094 TFLOPS[7]
NPU NPU(텐서 코어): 48개
성능: 99 TOPS[8]
RAM 12GB 4266MT/s(휴대모드), 6400MT/s(독모드) LPDDR5 SDRAM(추정)[9]
스토리지 256GB(UFS 3.1)(추정) , microSD Express (2TB 공식 지원)[10]
디스플레이 7.9인치 FHD(1920 × 1080) 120Hz(VRR) HDR10 지원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 LCD (278.85 ppi)
멀티 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스크린
영상 출력 1080p(Full HD)@120Hz 출력(휴대모드)
HDMI(HDMI 2.0) 케이블을 통해 2160p(4K)@60Hz, 1440p(WQHD)@120Hz, 1080(Full HD)@120Hz 출력(독모드)
HDR10 지원. VRR(가변주사율) 지원(120Hz)
음성 출력 3.5mm 단자 / 내장 스테레오 스피커 / HDMI
마이크 빌트인 마이크[11]
네트워크 유선 LAN(독모드) / 무선 LAN Wi-Fi 802.11b, g, Wi-Fi 4, 5, 6 / 블루투스 / NFC
배터리 19.3 Wh(5220 mAh, 3.7V) 리튬 이온 배터리
지속시간: 약 2~6.5시간
충전시간: 약 3시간
전원 어댑터 입력: AC 100V-240V 50/60Hz 1.6A (Free Volt)
출력: DC 5.0V/3.0A , 9.0V/3.0A , 15.0V/3.0A , 20.0V/3.0A (최대 60W)
기본 컨트롤러 Joy-Con 2
[ 상세 사양 보기 ]
무게: 왼쪽 66g / 오른쪽 67g
네트워크: 왼쪽 블루투스 3.0 / 오른쪽 블루투스 3.0, NFC
진동: HD 진동 2
센서: 가속도, 자이로스코프, 마우스
배터리: 1.85 Wh(500mAh, 3.7V) 리튬 이온 배터리 / 지속시간 약 20시간 / 충전시간 약 3시간 30분
규격 크기: 세로 116mm × 가로 272mm × 두께 13.9mm[12]
무게: 약 401g[13]
기타 -

3.1. 사용자 편의성

3.1.1. 게임챗

게임챗으로 함께 채팅하고, 공유하고, 어울리세요
Joy-Con 2의 C 버튼 및 본체 내장 마이크와 연동해 작동하는 시스템이다. 구형 조이콘 1이나 구형 프로 컨트롤러도 홈 버튼으로 C 버튼의 기능에 접근할 수 있어, 기존에 사용하던 오래된 컨트롤러도 스위치 2에서 사용 가능하다.[14]

이에 음성 채팅은 물론이고 친구에게 자신의 게임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이며 스위치 2 본체를 독에 거치했을 때에도 내장 마이크를 사용해 음성 채팅을 한다. 고성능 오디오 칩이 자동으로 멀리 떨어진 플레이어의 목소리를 적절히 잡아내 음량을 키워 상대방에게 전달해 준다. 음성 채팅은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지원해 잡음을 제거하고 목소리를 정확히 잡아낸다.

닌텐도 스위치 2 카메라 액세서리나 USB카메라를 연결하면[15] 게임을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함께 촬영해 방송할 수도 있다. Nintendo 지킴이 Switch와 연동되어 있는 청소년 계정의 경우, 게임챗 기능을 사용하려면 부모에게 별도 사용 허가를 요청해야 한다.

게임챗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Nintendo Switch Online을 결제해야 한다. 2026년 3월 31일까지 게임챗 기능 무료 체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모임 가능한 최대 인원 수는 12명이다. 동시 음성 채팅은 최대 12명까지 지원하며, 화면 공유는 최대 4명까지 지원한다. 게임챗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닌텐도 계정 모바일 인증이 필요하며,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하고만 연결이 서로 가능하다.

마리오 파티 잼버리와 같은 일부 게임은 해당 기능과 연동해 추가 기믹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화면을 자신의 멀티플레이 프로필로 사용하는 식.

하드웨어 개발자인 카와모토와의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동안의 화상 회의 경험에서 게임 화면 공유 기능 아이디어가 탄생했다고 한다. 실제로 인터페이스가 Cisco Webex MeetingsZoom Video Communications 같은 화상회의 프로그램과 굉장히 닮았다.

3.1.2. 나눔 통신

닌텐도 DS / 닌텐도 3DS의 보유자라면 바로 이해가 가능한 기능으로, 해당 기종에 있었던 '다운로드 플레이'와 비슷한 기능이다. 한 대의 본체만 게임을 가지고 있어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나머지 본체가 게임 데이터를 전달받아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스위치 1과 스위치 라이트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게임 전달받기가 가능하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스위치 1에서도 스위치 2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16] 단 스위치 1은 공유받기만 가능하며 공유하기는 불가능하다.

게임챗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면 친구를 초대해 온라인으로도 게임을 공유할 수 있다. 원거리 인터넷 통신으로도 나눔 통신이 가능하다. 스위치 1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공유받기만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한 원거리 나눔 통신은 불가능하다. 게임에 따라 근거리 통신은 지원하나 원거리 통신은 지원하지 않는 게임이 있을 수 있다.

스위치 2 개발자들은 닌텐도 DS와는 다른 기술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닌텐도 DS 시절과 다르게 지금은 게임의 용량이 너무 커 데이터 전송 방식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Wii U 콘솔이 전용 게임패드로 화면을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해 게임플레이 공유 기능을 구현했다. 즉 기술적으로는 '다운로드 플레이'가 아닌 '스트리밍 플레이'다.

업데이트를 통해 전진! 키노피오대장!, 슈퍼 마리오 3D 월드 + 퓨리 월드, 말랑말랑 두뇌학원,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51 Worldwide Games가 해당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며 향후 더 많은 스위치 2 전용 게임들이 해당 기능을 지원할 계획에 있다.

3.2. 하드웨어 및 기술 특징

3.2.1. SoC

3.2.2. 화면

3.2.3. 음향

3.2.4. 저장소

3.2.5. Joy-Con 2

3.2.6. 입출력

3.2.7. 폼 팩터

3.2.8. 게임 카드(롬 카트리지)

3.3. 하위 호환

3.3.1. 구현

기본적으로 Nintendo Switch로 발매된 소프트웨어는 패키지 버전, 다운로드 버전 모두 Nintendo Switch 2와 하위 호환된다. 다만 PlayStation 5에서 PlayStation 4의 일부 게임들은 불완전하게 구동되거나 호환이 안 되는 것처럼 이쪽 역시 일부 게임들은 불완전하게 구동하거나 호환되지 않는다.

개발자들은 하위 호환을 위해 처음에는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 방식을 고민했으나,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면 과다한 성능 사용으로 심각한 배터리 소모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스위치 2는 에뮬레이터 방식을 포기하고 번역기처럼 게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코드 번역 방식을 채택했다.[27][28]

이 하위 호환성은 기기 명칭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는데, 개발 초기에는 '슈퍼 닌텐도 스위치'라는 기기 명칭도 고려했으나, 슈퍼 패미컴에서 패밀리컴퓨터 게임의 플레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슈퍼 닌텐도 스위치라는 명칭이면 기존 스위치 게임을 즐기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서로 단절된 게임기로 받아들일 것이라 생각해 '닌텐도 스위치 2'라는 명칭이 채택되었다고 한다.

하위 호환을 지원하지 않는 게임 리스트를 공개하였는데,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기기의 크기가 달라져 물리적인 구동을 지원할 수 없는 라보 VR킷을 제외한 게임에 대해서는, 제작사와 협력하여 장기적으로는 완전 하위호환을 지향하고 있음을 언급했다.#

3.3.2. 하위 호환 지원 게임 목록

하드웨어 개발팀이 수작업으로 게임을 하나하나 테스트한 결과 현재 최소 1만 개 이상의 게임이 스위치 2에서 하위 호환으로 구동된다. 아래 공식 명단에 등재된 게임을 제외한 나머지 게임은 모두 스위치 2에서 정상 작동한다.

아래 게임들도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 메이커와 추가적인 대처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가장 먼저 대처 방안이 공개된 타이틀은 포트나이트로, 심플하게 스위치 2 버전을 새로 출시하는 것으로 해결했다. 다만 이 조치는 포트나이트가 기본 플레이 무료&크로스플레이 지원인 게임이기에 가능했던 것이고, 유료 게임이 이런 조치를 하면 기존 구매자들은 전혀 구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29] 조금 방향을 바꿔서 Nintendo Switch 2 Edition이나 무료 차세대 패치를 내는 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 수정이 예정된 위 게임들과 달리 스위치 2에서 지원 예정 자체가 없는 타이틀은 1종이다.
특히 조이콘 2에는 적외선 카메라 기능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구형 조이콘에만 있는 모션 IR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조이콘 1 규격에 맞춰진 외부 기기를 활용하는 게임은 스위치 2에서 하위 호환 구동하기 위해서 기존 스위치의 구형 조이콘을 무선 연결해 이용할 필요가 있다. 호환 안내 페이지 참고.

한국에서 한 가지 우려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국가별로 유통사가 다른 경우 추후 대응 패치가 출시되었을 때 해당 패치들이 아시아판 소프트에도 도입이 되느냐 하는 문제다. 한국, 중국어권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경우, 캡콤, 인티 크리에이츠 같은 회사들은 글로벌 원빌드로 게임을 만들어 직접 정발을 하지만 그 외 서드파티들은 대부분 제3자인 유통사를 거쳐 정발되며, 그 과정에서 해당 게임의 오리지널판에는 없는 한글 데이터가 들어가며 오리지널판과는 별개의 빌드가 되는 경우가 많다.[32] 게다가 일부 유통사들은 각자의 사정에 따라 발매일로부터 너무 늦게 나온 패치는 아예 도입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만약 스위치 2 대응 패치에도 이런 유통사 관련 문제가 엮인다면 추후 오리지널판은 패치가 진행되더라도 아시아판만 패치가 안 될 가능성이 있다. 각 게임을 만든 본사에 문의를 하더라도 거의 모든 회사들은 타 회사가 엮인 문제라 답변을 꺼리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3.3.3. 하위 호환 향상 지원 여부

Nintendo Switch 2에서 Nintendo Switch용 소프트웨어를 기동해 보았을 때, 로딩이 빨라지거나 게임의 처리가 안정되는 등 체험이 좋아질 것 같다는 발견이 있었습니다.
닌텐도 기획제작부 담당부장 도타 타쿠히로#
위 인터뷰를 통해 기존 스위치 게임들 중 동적 해상도나 프레임이 많이 떨어지는 게임들, 로딩이 지나치게 긴 게임들은 스위치 2에서 하위 호환으로 돌릴 경우 프레임 안정 등의 효과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프레임 안정화를 뛰어넘어 게임 업스케일링이나 프레임 향상까지 기대하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게임 자체의 한계를 강제로 돌파하여 하위 호환 게임을 업그레이드까지 시켜버리는 Xbox Series X|S하위 호환 인핸스드가 특이 사례이지, 구식 게임을 오류 없이 잘 돌아가게만 만들어도 완전한 하위 호환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기존 스위치 게임 거의 대부분을 오류없이 구동하는 것 만으로도 스위치 2의 하위 호환은 목표를 달성한 것이다.

게임 개발사에 따라 스위치 2의 여유 성능을 활용해 기존 게임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별도 패치를 제공해 줄 가능성은 있다. 차세대 버전 패치가 있다면 성능 향상 수혜를 받을 수 있다. 이미 주요 닌텐도의 퍼스트 파티 게임들이 무료 업그레이드 패치를 통해 개선된 성능과 나눔 통신 기능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젤다의 전설 지혜의 투영,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등이 해당된다.# 해당 개발사 지원은 무료 차세대 패치에 해당하며, 아래 문단에 후술할 유료 확장판 개념의 닌텐도 스위치 2 에디션(Nintendo Switch 2 Edition)과는 구분된다.

똑같이 기존 스위치 타이틀의 차세대 대응이라 스위치 2 에디션과 무료 패치의 차이가 쉽게 이해되지 않을 수 있으나,[33] 간단히 말하자면 무료 패치는 어디까지나 하위호환의 영역에서 차세대 대응이 이뤄지는 것이고, 스위치 2 에디션은 아예 타이틀이 스위치 2 전용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당연히 퍼포먼스 개선 측면에서는 스위치 2 에디션이 유리하다.

3.4. 호환성에 따른 게임 구분

스위치 2 게임은 기기 호환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공식 분류로 나뉜다.

3.5. 운영체제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4. 주변 기기

5. 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intendo Switch 2/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논란 및 사건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논란 및 사건사고#|]][[Nintendo Switch 2/논란 및 사건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게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intendo Switch 2/게임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게임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intendo Switch 2/게임 목록#|]][[Nintendo Switch 2/게임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60012> 파일:Nintendo Switch 2 로고 화이트.svgNintendo Switch 2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px 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5px 0px +5px"
파일:닌텐도 스위치2 모델_임시.png
Nintendo Switch 2
관련 문서

출시 전 정보 · Nintendo Switch Online
Nintendo Classics(NES · SNES · N64 · MD · GB · GBA · GC)
논란 및 사건사고
공식 컨트롤러

Joy-Con 2 · Pro-Con · Nintendo Classics 전용 컨트롤러
게임 목록

2025년
닌텐도 관련 문서
}}}}}}}}} ||
[1] 북미, 남미, 유럽, 일본, 한국, 홍콩, 호주, 뉴질랜드.[2]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일본전용] 언어 설정에서 일본어만 지원되며 일본 지역으로 설정된 닌텐도 어카운트만 연동할 수 있는 버전.[다언어대응] 마이 닌텐도 스토어에서만 판매 예정.[5] 2025년 세계 무역 전쟁으로 인한 상호 관세 때문에 예약 판매가 중단된 상황이다.[6] NVIDIA암페어 아키텍처를 사용한다. IGN의 수석 디렉터 도타 타쿠히로와의 인터뷰와 NVIDIA의 발표에 따르면 DLSS와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한다. ##[7] 단정밀도 부동소수점(Single-precision floating-point, FP32) 기준 연산 성능이다. 전작에 비해 약 7.8배 더 높다.[8] 해당 기기 출시 시점에서 모바일 SoC 중에서는 가장 좋은 NPU이다. 이것보다 더 좋은 휴대용 칩셋은 엔비디아의 노트북용 외장 GPU 뿐이다.[9] SK하이닉스 제조 H58GE6AK8BX107. 6GB 2개로, 듀얼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대역폭은 68(휴대모드)~102.4GB/s(독모드). 전작에 비해 용량은 3배, 대역폭은 2.7~4배 높다.[10] microSD Express가 아닌 일반 microSD는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저장 및 읽기를 지원하지 않으며, 사진/영상 전송만 가능하다. #[11] 노이즈 캔슬링, 에코 캔슬링, 오토 게인컨트롤 기능 포함.[12] Joy-Con 2 장착 시.[13] Joy-Con 2 장착 시 534g.[14] 단 본체 결합 충전과 슬립모드 깨우기 기능은 기존 조이콘 1에서 지원하지 않는다.[15]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USB 카메라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일부 제품은 특정 기능 사용 도중에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 메뉴에서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6] 닌텐도 DS/3DS의 다운로드 플레이를 사용해 본 적 있는 사람들은 오해하는 경우가 없지만, 아닌 사람들 중 게임 전부를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해당 기능은 특정 협동 게임모드나 멀티플레이 모드만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17] 다만 LCD 패널을 장착해 기존 Nintendo Switch(OLED 모델)에 비하면 명암비 등에서 소폭 너프되었다.[18] TV 경우 TV 자체적으로 HDR이 지원 되어야 한다.[19] 기존 규격이 가격대에 따라 읽기 속도가 100~300MB/s인것에 비해 익스프레스는 초기 라인업 기준 800MB/s 이상.[20] 이에 대해 트랜센드 일본 공식 트위터에서는 "microSD Express 카드는 없다, 하지만 SSD EXPRESS CARD는 있다"는 내용을 업로드했다. 후자는 PCMCIA의 후속 규격이다.[21] 사실은 기존 Nintendo Switch에도 자석 탈착 방식을 채택하려 했으나, 가끔씩 분리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차선책으로 레일을 통한 슬라이드 방식을 도입했던 것이라 밝힌 적이 있다.# 현시점에서는 이 문제가 해결되어 스위치2에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22] 이런 자석 탈부착 방식은 이미 시중에서는 Android 게임기PIMAX Portal이 시도했던 방식이다.# 이쪽은 덧붙여 VR까지 지원한다.[23] 가까운 물체의 형태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비슷한 명칭의 모션 컨트롤과는 연관 없다.[24] 스위치 OLED 모델의 프리스탑형 킥스탠드의 기능과 동일한데 판형이 아닌 프레임 형태로 변경된 것으로 보아 내부공간 확보를 위해 줄인 것으로 여겨진다. OLED 모델의 킥스탠드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재질도 동일하다면 내구도 문제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25] 영상 기준 본체의 파란색 부분.[26] 기존 Nintendo Switch와 Lite는 흡기구가 후면에 있으며, OLED 모델은 후면 하단의 모서리에 흡기구가 있다.[27] 이기종 언어 번역 호환성 레이어 방식으로 하위 호환을 제공하는 예시로 Rosetta 2가 있다.[28] 이전 세대 콘솔은 하위호환을 전혀 지원하지 않는 상태로 출시되었는데, 이번 세대 콘솔은 콘솔 3사가 모두 출시 초기부터 하위호환 기능을 갖추고 나왔다. 각자 머리를 써가며 자신들만의 하위호환 방법을 개발한 것도 재밌는 비교점이다. 스위치 2는 호환성 레이어(하위호환 게임의 코드를 실시간으로 현기종에 맞도록 번역하는 방식)로 하위호환을 구현했고, 플레이스테이션 5는 하드웨어 스푸핑 (CPU 명령어 실행 타이밍 등 프로세서의 특성이나 하드웨어 스펙을 이전 기종의 것에 맞도록 정밀하게 낮추어 마치 이전 기종에서 게임이 실행되는 것 같다고 하위호환 게임을 속이는 방식)방식, 엑스박스 시리즈 라인업은 Hyper-V(콘솔 전체 시스템을 하이퍼바이저 위에 올려 하위호환 게임을 가상화 환경에서 실행하는 방식)로 하위호환을 구현했다.[29] 스위치 1→스위치 2로의 업그레이드 정책은 오직 제목에 'Nintendo Switch 2 Edition'를 달고 있는 게임에만 적용된다. 유료 게임이 포트나이트와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기존 구매자는 스위치 2 버전을 통째로 새로 사야 한다.[30] 1편의 픽셀 리마스터 버전.[31] 그 외 고정 팬 층이 있는 서브컬처 쪽 게임으로도 도쿄 재너두, 용사 넵튠,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그림 가디언즈 데몬 퍼지, 섬란 카구라 Reflexions, 밤이 없는 나라 2, 킬라킬 더 게임, UNDER NIGHT IN-BIRTH Exe:Late[cl-r] 등 나름대로 유명세가 있는 게임들이 올라와있다.[32] 한국 스위치 e숍에서 게임을 검색했을 때, 분명히 같은 게임인데 타 국가 e숍과 지원 언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 경우가 바로 유통사가 별개의 빌드를 만들어 정발한 작품에 해당한다.[33] 쉐도우 라비린스가 스위치 2 에디션 업그레이드 패스를 무료로 내겠다고 하면서 단순히 유/무료 차이는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34]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추가팩 이용자에게는 젤다의 전설 두 작품의 업그레이드가 무료로 제공된다.[35]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스위치2 에디션의 경우 출시된지 오래된 게임임에도 DLC 익스펜션 패스는 미포함 이며 별도 구매 해야한다. 게임 카드 하나에 모든 데이터가 들어있는 구성은 없으며 어떻게 해서든 추가 다운로드를 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기본제공] 본체 세트 구매시 기본적으로 제공된다.[기본제공] [기본제공] [39] 삼성 유니버셜 충전기 등 60W 이상 규격 USB PD를 지원하는 타사 어댑터와도 호환된다.[40] 패밀리컴퓨터의 후속작은 슈퍼 패미컴, 게임보이의 후속작은 게임보이 어드밴스, Wii의 후속작은 Wii U였고, 닌텐도 DS의 후속작은 닌텐도 3DS였다. 다만 이름 자체에 2가 들어간 것으로 최초는 아닌 게, 후속작 개념은 아니지만 3DS의 염가판인 닌텐도 2DS가 있었고 주변기기까지 포함한다면 슈퍼 게임보이 2라는 선례가 있었다.[41] 닌텐도 스위치는 발매 시점이었던 2017년 당시에도 거치형 기준으론 명백한 저사양 기기였다. 다른 콘솔 제조사들처럼 별도의 성능 향상 모델도 없이 8년간 버틴 탓에 성능이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42] 비슷하게 과거 닌텐도와 소송중이던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개발사가 소송 도중 닌텐도 스위치 발매를 예고한 사건이 있었다.[43] 프리미어 공개일 경우 2분의 카운트다운이 낀다는 것을 고려하면 22시 2분 공개가 된다.[44] 즉 한국 거주나 국적을 증명해도 일본이나 북미 계정만 쓰고 있으면 참여 불가능. AS문의 관련 답변도 이 기준에 따라 수행 중이다.[45] 즉 유튜브 앱 등 무료 앱이나 체험판 플레이 기록은 인정되지 않는다.[46] 패밀리 플랜일 경우 이용권 구매자만 위 조건 충족의 대상이 된다.[47] 패밀리 플랜의 경우 실제 플랜을 구매한 사람의 계정만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