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7:50:14

에서 넘어옴
가르칠 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표준 중국어
jiāo, ji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

1. 개요

敎는 '가르칠 교'라는 한자로, '가르치다', '교육', '본받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가르치다
중국어 표준어 jiāo <colbgcolor=#fff,#1f2023>jiào
광동어 gaau1 gaau3
객가어 kâu kau
민북어 ga̿u[文] / háu [白] ga̿u
민동어 gáu[文] / gá[白] gáu
민남어 kàu[文] / kà[白] kàu[文] / kà, kah[白]
오어 kau (T2) jiau (T2)
일본어 음독 キョウ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베트남어 giao giáo

유니코드에선 U+654E에 배정되어있다.

파일:敎자원.png
(사귈 효), (아들 자), (칠 복) 자를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이다. 기본적으로 회의자이나, 爻 자를 성부(聲符)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정장상팡(鄭張尙芳)과 벡스터-사가르(Baxter-Sagart)의 상고음 재구에는 이런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아이를 회초리로 치는 모습에서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부터 현재까지 자형의 변화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갑골문에서는 (배울 학) 자와 비슷하게, 爻 자의 X 부분이 하나만 있는 모양과 두 개 있는 모양이 있고, 子 자가 있는 모양과 없는 모양으로 구별된다.

敎의 이체자로는 教가 있는데, 한국을 제외한 모든 한자문화권에서는 이 자형을 사용한다.[9] 신자체간체자는 물론이고, 번체자구자체에서도 敎가 아닌 教가 표준이다. 한국에서는 서예 등에서 간간이 教가 사용된다. 教는 유니코드에는 U+6559에 배정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DOK(十木人大)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1음절 동사로 '~에게 가르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위 표에서 전자로 발음하고, 그 외에 2음절 이상의 합성어에서는 후자로 발음된다. 전자는 대개 평성이고, 후자는 대개 거성이다.

한문에서는 문법적 기능으로 使와 유사하게 '시키다'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두에서는 '이산'이나 '이시'로 읽었다. 뜻은 '(윗사람이) 말하다/행동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4. 유의자

5. 상대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文] [白] [9] 자원 상으로는 敎가 원의에 가깝다. 教의 좌측 는 아들()이 노인()을 업은 모양으로 자원 상으로는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