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5:55:17

강유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합의사항1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평가 문단의 '평가', '과거의 평가', '현대의 평가' 문단의 내용을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두 문단에 나누어 서술하며, '평가' 직속 내용 및 '과거의 평가', '현대의 평가' 문단을 삭제한다.
참고사항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강유(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蜀漢
촉한의 재상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181818"
내정·외정 통합기(221 ~ 253)
1대 2대 3대
제갈량 장완 비의
내정·외정 분리기(253 ~ 263)
4대(內政) 4대(外政) 5대(內政)
진지 강유 동궐·번건·제갈첨 }}}
}}} }}}

촉서(蜀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0f4d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1권 「유이목전(劉二牧傳)」 2권 「선주전(先主傳)」 3권 「후주전(後主傳)」
유언 · 유장 유비 유선
4권 「이주비자전(二主妃子傳)」 5권 「제갈량전(諸葛亮傳)」 6권 「관장마황조전(關張馬黃趙傳)」
감부인 · 목황후 · 경애황후 · 장황후 ·
유영 · 유리 · 유선(璿)
제갈량 ,제갈교 제갈첨 동궐 번건, 관우 ,관흥, · 장비 ,장포, · 마초 ,마대, · 황충 ·
조운 ,조통 조광,
7권 「방통법정전(龐統法正傳)」 8권 「허미손간이진전(許糜孫簡伊秦傳)」 9권 「동류마진동여전(董劉馬陳董呂傳)」
방통 ,방굉 방림, · 법정 허정 · 미축 · 손건 · 간옹 · 이적 · 진밀 동화 · 유파 · 마량 ,마속, · 진진 ·
동윤 ,진지, · 여예
10권 「유팽요이유위양전(劉彭廖李劉魏楊傳)」 11권 「곽왕상장양비전(霍王向張楊費傳)」 12권 「두주두허맹래윤이초극전(杜周杜許孟來尹李譙郤傳)」
유봉 ,맹달, · 팽양 · 요립 · 이엄 · 유염 · 위연 · 양의 곽준 ,곽익 나헌, · 왕련 · 상랑 ,상총, · 장예 ·
양홍 ,하지, · 비시
두미 · 주군 · 두경 · 허자 · 맹광 · 내민 ·
윤묵 · 이선 · 초주 ,초수, · 극정
13권 「황이여마왕장전(黃李呂馬王張傳)」 14권 「장완비의강유전(蔣琬費禕姜維傳)」 15권 「등장종양전(鄧張宗楊傳)」
황권 · 이회 · 여개 · 마충 · 왕평 ,구부, · 장억 장완 ,장빈 장현 유민, · 비의 · 강유 등지 · 장익 · 종예 ,요화, · 양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관련 틀: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tablebordercolor=#008000> }}} }}}}}}}}}


개명왕(開明王)
서위의 추숭 왕
姜維
강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iangWei.jpg
시호 <colbgcolor=#ffffff,#191919>개명왕(開明王)
작위 당양정후(當陽亭侯), 평양후(平襄侯)
최종직위 대장군(大將軍), 녹상서사(錄尙書事)
영 량주자사(領 涼州刺史)
성씨 (姜)
(維)
백약(伯約)
부친 강경(姜冏)
생몰 기간 202년[1] ~ 264년 1월 18일 (음력)
202년 ~ 264년 3월 3일 (양력)
고향 옹주(雍州) 천수군(天水郡) 기현(冀縣)

1. 개요2. 생애(정사)3. 연의
3.1. 연의에서의 촉 귀순 과정
4. 평가5. 여담6.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후한 말과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

는 백약(伯約). 시호는 서위우문태추봉한 개명왕(開明王)이다.[2] 옹주 천수군[3] 기현 사람이다.

위의 신하였다가 제갈량제1차 북벌에서 촉한에 항복하고 촉한의 신하가 되었으며, 제갈량 사후 촉한의 대장군까지 올랐다. 약 20여년간에 걸쳐 위나라로 여러 차례 쳐들어가는 강유의 북벌을 벌였으나 위의 방어선을 뚫지 못하고 실패했으며 촉한멸망전에서 위의 침공에 맞서 촉군 주력군을 지휘해 방어에 나섰으나 촉한의 멸망을 막지 못했다. 그 후에도 촉한을 재흥시키려 위나라의 장군 종회와 협력해 난을 계획했지만 사전에 탄로나면서 습격해온 위군과 싸우다 죽음을 맞았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후계자처럼 그려지며, 제갈량 사후 삼국지연의의 마지막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실제 역사에서 제갈량의 직접적인 후계자라고 볼 수 있었던 인물은 장완비의였다. 다만 실제 역사에서도 제갈량이 강유를 두고 칭찬하는 등 각별한 인연은 있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2. 생애(정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유/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연의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이 세상을 떠나고 뒷일을 도맡은 촉한의 마지막 사령관이자, 거대 낭만서사로서의 삼국지연의에서 사실상 마지막 부분을 장식하는, 유비-제갈량에 이은 세 번째 주인공이기도 하다.

현대 한국의 삼국지연의에 큰 영향을 준 모종강본 삼국지연의에선 제갈량이 104회에서 죽고 그 후부터인 105회부터 그가 죽는 119회까지는 강유가 주인공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비중이 있다. 모종강본이 120회이니 1/8 정도는 그에게 주인공으로서 분량이 가는 것이다. 유비는 1회부터 85회까지 제갈량의 경우 36회부터 104회까지 강유는 92회부터 119회까지 출연하니 다른 둘에 비하면 확실히 비중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 한국 판본에서는 제갈량의 사후를 대놓고 축약하거나 그냥 오장원에서 끊어버리는 삼국지 판본들도 꽤나 많은데 황석영 삼국지나관중본 삼국지연의에선 제갈량 사후 한 권 반을 차지하는 독보적인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다.

연의에서 묘사되는 구벌중원은 다음과 같다. 1차: 249년 우두산(국산), 2차: 254년 철롱산(적도), 3차: 255년 조수, 4차: 256년 단곡, 5차: 258년 장성, 6차: 258년 기산, 7차: 260년 야곡, 8차: 262년 조양, 9차: 263년 답중. 이 중 6차, 7차 북벌은 완전히 창작이고, 9차 북벌은 실제로는 그냥 가서 주둔하고 둔전한 게 다다. 정확히는, 성도의 정치 싸움을 피할 겸 새 북벌을 하느라 가서 군량과 무장을 마련하는 중이었지만.

3.1. 연의에서의 촉 귀순 과정

연의와 실제 역사 모두 제갈량의 1차 북벌 당시 촉에 귀순하는 것은 같지만 정사와는 이야기 진행이 크게 다르다.

연의에서는 93회 때 제갈량의 전략을 간파하고 그에게 처음으로 패배를 안겨 준 인물이라는 상당히 임팩트 있는 데뷔를 한다.[4] 강유를 본 제갈량은 반드시 자신의 사람으로 만들어야 되겠다고 심혈을 기울이고 마침내 성공하여 강유의 항복을 받아 자신의 사람으로 만든다.

제갈량이 계책을 써서 안정태수인 최량을 죽인 이후 같은 방법으로 천수태수마준을 죽이려 했는데, 이 때 강유가 그 계책을 꿰뚫어봐서 마준이 말려들지 않게 했다. 제갈량은 배서를 하후무의 심복이라 위장해서 보내서 '하후무께서 위험하니 와서 도와주십시오'란 편지를 보냈다. 여기에 가짜 파발꾼을 한 번 더 보내자 마준은 완전히 속을 뻔했는데 강유가 '하후무가 도대체 무슨 수로 포위망을 뚫고 사람을 보내며, 배서란 심복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도 없고, 파발꾼 또한 공문 한 장 없이 다녀갔다.'란 근거를 대며 속임수란 것을 간파하여 무산되었다. 강유는 한 발 더 나아가 제갈량의 계략에 넘어간 척 역이용하여 조운을 끌어들인 뒤 스스로 복병을 맡아 조운과 싸운다. 조운은 점점 날카로워지는 강유의 창 솜씨에 깜짝 놀란다. 이에 마준과 양건의 본대까지 돌아와 협공하자 조운은 가까스로 도망쳤고, 본래 마준을 기습하려고 매복 중이던 장익고상이 사태를 깨닫고 구원하러 온 덕분에 간신히 돌아간다.

조운의 보고를 받은 제갈량은 자신의 계략을 간파당했다는 것을 알고 깜짝 놀라고 "이제 천수를 취하려는 참에 이런 인물이 나타날 줄이야!"라며 탄식한다. 충격을 받은 제갈량은 다음번에 직접 선봉으로 나서 성을 공격하지만, 그것조차 강유의 예상 범위 안이었다. 생각보다 성의 방비가 철저해 제갈량이 일단 밤까지 기다렸으나 미리 밖에서 매복하고 있던 강유가 바로 야습해 온다. 이렇게 되자 제갈량으로서는 드물게도 황급히 말에 올라 무작정 도망치는 굴욕을 당하고, 관흥장포의 호위를 받아 간신히 빠져나온다. 이 과정에서 강유가 마치 뱀처럼 군사를 부리는 것을 보고 제갈량은 다시 한 번 감탄한다. 지략으로는 제갈량의 작전을 간파할 정도로 뛰어나며, 무재로는 조운과 대등할 정도의 면모를 드러내며 데뷔를 화려하게 장식한 것이다.

이후 제갈량은 강유가 효심이 깊다는 것을 이용, 위연에게 강유의 어머니가 사는 기현을 공격하게 하고는 구원하러 온 강유를 입성하게 내버려둬서 성 안에 묶어놓았고 근처 요충지인 상규를 공격해서 보급로를 차단한다. 한편 붙잡았던 하후무를 풀어주되 그가 가는 길에 난민으로 위장한 촉군과 마주치게 하여 강유가 촉에 항복했다는 소문을 뿌렸다. 하후무가 천수성에 들어가 마준에게 보고 들은 바를 알리고, 그날 밤 천수성에 강유와 비슷한 사람을 앞세워서 공격하자 마준은 강유가 촉에 항복했다고 확신하게 된다.

한편 갇혀 있는 터라 군량이 부족해진 강유에게 일부러 허술하게 무장한 군량 수송대를 보여줘서 강유를 성 밖으로 끌어낸다. 장익과 왕평이 강유의 발을 묶는 사이에 위연이 성을 점령해 버리자 강유는 천수로 달아난다. 하지만 천수성의 마준은 물론 상규성의 양건도 강유가 항복했다고 여기고 쫓아냈다.

이에 강유가 홀로 장안을 향해 달리지만 관흥이 길을 차단하고, 지칠 대로 지친 강유는 싸울 엄두도 못 내고 도망치려고 하지만 뒤에서는 제갈량이 군사를 이끌고 나타나 완전히 포위된다. 제갈량이 항복을 권유하자 강유는 빠져나갈 길이 없음을 인정하고 땅에 내려 항복한다. 그러자 제갈량은 수레에서 내려 손수 강유를 일으켜주고는 "내가 평생 배운 바를 현명한 이에게 전하려 했으나 마땅한 인재를 못 찾아 초조하던 터인데, 이제 백약(강유의 자)을 만났으니 소원을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다."라고 기뻐한다.

그러나 이것은 연의의 창작으로 제갈량 사후 촉한을 책임지는 강유를 띄워주기 위한 소설적 장치이다. 실제 역사에서 강유의 투항은 부당한 조국의 버림과 모친과의 생이별이 담긴 안타까운 스토리이다. 하지만 직접 후계자로 지명하지 않았을 뿐 제갈량이 강유를 높게 평가하여 후세대를 이끌 인재로 여긴 것은 사실이며, 촉에 귀순한 그를 파격승진시키며 입지를 다지게 해줬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유/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6.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유/기타 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국내의 일부 연의 평역본과 진삼국무쌍 7 엠파이어즈에서는 206년이라 기재되어있는데 오류이다. 강유가 사망 당시 58세였다고 하여 역산하면 206년 생이 나온다.[2] 우문태가 개명(開明)이라는 시호를 준 이유는 알 수 없으나 과거 춘추전국시대 고촉(古蜀)왕조의 명칭이 개명(開明)이었기에 촉과 관련하여 준 듯 하다.[3] 천수군은 해당 지역의 옛 이름이고, 74년에 '한양군'으로 개명되었다가, 후한말과 위진시대에는 천수군과 한양군이 혼용되었다. 삼국지연의에는 천수군으로만 호칭됨.[4] 연의에서 제갈량의 공식 라이벌인 사마의가 그를 엿 먹인 경우는 보통 제갈량이 제대로 잘 짜놓은 판에 여러가지 예상 못한 차질이 생겨 사마의가 틈을 놓치지 않고 공략했거나 예상치도 못한 행운이 찾아와 기회를 잡고 공명의 허를 찌른 일이 대부분이었는데, 강유는 자기 혼자서 곧장 제갈량의 계략을 꿰뚫어보고, 정면으로 뚫어버렸다는 점이 인상을 크게 남겼다.[5] 강유의 후손, 북위시기 관원, 연주자사, 천수군공(天水郡公)[6] 강명의 아들, 북주시기 관원 형진이주자사(荆秦二州刺史), 조읍현공(朝邑縣公)[7] 강원의 아들, 당고조 시기 장령, 일찍이 태학(太學)에서 공부했는데, 학업에 진전이 없자 그만두고 좌익위(左翊衛)가 되었다. 공로를 인정받아 응양낭장(鷹揚郎將)으로 옮겼다. 당나라 고조가 병사를 일으키자 좌통군(左統軍)에 오르고 영안현공(永安縣公) 작위를 받았다. 우무위대장군(右武衛大將軍)을 지냈다. 송금강(宋金剛)과 싸우다 전사했다. 시호는 강(剛)이다. 좌위대장군, 유주총관으로 추증되었다.[8] 강보의의 아들, 당고종 시절 장령, 시중, 영안군공(永安郡公), 전투로 인한 전공으로 인해 좌상(左相)에 올랐으며, 염입본(閻立本, 중국 당대 초기의 화가, 600 - 673)이 동시기에 그와 더불어 우상이 되었다. 시인이 평론하기를 “좌상은 장수로서 그 위엄은 멀리 사막에까지 퍼졌고(宣威沙漠),우상은 명예로움을 단청에 남겨 후세에 전하였다(馳譽丹靑)”라고 말하였다.[9] 강보의의 아들, 당나라 시기 관원, 연연도호(燕然都護), 하주도독(夏州都督), 성기현후(成紀縣侯), 전서(篆書)와 주문(籀文)을 잘하였다.[10] 강협의 아들, 당나라 시기 관원, 하주도독부법조(夏州都督府法曹)[11] 강수의 아들, 당나라 시기 관원, 조의대부전(朝議大夫前),행상서사훈랑중(行尙書司勳郎中),상주국(上柱國)[12] 강앙의 손자, 당나라 시기 관원, 건주자사(虔州刺史), 장작소감(將作少監).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