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당시 나치 친위대의 경우에 대한 내용은 슈츠슈타펠/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상위 문서: 계급장
하위 문서: 계급장/목록/과거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
전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이 장교와 사병의 계급장을 따로 분리해서 정한다. 장교는 주로 덩어리진 계급장이 많으며(예를 들면 ★, ◆, ■, ● 등등의 특정표식) 사병은 주로 '>' 모양, 쉽게 말하자면 V자 모양의 계급장이 많다. 물론 V자 계급장은 대한민국의 경우 부사관만 사용한다.해외 계급장
계급장 사이트
유럽연합 계급장
2.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장
대한민국 국군의 군사 계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3573e,#161D15> 장교 | 장성급 장교 | ||||||||||||||
{{{#!folding [ 원수 ]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준장 | 소장 | 중장 | 대장 | }}} |
영관급 장교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소령 | 중령 | 대령 | }}} | |||||||||||
위관급 장교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소위 | 중위 | 대위 | }}} | |||||||||||
준사관 | 준위 | ||||||||||||||
부사관 | 하사 | 중사 | 상사 | 원사 | |||||||||||
병 | 이등병 | 일등병 | 상등병 | 병장 | |||||||||||
양성 | 훈련병 · 부사관후보생 · 준사관후보생 · 사관후보생 · 사관생도 진급 | 진급예정 · 임기제 진급 · 진급 상한선 · 보직해임 서열 | 국군 의전서열 기타 | 용사 · 수병 · 해병 |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는 간부들은 옷깃에, 이병에서 병장까지 병은 가슴에 달고 다닌다. 또한 해군 정복의 경우 옷소매에 계급장을 달고 다닌다. 이를 袖(소매 수)자를 써서 수장(袖章)이라고 한다.
병의 계급장의 경우, 전투복, 전투모, 야전상의에 사용되는 계급장을 전투장이라고 부르며, 근무복·근무모에 다는 계급장을 비전투장이라고 부른다. 야상이나 근무복 소매에 붙이는 큰 계급장은 정장, 전투모나 근무모, 전투복 가슴에 붙이는 작은 계급장은 약장이라 한다. 전투복에 붙이는 포제 계급장은 무조건 노란색인 준위 계급장을 제외하고 군종에 따라 색이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해군 특수전전단. 회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간부 계급장은 군모장, 정장, 약장으로 나뉜다. 간부의 계급장에 붙어있는 무궁화 받침은 장교와 부사관의 모양이 달랐다. 장교는 무궁화 받침의 잎이 6장, 부사관은 4장이었지만 2016년 2월 29일, 부사관도 장교와 같이 6장으로 바뀌었다.
대위 계급장. 무궁화 받침의 잎이 한쪽에 3장, 총 6장이다.
상사 계급장. 무궁화 받침의 잎이 한쪽에 3장, 총 6장이다.
재질은 병의 계급장은 포제 계급장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반면 간부 계급장은 포제 계급장과 금속제 계급장이 둘다 존재한다.
외국의 대부분의 군대와는 달리,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장은 병부터 장교까지 3군(+해병대)이 통합된 형태의 계급장을 사용한다.(해군의 수장과 견장은 제외) 병의 계급장은 지각의 4개의 층을 의미하고 부사관의 계급장은 나뭇가지를, 위관과 영관, 장성은 금강석, 대나무꽃, 별을 의미하고 각각 지하, 지상, 우주를 의미한다고 한다.
구분 | 모양 | |||||
계급장 | (대한민국 해군) | |||||
수장 | 견장 | |||||
사병 | 병 | 이등병 | ||||
일등병 | ||||||
상등병 | ||||||
병장 | ||||||
부사관 | 하사 | |||||
중사 | ||||||
상사 | ||||||
원사 | ||||||
준사관 | 준위 | |||||
장교 | 위관급 장교 | 소위 | ||||
중위 | ||||||
대위 | ||||||
영관급 장교 | 소령 | |||||
중령 | ||||||
대령 | ||||||
장성급 장교 | 준장 | |||||
소장 | ||||||
중장 | ||||||
대장 | ||||||
원수 |
2.1. 학년장
구분 | 모양 | ||||
육군 | 해군 | 해병대 | 공군 | ||
부사관후보생 | |||||
준사관후보생 | [1] | ||||
생도·사관후보생 | 1학년 | ||||
2학년 | |||||
3학년 | |||||
4학년 |
2.2. 육군
전투복 용 계급장은 진한 연두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계급표시를 한다. 1996년에 벌어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으로 인해 계급장 색이 바뀌었다. 원래 미군이 베트남 전에서 저격 위험을 줄이고 위장을 강화하기 위해 계급장을 검은색으로 바꾼 후 우리 군도 곧바로 계급장을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검은색이 초상, 상복을 의미한다며 이를 부정적으로 보는 장성들의 의견이 있었다고 한다. 강릉 사건 전까진 색상 변경이 되지 않다가 이 사건 직후 변경이 이뤄졌다.)[2] 장교는 흰색, 부사관과 병사는 노란색(병 야전상의는 빨간색)이었던 육군 계급장과 이름표(글자색)가 현재의 검은색으로 바뀌었다. 다만 이후 진한 녹색 바탕에 검은 실 자수가 잘 보이지 않아 경례받기 힘들다는 이유로 다시 바탕을 연두색으로 바꾸게 된다. 2000년대 초 이후로 부대마크도 전투복과 동일하게 저채도 색상으로 바뀌었다.병의 경우 전투복에는 상의의 가슴쪽에 붙어있는 주머니 중에서 왼쪽주머니 덮개에서도 오른쪽 하단에다가 계급장(약장)을 단다.[3] 신형전투복은 오버로크 대신 찍찍이로 되어 있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야전상의의 경우 전투복과 달리 가슴쪽 주머니에 부착하지 않고, 상완부에다 전투 정장을 부착한다. 계급장의 대략적인 부착 위치는 어깨와 팔꿈치의 중간지점쯤. 단 2011년 10월 이후 보급되기 시작한 신형 야전상의의 경우는, 전투복 상의와 마찬가지로 왼쪽 윗주머니 덮개 위에 부착한다. 이것 때문에 병 전투복에는 아예 저채도 정장이 없어졌다.
장교, 부사관의 경우 전투복에는 옷깃(카라)에 계급장을 붙이며, 야전상의의 경우 계급장을 따로 안붙이고, 야전상의 견장대에 계급이 표시된 견장을 끼운다. 물론 그 사람의 직책에 따라 지휘관, 지휘자라면 계급이 표시된 녹색의 견장, 그렇지 않은 사람은 계급이 표시된 회색의 견장.
또한 장교, 부사관의 경우 포제 계급장 이외에도 금속제 계급장도 있는데 장교는 은색, 준위와 부사관은 금색이다. 이건 주로 정복, 근무복, 베레모, 전투모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간부의 경우 정복과 근무복에는 포제 계급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2.3. 해군
얼룩무늬 전투복(육전복)용(구형) 계급장은 장교의 경우 감색 바탕에 흰색, 부사관·준사관은 노란색으로 역시 옷깃에 패용하며, 병의 경우는 노란색 계급장을 타군과 같이 왼가슴 주머니 뚜껑 위에 부착한다. 해상병전투복(샘브레이), 고속정전투복 또한 이와 동일하다. 신형 디지털 픽셀 전투복은 유형에 따라 바탕색은 달라지나[4] 기본적으로 병/부사관/장교는 흰색, 준사관은 노란색을 유지하며, 예외로 UDT/SEAL에서는 병/부사관/장교 계급장으로 검은색을 사용한다.야전상의의 경우 장교, 준사관, 부사관은 견장대에 계급장이 그려진 밸크로를 착용하며 병은 전투복 상의와 마찬가지로 왼가슴 주머니 뚜껑 위에 계급장을 부착한다.
간부만 입는 카키색 하근무복·검은색 동근무복의 경우는 역시 옷깃에 금속제에 핀으로 꽂는 형식으로 된 약장 계급장을 부착한다. 계급장의 모양은 타군과 동일.
동정복의 경우에는 장교의 경우 해군 특유의 금사로 된 수장을 소매 밑단 부분에 부착하는데, 준위는 1/2인치 두께의 굵은 줄이 가운데가 끊어진 상태로 한 줄, 소위는 1/2인치 두께 굵은 줄 한줄, 중위는 굵은 줄 위에 두께 1/4인치짜리 가는 줄이 하나, 대위는 1/2인치 굵은 줄 2줄, 소령은 1/2인치 굵은 줄 두 줄 사이에 1/4인치 가는 줄 하나, 중령은 1/2인치 굵은 줄 3줄, 대령은 1/2인치 굵은 줄 4줄, 준장은 2인치 두께의 굵은 줄
하나, 소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하나, 중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두개, 대장은 2인치 굵은 줄 윗부분에 1/2인치 굵은 줄 3개가 들어간다.(미군과 수장 배치가 100% 동일하다. 단, 줄 맨 위에 붙는 마크가 미군은 별, 한국군은 태극에 닻이 교차한 마크라는 점만 다르다.) 준위의 경우는 소위의 굵은 줄 하나 중간에 검은색 천조각이 들어가서 줄이 끊긴 모양이 된다. 부사관의 경우는 우상완부에 금색 포제 계급장를 부착한다. 따라서 간부 동정복에는 견장대가 존재하지 않는다.
병의 경우 동정복과 동코트에는 우상완부에 붉은색 포제 계급장을 부착한다.
하정복·하약정복은 장교는 동정복에 부착하는 수장의 모양을 본뜬 견장을 부착한다. 견장에는 사다리꼴로 된 천쪼가리에 금사가 박혀 있는 토시형 견장과, 딱딱하고 입체적인(?!) 플라스틱에 부직포 씌운 것 같은 물건에 금사가 박혀있고 견장대에 끼워 패용하는 하드형 견장이 있는데, 하정복 및 하약정복에 다는 견장은 후자. 단, 장성의 경우는 수장의 모양을 본뜨지 않고, 견장의 전체 배경은 고급스럽게 장식이 되어 있는 금색이며 그 위에 별을 박는다.
부사관의 경우 우상완부에 금색 포제 계급장를 부착하며, 수병의 하정복은 우상완부에 검은색 계급장을 부착한다.
2.3.1. 해병대
전투복, 야전상의, 팔각모의 계급장은 육군의 것과 같다.다만 차이가 약간 있는데, 병의 경우 육군이 전투복상의 왼가슴쪽 주머니 덮개 오른쪽 하단이라면, 해병대는 하단이 아닌 상단에다가 계급장을 부착한단 거다.
또한 야전상의의 경우에는 육군처럼 팔뚝에 정장을 부착하는게 아니라, 전투복과 같이 야전상의 가슴쪽 왼쪽 주머니 덮개 오른쪽 상단에 약장을 부착한다.
2.4. 공군
전투복, 야전상의용 계급장 색깔은 국방색을 바탕으로 병/부사관/장교는 파란색, 준사관은 노란색을 사용한다.병의 경우 전투복의 계급장 부착위치는 육군과 동일하며, 구형 야전상의도 육군과 동일한 위치에 전투 정장을 부착하나 신형 야전상의의 경우는, 전투복 상의와 마찬가지로 왼쪽 윗주머니 덮개 아래에 부착한다. 약정복(약복)에는 약장을 부착하지 않고 구형야상과 동일하게 상완부에 비전투 정장을 부착한다. 근무모에는 비전투 약장이 붙었으나, 2012년 복제가 개선되어 근무모가 개리슨 모로 바뀌면서 계급장이 사라지고 포제 공군 모표만 붙이게 되었다.
장교 및 부사관은 육군과 대동소이하지만, 야전상의에 견장을 끼우는 게 아니라 오버로크를 쳤는데 이는 구형야전상의에 적용하던 것으로, 신형 야전상의는 견장에 끼운다. 또한 전투모에 철제 계급장을 사용하지 않고, 큼지막한 포제 계급장[5]을 사용한다. 다만, 장성급 장교의 경우는 특이하게 계급장을 패치로 붙이지 않고 전투모에 직접 계급장 모양의 자수를 놓는다. 육해군 장성들과는 다른 오직 공군 장성만의 특징이다.
약정복에는 끼우는 견장을 사용한다. 감색바탕에 부사관은 노란 색, 장교는 흰색. 정복의 경우는 철제 계급장이며. 약정복에 맞춰 쓰는 개리슨 모에는 철제 계급장이 붙으며, 색은 견장과 동일. 정모에는 계급장이 붙지 않고 모표만 붙는다.
2.5. 관련 문서
3. 경찰공무원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293567><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경찰공무원 | ||||||||
경무관 | 치안감 | 파일:치안정감계급장.svg 치안정감 | 치안총감 | ||||||
경위 | 경감 | 파일:경정계급장.svg 경정 | 총경 | ||||||
- | 순경 | 경장 | 경사 | ||||||
제주자치경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자치경무관 | ||||||||
자치경위 | 자치경감 | 파일:제주자치경정_계급장.svg 자치경정 | 자치총경 | ||||||
- | 자치순경 | 자치경장 | 자치경사 |
전투경찰·의무경찰(폐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의경 | 이경·일경·상경·수경·특경 | |||||||
전경 | 이경 | 일경 | 상경 | 수경 | 특경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 |
자세한 내용은 경찰공무원/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3.1. 경찰견
대구경찰청 경찰견 계급장 |
4. 소방공무원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8402d><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소방공무원 | |||||||
소방준감 | 소방감 | 소방정감 | 소방총감 | |||||
소방위 | 소방경 | 소방령 | 소방정 | |||||
소방사시보 |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 | |||||
의무소방대(폐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방 | 일방 | 상방 | 수방 | 특방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자세한 내용은 소방공무원/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5. 관세직 공무원
관세청 소속 공무원[7]의 제복(동정복 상의, 하정복 상의)에 계급장을 착용한다. 교정직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관세청 소속 공무원들은 특정직 공무원이 아니라서 군인, 경찰, 소방관처럼 별도의 계급명이 있지 않고 일반 공무원의 1~9급 체계이다. 다만 각 계급에 맞는 계급장이 있는 것. 모자에도 차양표면 중앙에 새기는 무궁화 개수와 크기 등에 따라 계급 구분이 있으며 부착물 중 직위장이라고 해서 리본[8] 안쪽에 관세청장, 관세청 차장, 본부세관장, 세관장 등의 글자가 젖빛으로 돋을새김되어 있는 것도 존재한다.계급 | 계급장 |
청장 | |
1급 | |
2급 | |
3급 | |
4급 | |
5급 | |
6급 | |
7급 | |
8급 | |
9급 |
6. 교정직 공무원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41b4d><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교정직 공무원 | |||||||
부이사관 | 부이사관 | 이사관 | 관리관 | |||||
교위 | 교감 | 교정관 | 교정감 | |||||
- | 교도 | 교사 | - | |||||
경비교도대(폐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교 | 일교 | 상교 | 수교 | 특교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 |
자세한 내용은 교정직 공무원/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7. 출입국관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2ade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출입국관리직 공무원 | |||
관리관 | ||||
사무관 | 서기관 | 부이사관 | 이사관 | |
주사보시보 | 주사보 | 주사 | ||
서기보시보 | 서기보 | 서기 |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 |
대한민국 법무부[9] 소속으로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와 그 소속 출입국관리사무소 및 그 출장소 등에 근무하는데 겨울정복, 여름정복, 한여름정복 등에 계급장이 들어간다. 겨울정복과 여름정복의 경우 계급장을 상의 왼쪽 가슴 주머니 윗부분에 달고 한여름정복의 경우 상의 좌우 소매표장에 단다.[10] 정모의 경우도 무궁화 개수나 잎 개수에 따라 계급 구분[11]이 있다. 출입국관리공무원 복제 규칙(법무부령) 별표5 등을 참고할 것.
8. 철도공안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61626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철도경찰직 공무원 | |||
서기관 | 부이사관 | |||
주사보 | 주사 | 주사 | 사무관 | |
- | 서기보시보 | 서기보 | 서기 |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철도특별사법경찰대. 대한민국 경찰청과는 달리 행정안전부 소속이 아닌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철도지역 내 범죄예방과 질서유지를 담당한다.
9. 외국의 계급장
9.1. 미군
자세한 내용은 미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계급체계가 통일되지 않아서 서로 다른 레벨이 같은 명칭을 쓰는 경우가 왕왕 있는 미군이지만 E-1부터 E-9까지, O-1부터 O-10(또는 O-11)까지 세분화된 계급 수는 같다. 물론 준위 계급은 얘기가 다르지만… 국군 계급체계에 억지로 대입해보자면 E-1은 훈련병, E-9는 원사.
또한 미군 계급에서는 직무에 따라 같은 계급에서도 서로 다른 대우를 받고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장교 계급은 육군&해병대&공군과 해군&해안경비대 별로 같은 계급체계를 쓰지만 사병 계급에서 차이가 두드러지는 편인데, 육군의 상병 계급이나 해군/해안경비대의 이병/일병이 직별마다 다른 계급명으로 불린다거나 원사 계급의 명칭도 달리 불리는 등 한국군 출신 예비역이 보면 혼란스러울 수 있는 부분이 꽤 있다.
9.2. 조선인민군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민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3. 중화인민공화국
자세한 내용은 중국 인민해방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중국 해관/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
9.4. 중화민국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국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5. 러시아군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6. 인도군
자세한 내용은 인도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7. 영국군
자세한 내용은 영국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8. 아일랜드군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군 문서 참고하십시오.9.9. 호주군
자세한 내용은 호주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0. 뉴질랜드군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1. 캐나다군
자세한 내용은 캐나다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2. 프랑스군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3. 독일군
자세한 내용은 독일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4. 일본 자위대
자세한 내용은 자위대/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5. 이스라엘군
자세한 내용은 이스라엘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9.16. 체코군
자세한 내용은 체코군 문서 참고하십시오.9.17. 스페인군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군 문서 참고하십시오.9.18. 싱가포르군
자세한 내용은 싱가포르군 문서 참고하십시오.아래의 계급장은 육군, 해군, 공군도 같은 계급장을 사용한다. (출처) 서방 측의 국가 치고는 특이하게 해군 장교의 수장 계급장을 해군이 사용하지 않고 대신 지원병과 장교, 부사관들이 사용한다. 지원병과는 타 병과와 달리 계급이 총 8개로 단순하며, 각 계급은 타 병과의 계급 하나에 대응된다. 즉, 타 병과 기준으로는 중간중간에 없는 계급이 존재한다.출처
계급 | 준장 | 소장 | 중장 |
영어 | Brigadier General BG Rear Admiral (One-Star) RADM(1) | Major General MG Rear Admiral (Two-Star) RADM(2) | Lieutenant General LG Vice Admiral VADM |
중국어 | 準將 | 少將 | 中將 |
해석 | 준장 | 소장 | 중장 |
나토 계급표 | OF-6 | OF-7 | OF-8 |
싱가포르 육군 | |||
싱가포르 해군 | |||
싱가포르 공군 | |||
계급 | 준장 | ||
영어 | Military experts 8 ME8 | ||
중국어 | 準將 | ||
타이틀 | Chief engineer | ||
싱가포르군(지원병과) |
상장(上将) : 현재는 쓰이지 않는 계급이다.
계급 | 소교(소령) | 중교(중령) | 고급중교(선임중령) | 상교(대령) |
영어 | Major MAJ | Lieutanent-Colonel LTC | Senior Lieutanent-Colonel SLTC | Colonel COL |
중국어 | 少校 | 中校 | 高級中校 | 上校 |
나토 계급표 | OF-3 | OF-4 | OF-5 | |
싱가포르 육군 | ||||
싱가포르 해군 | ||||
싱가포르 공군 | ||||
계급 | 소교(소령) | 중교(중령) | 고급중교(선임중령) | 상교(대령) |
영어 | Military experts 5 ME5 | Military experts 6 ME6 | Military experts 7 ME7 | |
중국어 | 少校 | 中校 | 上校 | |
타이틀 | Senior engineer | Principal engineer | Senior principal engineer | |
싱가포르군(지원병과) |
계급 | 소위 | 중위 | 상위(대위) |
영어 | Second Lieutanant 2LT | Lieutanant LTA | Captain CPT |
중국어 | 少尉 | 中尉 | 上尉 |
나토 계급표 | OF-1 | OF-2 | |
싱가포르 육군 | |||
싱가포르 해군 | |||
싱가포르 공군 | |||
계급 | 소위 | 중위 | 상위(대위) |
영어 | Military experts 4 ME4 | ||
중국어 | 上尉 | ||
타이틀 | Lead Engineer | ||
싱가포르군(지원병과) |
계급 | 3급준위 | 2급준위 | 1급준위 | 준위장 | 고급준위장 | |
영어 | Third Warrant Officer 3WO | Second Warrant Officer 2WO | First Warrant Officer 1WO | Master Warrant Officer MWO | Senior Warrant Officer SWO | |
중국어 | 三級準尉 | 二級準尉 | 一級準尉 | 準尉長 | 高級準尉長 | |
나토 계급표 | WO-1 | WO-2 | WO-3 | WO-4 | ||
싱가포르군 | ||||||
계급 | 1급준위 | |||||
영어 | Military experts 3 ME3 | |||||
중국어 | 一級準尉 | |||||
타이틀 | Engineer | |||||
싱가포르군(지원병과) | ||||||
계급 | 총준위장 | |||||
영어 | Chief Warrant Officer CWO | |||||
중국어 | 總準尉長 | |||||
나토 계급표 | WO-5 | |||||
싱가포르군 |
계급 | 3급중사(하사) | 2급중사(중사) | 1급중사(상사) | 상사(원사) | 군사장(선임원사) |
영어 | Third Sergeant 3SG | Second Sergeant 2SG | First Sergeant 1SG | Staff Sergeant SSG | Master Sergeant MSG |
중국어 | 三級中士 | 二級中士 | 一級中士 | 上士 | 軍士長 |
나토 계급표 | OR-5 | OR-6 | OR-7 | OR-8 | OR-9 |
싱가포르군 | |||||
계급 | 2급중사(중사) | 군사장(선임원사) | |||
영어 | Military experts 1 ME1 | Military experts 2 ME2 | |||
중국어 | 二級中士 | 軍士長 | |||
타이틀 | Technician | Assistant engineer | |||
싱가포르군 |
중화권에선 사관이 부사관을 가리키는 말이다.
계급 | 이병 | 일병 | 상병 | 병장 | ||
영어 | Recruit REC | Private PTE | Private First Class PFC | Lance Corporal LCP | Corporal CPL | Corporal First Class CFC |
중국어 | 新兵 | 士兵 | 一等兵 | 準下士 | 下士 | 一等下士 |
해석 | 신병 | 사병 | 일등병 | 준하사 | 하사 | 일등하사 |
나토 계급표 | OR-1 | OR-2 | OR-3 | OR-4 | ||
싱가포르군 | 없음 | 없음 |
사병과 신병은 계급장을 차지 않는다.
9.19. 아르헨티나
자세한 내용은 아르헨티나군 문서 참고하십시오.[1]
육군 학사장교 및 전문사관 후보생과 같은 계급장을 사용한다. 후보생 시절에는 같은 계급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후보생의 나이만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50살 이상의 고령자가 후보생 계급장을 달고 있으면 거의 100%에 가깝게 준사관후보생이다.[2] 국방부 홍보용 웹툰에서는 강릉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도중 위장과 위장 및 피아식별 등의 목적으로 검은 칠을 해서라도 바꾸게끔 하였다[3] 병들의 진급신고시에 중대장이 진급하는 계급의 계급장을 양면테이프로 붙여준다고 한다.[4] 육상 및 UDT 전투복은 국방색, 함상 전투복은 감색, SSU 전투복은 회색을 바탕으로 쓴다.[5] 방탄모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6] 당연하지만 명예 계급이기 때문에 경찰관이 경찰견에게 경례를 하지는 않는다.[7] 본부세관, 세관, 세관 감시소 등에 근무한다.[8] 솔개가 지구본을 움켜쥐고 왼쪽으로 날아가는 모양…솔개랑 세관이랑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다[9] 교정본부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쪽 인원이 워낙 많아 이들이 빠져나가면 법무부 덩치가 확 쪼그라들 것이다.[10]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의 계급장은 금속무궁화 다섯개가 가운데의 출입국 V.I를 감싼 형태의 완성된 무궁화 하나이다. 출입국 V.I는 출입국 Visual Identity를 가리키는데 비둘기와 태극문양을 형상화해서 태극, 사람, 화합, 세계화를 상징한다고…[11]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의 경우 모자 차양에 큰 무궁화 4개와 무궁화 잎 5줄이 들어간다. 하지만 출입국관리공무원이 아닌 검사가 본부장에 낙하산임명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보긴 어렵지만 이제는 아니다.
육군 학사장교 및 전문사관 후보생과 같은 계급장을 사용한다. 후보생 시절에는 같은 계급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후보생의 나이만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50살 이상의 고령자가 후보생 계급장을 달고 있으면 거의 100%에 가깝게 준사관후보생이다.[2] 국방부 홍보용 웹툰에서는 강릉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도중 위장과 위장 및 피아식별 등의 목적으로 검은 칠을 해서라도 바꾸게끔 하였다[3] 병들의 진급신고시에 중대장이 진급하는 계급의 계급장을 양면테이프로 붙여준다고 한다.[4] 육상 및 UDT 전투복은 국방색, 함상 전투복은 감색, SSU 전투복은 회색을 바탕으로 쓴다.[5] 방탄모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6] 당연하지만 명예 계급이기 때문에 경찰관이 경찰견에게 경례를 하지는 않는다.[7] 본부세관, 세관, 세관 감시소 등에 근무한다.[8] 솔개가 지구본을 움켜쥐고 왼쪽으로 날아가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