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6:33:04

구로다 히로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30000><colcolor=#ffffff> 일반 문서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마쓰다 로고.svg 마츠다
일본시리즈 우승
★★★
1979 · 1980 · 1984
리그 우승
(9회)
1975 · 1979 · 1980 · 1984 · 1986 · 1991 · 2016 · 2017 · 2018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3 · 2014 · 2016 · 2017 · 2018 · 2023
시즌별 요약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월별문서 · 2023월별문서 · 2024월별문서 · 2025
현역 선수 경력 야수 | 키쿠치 료스케/선수 경력 · 아키야마 쇼고/선수 경력 · 사카쿠라 쇼고/선수 경력
투수 |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 · 쿠리바야시 료지/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2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유우 연습장 · 지방 홈구장 미요시 킨사이 스타디움
과거 히로시마 시민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1 로고.svg
주요 인물 구단주 마츠다 하지메 · 감독 아라이 타카히로 · 선수회장 오세라 다이치 · 주장 공석 · 어드바이저 쿠로다 히로키
스카우트 브래드 엘드레드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카프죠시 ·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마츠다 산하 구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영구 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No. 3 No. 8 No. 15
<rowcolor=#ffffff> 키누가사 사치오 야마모토 코지 구로다 히로키
}}}}}}}}} ||

파일:attachment/kuroda_hiroki_hs_15.jpg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15
구로다 히로키
黒田博樹 | Hiroki Kuroda
출생 1975년 2월 10일 ([age(1975-02-10)]세)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노에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우에노미야고 - 센슈대학
신체 185cm, 92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96년 드래프트 2라운드 (広島)
등장곡 B'z - RED[1] (2015~2016)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97~200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8~2011)
뉴욕 양키스 (2012~2014)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5~2016)
프런트 히로시마 도요 카프 구단 어드바이저 (2023~)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피칭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 선수.

NPB에서 11시즌 동안 활약 후 메이저리그에 진출해 7시즌 동안 훌륭한 성적을 거두고 친정팀에 복귀한 의리로 유명하다. 2016년 9월 10일, 카프의 25년 만의 리그 우승이 결정된 경기의 승리 투수이다.

전성기 시절에는 빠른 공의 구위()로 찍어누르던 투수였으나, 30대 이후 제구력에 중점을 두고 싱커와 슬라이더, 스플리터로 맞춰잡는 스타일로 변신했다.

2. 선수 경력

구로다 히로키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구로다 히로키/선수 경력
파일:NPB 로고.svg
카프 1기
2015년 2016년
파일:MLB 로고.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엠블럼(2002~2012).svg
2004 아테네 올림픽

3. 은퇴 이후

2017년에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귀국한 이후, 닛폰 테레비, 히로테레, TBS 테레비, J스포츠 등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다.

2022년 시즌 종료 후, 사사오카 신지 감독의 사임으로 감독 후보군에도 올랐지만 최종적으로 아라이 타카히로가 감독으로 취임했다. 대신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구단 어드바이저를 제의하면서 6년만에 구단에 복귀했다.

4. 피칭 스타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심장으로 여겨지는 선수였다. 히로시마 카프의 15번 영구 결번이기도 하다. 통산기록은 NPB 321경기 124승 105패 ERA 3.55, 2021⅔이닝, MLB 212경기 79승 79패 ERA 3.45, 1319이닝, 2005년 최다승리 1회, 2006년 최우수 방어율 1위 1회, 2005년 베스트 나인 1회, 2005년 골든 글러브 1회이며 그야말로 일본 야구사에 남을 에이스라고 할 수 있다.

젊은 시절에는 빠른 공의 구위로 찍어누르던 투수였으나, 30대 이후 제구력에 중점을 두고 싱커와 슬라이더, 스플리터로 맞춰잡는 스타일로 변신했다. 포심, 스플리터, 싱커, 슬라이더, 커브 등 다양한 구질을 이용하며 스트라이크 존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땅볼을 양산해 내는 땅볼형 투수다. 탈삼진 비율이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볼넷도 그만큼 적게 내준다.

여러 구질을 던지지만 역시 가장 크게 의존하는 주구종은 그렉 매덕스에게 배운 싱커. 구로다의 싱커는 싱커의 전형적인 움직임, 좌타자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구속은 평속이 91~2마일에서 잡히는 패스트볼 구속을 보였다. 이런 위력적인 싱커를 바탕으로 땅볼을 유도하는 게 구로다의 주무기. 싱커를 좌타자의 몸쪽으로 붙이면 타자의 몸에 맞을듯하다가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꺾이며 스트라이크존으로 떨어진다. 일명 '프론트도어 싱커'로 좌타자 입장에서는 눈 뜨고 코 베이는 격. 또한, 일본프로야구 최후의 완투형 투수로 불릴 정도로 이닝 소화력이 뛰어났다.[2]

히로시마에서 에이스 노릇을 할 때는 포심의 구위만으로 타자들을 압도할 수 있어서 굳이 공끝이 더러운 구질을 던질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에도 준수한 성적을 남겼지만 더욱 잘하기 위하여 빠르게 스타일을 바꾸며 꾸준히 준수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연습 투구 때는 던진적이 없는데 실전에서 계속 던져보니까 점점 더 공의 움직임이 좋아졌다고 한다. 또한 좌타자 몸쪽을 파고드는 싱커의 사용법은 2008년 다저스에서 선수생활 마지막해를 보내던 그렉 매덕스에게 배웠다고 한다. 비디오를 같이 보면서 싱커를 던지기 전에 어떤 구질을 던지고 어떤 카운트에서 던져야 하는지를 설명해 줬다고.구로다 히로키 스페셜 보이스 "인상에 남지 않는 구종은 의미가 없다'

결정구라고 할 수 있는 슬라이더는 스카우팅 리포트에 'Great movement'라고 표현할만큼 위력적이어서 타자는 더더욱 헷갈릴 수밖에 없다. 거기다 일본투수들의 상징인 스플리터 역시 날카로운 각으로 떨어지며 포심,커브도 간간히 던지기 때문에 타자 입장에서 구로다의 공을 상대할 때에는 다섯가지 구종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난감하기 그지 없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커브의 구사 비율이 낮다는 점 정도.

아쉬운 점은 역시 나이. 너무 늦은 나이에 메이저리그에 진출해서 해가 갈 수록 전체적인 구속이, 특히 포심의 구속이 줄고 있다. 본인도 이 점을 알기 때문에 2013년에는 포심을 줄이고 싱커 위주의 투구를 했는데, 오히려 타자들도 포심 생각을 안 하고 나와서 그런지 싱커가 공략을 많이 당했다. 포심은 워낙 적게 던지다보니 던질 때마다 의표를 찌른 편이어서 공략을 덜 당한 편.

나이로 인한 체력 문제 때문에 해마다 시즌 중반 이후 활약이 점점 줄어드는 것 역시 문제다. 시즌을 거듭하면 거듭할 수록 부진이 시작되는 시기가 앞당겨지고 그 깊이 또한 깊어져 가는 게 불안한 부분. 구속도 점점 줄어들고 있어 아무래도 그와 계약을 할 때에는 그가 꾸준히 잘 해온 선수여도 '올해도 잘 해 줄까?' 하는 불안감이 다른 선수들에 비해 큰 게 사실이다. 본인도 팀에 누를 끼치기 싫어 단년 계약을 하는 멘탈은 확실히 대단하다. 특히 뉴욕 양키스에선 다른 선수들이 부상으로 줄줄이 낙마하는 와중에도 힘이 부치긴 하더라도 끝까지 시즌을 끌고 나가는 모습을 보면 나이가 있어도 자기관리는 확실한 선수다.

게다가 항상 노트를 만들어 가지고 다니며 스스로 분석한 리그 내 타자의 핫존, 타격 패턴등을 기록해서 연구하는 학구파이다. 다년 계약을 고집하지 않고 매년 1년 계약연장만 요구하는 이유도 스스로 긴장감을 유지하여 최선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양키스 시절 브라이언 캐쉬먼 단장과 조 지라디 감독이 구로다를 절대적으로 신뢰했던 이유가 있다. 관련글

뛰어난 자기관리와 혹사와 거리가 있던 고교시절 덕분인지 선발진에 자리잡은 뒤로는 타구에 얼굴을 강타당하는 등의 사고들을 뺀다면 팔꿈치나 어깨 등 중요 부위의 큰 부상으로 인한 장기이탈이 거의 없이 꾸준히 이닝을 소화하였다. 일본 시절에도 6차례 리그 완투 1위(2000~02, 04~05, 07)를 하는 등 완투를 밥 먹듯이 했고 메이저리그에서도 상술한 그 사고가 있던 시즌을 빼면 매 시즌 31~32경기를 등판하며 로테이션을 꼬박꼬박 소화했다. 그가 미일 통산으로 소화한 3340.2이닝은 1990년대 데뷔한 일본인 투수로는 역대 최다 이닝 소화이다.[3][4]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1958 1959~1960
나이토 고조 스기우라 류타로 오타가키 요시오 하세가와 료헤이 비젠 요시오
<rowcolor=#ffffff> 1961 1962~1963 1964 1965 1966
카와무라 히데후미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아니야 소하치 오이시 야타로 아니야 소하치 소토코바 요시로 오이시 야타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1977 1978
시라이시 시즈오 소토코바 요시로 사에키 카즈시 소토코바 요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rowcolor=#ffffff> 1979 1980~1981 1982~1984 1985 1986~1989
후쿠시 아키오 이케가야 코지로 키타벳푸 마나부 오노 유타카 키타벳푸 마나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오노 유타카 나가도미 히로시 카와구치 카즈히사 키타벳푸 마나부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오노 유타카 야마우치 야스유키 오노 유타카 네이선 민치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2003~2007 2008 2009 2010~2012 2013
구로다 히로키 오타케 칸 콜비 루이스 마에다 겐타 브라이언 벌링턴
<rowcolor=#ffffff> 2014~2015 2016~2017 2018 2019~2023 2024
마에다 겐타 크리스 존슨 노무라 유스케 오세라 다이치 쿠리 아렌
<rowcolor=#ffffff> 2025
모리시타 마사토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A9C>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884 1885~1886 1887 1888 1889
샘 킴버 존 하킨스 헨리 포터 밥 카루더스 미키 휴즈
<rowcolor=#fff> 1890 1891 1892 1893 1894~1896
밥 카루더스 조지 헤밍 데이브 푸츠 에드 스테인 브릭야드 케네디
<rowcolor=#fff> 1897 1898~1900 1901~1902 1903 1904~1905
할리 페인 브릭야드 케네디 빌 도노반(야구) 헨리 슈미트 오스카 존스
<rowcolor=#fff> 1906 1907 1908 1909 1910
해리 맥인타이어 엘머 스트릭렛 냅 루커 카이저 윌헬름 냅 루커
<rowcolor=#fff> 1911 1912~1913 1914 1915 1916
사이 바거 냅 루커 에드 로일백 제프 페퍼 래리 체니
<rowcolor=#fff> 1917 1918 1919~1921 1922~1924 1925
위저 델 루브 마쿼드 레온 카도어 더치 루더 대지 밴스
<rowcolor=#fff> 1926~1928 1929~1930 1931 1932 1933
제시 페티 와티 클락 잭 퀸 웨이트 호이트 와티 클락
<rowcolor=#fff> 1934~1935 1936 1937~1938 1939 1940~1941
밴 먼고 조지 언쇼 밴 먼고 레드 에반스 위트 와이엇
<rowcolor=#fff> 1942 1943 1944 1945 1946
커트 데이비스 에드 헤드 할 그렉 커트 데이비스 할 그렉
<rowcolor=#fff> 1947 1948 1949 1950 1951
조 하튼 렉스 바니 조 하튼 돈 뉴컴 칼 어스킨
<rowcolor=#fff> 1952 1953~1955 1956~1957 1958~1961 1962
프리처 로 칼 어스킨 돈 뉴컴 돈 드라이스데일 자니 포드레스
<rowcolor=#fff> 1963 1964 1965 1966 1967
돈 드라이스데일 샌디 코팩스 돈 드라이스데일 클로드 오스틴 밥 밀러
<rowcolor=#fff> 1968 1969 1970 1971 1972~1978
클로드 오스틴 돈 드라이스데일 클로드 오스틴 빌 싱어 돈 서튼
<rowcolor=#fff> 1979~1980 1981 1982 1983~1986 1987
버트 후튼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제리 로이스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오렐 허샤이저
<rowcolor=#fff> 1988 1989 1990 1991 1992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팀 벨처 오렐 허샤이저 팀 벨처 라몬 마르티네즈
<rowcolor=#fff> 1993~1994 1995~1998 1999~2000 2001 2002
오렐 허샤이저 라몬 마르티네즈 케빈 브라운 박찬호 케빈 브라운
<rowcolor=#fff> 2003~2004 2005~2007 2008 2009 2010
노모 히데오 데릭 로우 브래드 페니 쿠로다 히로키 빈센트 파디야
<rowcolor=#fff> 2011~2018 2019 2020 2021 2022
클레이튼 커쇼 류현진 더스틴 메이 클레이튼 커쇼 워커 뷸러
<rowcolor=#fff> 2023 2024 2025
훌리오 유리아스 타일러 글래스나우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구로다 히로키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4 아테네 올림픽 로고.svg
2004 아테네 올림픽
{{{#bd5c24 동메달}}}
200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진 바키
한신 / 29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우수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드래곤즈)
구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드래곤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투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쿠도 키미야스
요미우리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니시 유키
한신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야나기 유야
주니치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아즈마 카츠키
DeNA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나리타 후미오
롯데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야마다 히사시
한큐
키다 이사무
닛폰햄
야마다 히사시
한큐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야마다 히사시
한큐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궈타이위안
세이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궈타이위안
세이부
노다 코지
오릭스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다르빗슈 유
닛폰햄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투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스다 히로시
도쿄쿄진군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사나다 쥬조
타이요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사나다 쥬조
쇼치쿠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곤도 히로시
주니치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진 바키
한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에나츠 유타카
한신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코바야시 시게루
요미우리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야마네 카즈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오노 카즈유키
주니치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쿠도 키미야스
요미우리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이가와 케이
한신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야나기 유야
주니치
아오야기 코요
한신
아즈마 카츠키
DeNA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유키 스스무
난카이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니시무라 사다아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무라 타이세이
난카이
카지모토 타카오
한큐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조 스탠카
난카이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타나카 츠토무
니시테츠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야마다 히사시
한큐
나리타 후미오
롯데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무라타 쵸지
롯데
쿠도 미키오
닛폰햄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이마이 유타로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궈타이위안
세이부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이라부 히데키
롯데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에릭 힐만
롯데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제레미 파웰
킨테츠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다르빗슈 유
닛폰햄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다르빗슈 유
닛폰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진 바키
한신 / 1.89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천웨이인
주니치 / 1.54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 ||
구로다 히로키의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보유 기록
순수 선발투수 최초 200승 (NPB/MLB)
미일 통산 두 번째 3,000이닝 투구
일본인 최다 구단 상대 승리 (40구단, NPB 11구단, MLB 29구단)[A][B]

파일:MLB 로고.svg MLB 보유 기록
일본인 최초 3년 연속 200이닝 이상 소화
일본인 최초 내셔널 리그 전구단 상대 승리
일본인 최다 MLB 구단 상대 승리 (29구단, 노모 히데오와 타이 기록)[A][B]
}}} ||
구로다 히로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cac00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15번}}}
가타세 요토시
(1988~1996)
구로다 히로키
(1997~2007, 2015~2016)
영구 결번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18번}}}
라몬 마르티네스
(2007)
구로다 히로키
(2008~2011)
맷 트레너
(2012)
{{{#ffffff [[뉴욕 양키스|뉴욕 양키스]] 등번호 18번}}}
앤드류 존스
(2011)
구로다 히로키
(2012~2014)
디디 그레고리우스
(2015~2019)
}}} ||

[1] B'z가 만든 구로다 히로키의 전용 응원가. B'z가 장르를 불문하고 한 개인을 위해 노래를 제공한 것은 최초였다.[2] 현장에 여전히 보수적인 야구관을 가진 지도자들이 있는 것은 미국이나 한국과 별다를 바 없지만, 일본 역시 트랙맨 시스템 등 현대적인 야구 설비와 데이터 야구가 도입되고 투수 역할의 분업화가 진행되면서 선발의 완투는 과거에 비해 줄어들고 있다.[3] 일본프로야구로만 한정하면 미우라 다이스케가 3276이닝으로 90년대 데뷔 투수 중 최다 이닝을 소화했지만 구로다의 미일통산 기록보다는 뒤쳐진다. 거기다가 주 1회 등판이 보편적인 일본과는 다르게 162경기를 치르는 메이저리그는 정말 빡빡하면 일주일에 두 번도 등판할 수 있는 지라..[4] 어느 정도인지 감이 안 잡힌다면 선수생활을 굉장히 오래해서 각각 50살(31년간 현역), 47살(28년간 현역)에 은퇴한 야마모토 마사쿠도 키미야스와 비교해도 야마모토가 구로다보다 고작 8이닝 더 던졌고, 쿠도와의 비교에선 오히려 구로다가 4이닝을 앞선다. 심지어 구로다는 은퇴하던 2016년에도 10승과 3점대 초반 평균자책점에 규정이닝을 넘긴 선발이었다. 덧없는 가정이지만 구로다가 1년만 더 현역으로 활동하고 은퇴했다면 야마모토 마사도 제쳤을지 모른다.[5] 파일:external/blog-imgs-78.fc2.com/4889.jpg[A] NPB는 카프 원맨팀이라 당연히 카프전 승리는 없다. MLB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상대로만 승리 투수를 기록하지 못했다.[B] 2014년 8월 28일 디트로이트전에서 승리 요건을 갖췄지만 불펜이 구로다의 승리 요건을 지워버렸다.[A] NPB는 카프 원맨팀이라 당연히 카프전 승리는 없다. MLB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상대로만 승리 투수를 기록하지 못했다.[B] 2014년 8월 28일 디트로이트전에서 승리 요건을 갖췄지만 불펜이 구로다의 승리 요건을 지워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