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22:27:28

김제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대한민국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제남(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조선 선조의 장인 | 인목왕후의 부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의민공(懿愍公)
김제남
金悌男
출생 1562년(명종 17)
사망 1613년 7월 18일
(음력 광해군 5년 6월 1일)
사사형
묘소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봉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시호 의민(懿愍)
본관 연안 김씨 (내자시윤공파-의령 종중 13세)
공언(恭彦)
부모 부친 - 김오(金祦)
모친 - 안동 권씨 권성복(權成福, 1535 ~ ?)[1]
형제자매 2남 2녀 중 차남
[ 펼치기 · 접기 ]
형 - 김효남(金孝男, 1553 ~ ?)
누나 - 김효례(金孝禮, 1556 ~ ?)
남매[2] - 이홍(李鴻)의 처
부인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광주 노씨(1557~ 1637)
자녀 3남 2녀
장남 - 김내(金琜, 1576 ~ 1613)
장녀 - 청송 심씨 심정세(沈挺世)의 처 김씨(1581 ~ 1604)
차녀 - 인목왕후
차남 - 김규(金珪, 1596 ~ 1613)
3남 - 김선(金瑄, 1599 ~ 1614)

1. 개요2. 생애3. 여담4. 가족 관계5.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인물. 김전의 증손이며 김안로의 종손(從孫)이고 세종의 4남인 임영대군의 외5대손이자 인목왕후의 아버지, 정명공주영창대군외할아버지이자 의친왕비의 11대조.

2. 생애

1562년 아버지 김오(金祦)와 어머니 안동 권씨 권상(權常)의 딸 사이의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85년 식년시 진사시에 2등 3위로 입격한 뒤# 출사하였으며 종6품 현감으로 있던 1597년 별시 문과에 병과 10위로 급제하였다.#

1602년 차녀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되어 연흥부원군이 되었으며 김제남은 문과에 정식 급제한 사람이라 충분히 정승판서로 오를 수 있었지만 사양한 듯 보인다. 1613년 이이첨 등에 의해 인목왕후 소생인 영창대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계축옥사로 사사되었다. 1616년에 인목왕후 폐모론이 일어나면서 다시 부관참시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관직이 복구되고 영의정으로 추증되어 신원복권되었다.

3. 여담

4. 가족 관계


자세히 보면 증조부와 종조부는 재상이었으며, 장남 김내는 정3품 청주목사를 지냈고[9], 둘째 사위는 조선의 국왕이었으며, 맏사위와 며느리들도 모두 조선 중후기의 당대 최고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야말로 후덜덜한 집안. 하지만 앞서 서술했다시피 계축옥사에 휘말려 가족들이 거의 멸문에 가깝게 몰살당했다가, 후손들 중 몇몇이 살아남으면서 간신히 가문의 대를 이어나갔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5. 대중매체


[1] 권상(權常)의 장녀이며 임영대군의 외고손녀. #[2] 누나인지 여동생인지 생년이 적혀있지 않아 알 수 없다. #[3] 일설에 따르면 광해군의 견제로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 아들 영창대군까지 잃은 인목왕후가 자신의 친정에게 다시는 왕실과 혼인하지 말라고 일러두었다고 한다.[4] 그래도 의친왕비는 남편의 혼외자들을 친자식처럼 사랑하고 아꼈다고 한다. 의친왕의 자녀들도 의친왕비를 친어머니처럼 따랐다고.[5] 세종정의공주 → 안여달 → 안씨 →송씨 → 김안도[6] 용재총화의 저자.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의 11대조[7] 모친인 권성복의 계모.[8] 문곡 김수항의 아버지이며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증조 할아버지이다. 또한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6대조[9] 하지만 김제남의 장남 김내와 성균관 진사였던 차남과 삼남은 모두 계축옥사에 휘말려 일찍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