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04:50:14

여산 송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여산 송씨 종문.svg礪山 宋氏
여산 송씨
}}}
관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비조 송자영(宋自英)
시조 송유익(宋惟翊)
중시조 송송례(宋松禮)
집성촌 부산광역시 사상구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안성시·이천시·포천군·화성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화천군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당진시·부여군·천안시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부안군·익산시·임실군·장수군·전주시·정읍시
전라남도 강진군·고흥군·보성군·신안군·영암군·완도군·화순군
경상북도 상주시·의성군·칠곡군
경상남도 함양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제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이천군
황해도 연백군·재령군·황주군
평안남도 성천군·용강군
평안북도 박천군·위원군·자성군·정주군·철산군
함경남도 정평군·풍산군
인구 298,231명(2015년)

1. 개요2. 송씨(宋氏)의 역사3. 여산 송씨의 역사4. 계파(系派)5. 집성촌
5.1. 강원·경기5.2. 충청5.3. 전라5.4. 경상5.5. 제주5.6. 북한
6. 항렬표
6.1. 원윤공파, 소윤공파6.2. 밀직공파6.3. 지신공파6.4. 정가공파
7.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7.1. 역사 인물7.2. 인명
8.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씨 집단. 시조는 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여산군(礪山君)의 직위에 봉해진 송유익(宋惟翊)이다.

2. 송씨(宋氏)의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성씨)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여산 송씨의 역사

송씨(宋氏)의 도시조(都始祖)는 당(唐)나라에서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이며, 그의 7세손인 송순공(宋舜恭)의 후손 자영(自英)이 세 아들을 두었는데, 맏아들 유익(惟翊)을 시조로 하는 여산송씨(礪山宋氏)와 둘째아들 천익(天翊)의 후손에서 은진군(恩津君) 대원(大原)을 시조로 하는 은진송씨(恩津宋氏)가 있고, 세째 문익(文翊)을 시조로 하는 서산송씨(瑞山宋氏)가 있다.

그외 진천(鎭川), 신평(新平), 야성(冶城), 등 10여 본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모두 여산,은진,진천송씨(鎭川 宋氏)에서 분파(分派)되었다고 한다. 역사상 송씨(宋氏)는 많은 현신(顯臣)과 석학(碩學)을 배출하였다.

그러므로 현존(現存)하는 모든 송씨(宋氏)는 도시조(都始祖)인 송주은(宋柱殷)의 후손임이 분명하며, 오늘날에 와서도 송씨(宋氏)끼리는 이본(異本)이라도 통혼(通婚)을 하지 않는 것이 관습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산 송씨는 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여산군(礪山君)[1]에 봉해진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고 있다. 여산(礪山)은 전라북도 익산군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여량(礪良)과 낭산(朗山) 두 현(縣)의 합명인데, 여량현(礪良縣)은 본래 백제의 지량초현(只良肖縣)을 신라 경덕왕이 여량으로 고쳤다. 낭산현(朗山縣)은 본래 백제의 알지산현(閼地山縣)인데 경덕왕이 야산(野山)으로 고치고 고려 때 낭산으로 하였다. 1401년(정종 3) 두 현을 합하여 여산현(礪山縣)으로 칭하고 세종 때 군으로 승격, 1699년(숙종 25) 부(府)가 되었다가 1895년 다시 여산군이 되고, 1913년 익산군에 병합되어 그 일부지역이 여산면으로 남아 있다.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 그의 선조는 슬하에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인 송유익(宋惟翊)은 여산 송씨(礪山宋氏)의 시조가 되었고 둘째 송천익(宋天翊)은 은진 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막내 송문익(宋文翊)은 서산 송씨(瑞山宋氏)의 시조가 되어 연원(淵源)을 이룬 것으로 전해진다.

여산 송씨는 시조의 아들 송숙문(宋淑文)이 고려 원종(元宗)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했고 증손 송송례(宋松禮)는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원나라 도원수 홀돈(忽敦), 부원수 홍다구와 함께 충렬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상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졌다. 그의 손자 대에 와서 개성원윤을 지낸 송운을 파조(派租)로 하는 원윤공파(元尹公派) 밀직부사를 지낸 송방영(宋邦英)을 파조로 하는 밀직공파(密直公派), 소윤을 지낸 송원미(宋元美)를 파조로 하는 소윤공파(少尹公派) 지신사를 지낸 송인(宋璘)을 파조로 하는 지신공파(知申公派) 정가공을 지낸 송서(宋瑞)를 파조로 하는 정가공파(正嘉公派) 등 크게 다섯 파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개성원윤(開城元尹) 송운의 6세손 송간(宋侃)이 세종단종 대에 걸쳐 형조 참판(刑曹 參判)을 지냈고 왕명으로 호남을 순무(巡撫)하고 돌아와 계유정난으로 단종이 영월로 쫓겨났다는 소식을 듣고 낙향하여 고향인 여산에서 은거 하였다. 단종이 시해되자 산속으로 들어가 애곡하여 복상한 충신인 팔절(八節)로 일컬어졌으며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과 운곡서원(雲谷書院) 숙모전(肅慕殿) 세충사(世忠사) 등에 제향되었다.

그의 6세손 송건(宋建)은 현령 송하형의 아들인데 임진왜란 때 조방장(助防將) 양사준(梁士俊)의 선봉으로 나가 공을 세우고 성주 판관(星州判官)이 되었다.

밀직부사(密直副使) 송방영(宋邦英)의 차남 대광첨의(大匡僉議) 송표(宋標)는 아들로 송유경(宋有敬)과 송유신(宋有信)을 두었는데, 장남 송유경(宋有敬)은 조선 개국 공신으로 태조로 부터 유충(有忠)이라는 사명과 함께 청원군(淸原君)에 훈봉되어 청주 송씨의 시조가 되었다. 송유충(宋有忠)의 아들 송훤(宋暄)은 서원군(西原君)에 습봉되었으며 청백편(淸白篇)에 책록되었다. 송훤(宋暄)의 아들 송승은(宋承殷)은 단종때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역임했으며, 계유정난때 남하하여 김해에서 은거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김해에 정착하여 대를 이었다. 송유충의 8세손 송빈(宋賓)은 임진왜란때 조선 최초의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며 그 공이 인정되어 통정대부 공조참의(通政大夫 工曹參議)로 증직 되었으며, 그 후에 다시 가선대부 이조참판(嘉善大夫 吏曹參判)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同知義禁府事 五衛都總府 副總管)으로 추증되었다. 송빈의 아들 송정백(宋廷伯)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곽재우 휘하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했으며 영남 일대의 전투에서 여러 공적을 세운다. 송빈의 아우 송관(宋寬), 송우(宋宇), 송주(宋宙) 또한 임진왜란 때 진주성, 창녕성에서 분전하다 순절하는등 충절(忠節)의 가문을 이루었다.

도첨의 좌찬성(都僉議左贊成) 송원미(宋元美)의 현손으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을 역임한 송극창(宋克昌)의 아들 송천희(宋千喜)는 성종 때 형조 참판(刑曹參判)과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경상도 관찰사로 나가 함양(咸陽)에서 기강을 세웠으며 뒤에 이조 판서에 이르렀다.

군수(郡守) 송연손(宋演孫)은 지신사 송인의 6세손인데 연산군 때 알성(謁聖) 급제한 그의 아들 송세림(送世林)은 중종 때 능성 현령(綾城縣令)으로 재직중 이도쇄신(吏道刷新)과 지방행정의 개혁을 상소하여 이를 시행케 했으며, 문장과 그림·글씨에 모두 뛰어났고 어면순(禦眠楯)을 저술하여 문명을 떨쳤다.

그의 아우 송세형도 학행이 뛰어나서 유명세를 펼쳤고 명종(明宗)이 즉위하자 위사삼등공신(衛社三等功臣)으로 대사헌(大司憲)과 호조판서(戶曹判書)를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송세형의 손자 송여종(宋汝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낙안 군수(樂安郡守) 신호(申浩)의 휘하에서 활약하다 이순신을 따라 종군하여 휘하 군관으로 크게 활약했는데 한산도 싸움에서 무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경상좌도 수군우후(慶尙左道水軍虞侯)를 지냈다.

지신사(知申事) 송인(宋璘)의 6세손 송현수(宋玹壽)는 지중추부사 송복원의 아들이다, 딸이 단종비(端宗妃: 정순왕후)로 책봉되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올라 여량군(礪良君)에 봉해졌으며 세조(世祖)가 왕위에 오르자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가 되었다.

한편 공민왕 때 우정승(右政承)으로 여량부원군에 봉해진 송서(宋瑞)의 7세손 송질은 도정 공손의 아들이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워 정국삼등공신(靖國三等功臣)으로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졌고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크게 명성을 떨쳤다. 특히 눈썹이 길고 코가 높은데 얼굴 모양이 찡그리는 듯하여 왕으로부터 오해를 곧잘 받았다고 한다.

송질의 손자 송인(宋寅)은 중종의 딸 정순옹주(貞順翁主)와 혼인하여 여성위(礪城慰)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에 봉해졌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 당대의 석학 이황, 이민구, 정염, 이이, 성혼 등과 더불어 교유하며 문명을 떨쳤고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 역할을 했다. 특히 그는 호필(湖筆)의 산지(産地)인 중국 오흥(吳興)의 필법을 본받아 특출한 서법으로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산릉(山陵)의 지(誌)와 궁전의 현판으로부터 사대부의 비갈에 이르기까지 많은 글을 짓고 썼다. 송익필은 이이 성혼 등과 교유하며 성리학과 예학에 밝았으며 팔문장가(八文章家)로 꼽혔다. 형제 송부필 송한필도 모두 문장에 능했으며 율곡은 성리학을 함께 논할 만한 사람은 익필과 한필 형제뿐이다 라고 평했다. 만년에 구봉산(龜峰山)에 은거한 송익필은 후진양성에 진력하여 문하에서 김장생(金長生), 정엽(鄭曄), 서성, 정홍명(鄭弘溟), 김반 등을 배출했고 그의 학통은 이율곡과 더불어 조선 예학의 종주를 이룬다.

선조 때 무과 급제하고 비장군(飛將軍)으로 불리웠던 송순례(宋純禮)는 현감 송옥손(宋玉孫)의 아들로 외적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워 선조로부터 악비(岳飛)의 정충록(精忠錄)을 하사받고 제주 목사와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를 역임했으며 그의 손자 송홍연(宋弘淵)은 임진왜란에 공을 세워 무명(武名)을 떨쳤다.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한 송상현은 감사를 지낸 송익손의 현손이자 현감 송복흥(宋復興)의 아들인데 선조때 문과급제해서 호조 예조 공조 정랑을 거쳐 사재감(司宰監)과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내고 동래부사(東萊府使)로 부임하였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래성을 지키다 전사하였다. 이조판서로 추증되고 동래 안락서원(安樂書院)과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다. 송상현의 아우 송상인(宋象仁)은 직강(直講)과 지평(持平)을 지냈으며 현감 송관(宋寬)의 아들 송대립(宋大立)은 정유재란 때 창의별장(倡義別將)으로 권율의 휘하에서 전공을 세웠으며 그의 아우 송희립(宋希立)은 충무공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하여 수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다대포 첨절제사(多大浦 僉節制使)와 전라좌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송대립 송희립 송정립 삼형제는 모두 임란때 공을 세운 임란공신이다.

원주 목사 송시철(宋時喆)의 손자로 숙종 때 등과하여 삼사(三司)의 관직을 거쳐 대사성과 호조참판을 역임한 송징은(宋徵慇)은 박학하고 문장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약헌집(約軒集)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남겼고 그의 아들 삼형제가 모두 뛰어났다.

숙종 때 송수찬(宋修撰)은 이조좌랑(吏曹佐郞)을 거쳐 승지가 되어 정치의 득실을 상소했던 송성명(宋成明)은 영조 대에 실록청 당상(實錄廳堂上)으로 숙종실록(肅宗實錄)에 참여하고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과 공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이 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저서로 송석헌집을 남겼다.

그의 아우 송진명(宋眞明)도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3도의 관찰사와 이조판서 예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올랐으며, 학행과 청렴으로 명망이 높았다.
이조참판 송징오(宋徵五)의 아들 송인명(宋寅明)은 숙종 45년 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을 거쳐 설서(設書)로 있으면서 영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충청도 관찰사를 거쳐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어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적극 추진했다. 이조판서에 지내면서 영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러 탕평책에 힘써 국가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특히 왕명으로 감란록(勘亂錄)을 편찬하였다.

대사헌 송성명(宋成明)의 아들 송익보(宋翼輔)는 영조 때 서로방략(西路方略)과 군민(軍民)에 관한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명성을 떨쳤고 송문재(宋文載)가 영조 때 대사간과 대사헌을 거쳐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를 지냈으며 판중추부사 송창명(宋昌明)의 손자 송면재(宋冕載)는 순조 때 정조부사(正朝副使) 한성부판윤과 대사헌을 거쳐 예조와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헌종 때 기로소(耆老所)에 추증되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와 예조참의를 역임한 송영대(宋榮大)와 판관 송영윤(宋榮潤)이 있으며 여산송씨의 5파 중에서 원윤공파는 전남 고흥(高興), 밀직공파는 경북 영덕(盈德), 소윤공파는 전북 부안(扶安) · 익산(益山), 지신공파는 전북 부안, 정가공파는 경기에 밀집해 있다.

이후 송송례의 아들인 송염(宋琰)과 송분(宋玢) 형제를 시작으로 원윤공파(元尹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소윤공파(少尹公派), 지신공파(知申公派), 정가공파(正嘉公派) 등으로 파가 갈라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윤공파, 밀직공파, 소윤공파는 송염의 아들들이 이어받은 파고, 지신공파, 정가공파는 송분의 아들들이 이어받은 파이다.

4. 계파(系派)

도시조 송주은(宋柱殷)

시조 송유익(宋惟翊)
송유익을 시조로 하여 4세 송례의 두 아들 '염(낭산부원군)' 과 '분(낙랑공)'의 아들들에서 5개파로 나뉘어 이어져온다.

5세 염(낭산부원군)의 큰아들 운(개성원군)이 원윤공파, 둘째아들 방영(밀직부사)은 밀직공파, 셋째아들 원미(소윤)는 소윤공파

5세 분(낙랑공)의 둘째아들 린(지신사)은 지신공파, 네째아들 서(정가공)는 정가공파 그 외 계파는 모두 위의 5개파 후손들에서 다시 만들어진 계파이다.

따라서 여산송씨는 크게 원윤공파, 밀직공파, 소윤공파, 지신공파, 정가공파 5개파로 나뉜다.

원윤공파(元尹公派) 송운

밀직공파(密直公派) 송방영

소윤공파(少尹公派) 송원미

지신공파(知申公派) 송린

정가공파(正嘉公派) 송서

수사공손(水使公孫) 송희립

충강공파(忠剛公派) 송간

5. 집성촌

여산 송씨 집성촌은 전국에 퍼져있지만 주로 본관이 있는 전라북도를 포함한 전라남도, 제주도, 충청남도 등 서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5.1. 강원·경기

5.2. 충청

5.3. 전라

5.4. 경상

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4786

5.5. 제주

5.6. 북한

6. 항렬표

6.1. 원윤공파, 소윤공파

6.2. 밀직공파

6.3. 지신공파

6.4. 정가공파

7.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7.1. 역사 인물

7.2. 인명

8. 참고 문헌


[1] 현재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이다.[2] 300여 년간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내촌리에서 세거하다가 신 안동 김씨 세력에 의해 우곡리로 쫓겨났다. #[3] 독립유공자 송성호송종혁이 이 마을 출신이다.[4] 송강의 아버지가 이 마을 출신이다.[5] 임진왜란 때 동래도호부사를 지낸 송상현의 묘소와 사당인 충렬사가 이 곳에 있다.[6] 임진왜란 때 동래도호부사를 지낸 송상현과 독립유공자 송기룡이 이 마을 출신이다.[7] 독립유공자 송기휴, 정치인 송영길, 전 야구선수 송유석이 이 마을 출신이다.[8] 독립유공자 송계명이 이 마을 출신이다.[9] 송언종 전 체신부 장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10] 독립유공자 송주면이 이 마을 출신이다.[11] 송민헌 대구지방경찰청장의 선산이 이 곳에 있다.#[12] 송재호 제21대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3] 독립유공자 송경백이 이 마을 출신이다.[14] 독립유공자 송지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