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2:22:46

남쪽삼각형자리

[[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남쪽삼각형자리
Triangulum Australe / TrA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tra.gif
학명 Triangulum Australe
약자 TrA
주요 별 수 3
가장 밝은 별 Atria(α TrA, 1.91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ζ TrA(39.5 광년)[1]
인접 별자리 직각자자리, 컴퍼스자리, 극락조자리, 제단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심원천체

[clearfix]

1. 개요

Triangulum Australe, TrA

남쪽 하늘의 별자리. 1603년 요한 바이어가 도입한 별자리이다. Triangulum Australe는 라틴어로 남쪽의 삼각형이라는 뜻이다.

2. 상세

1589년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라는 플랑드르의 천문학자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으며,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다른 11개 별자리와 수록되었다. 이후 1930년 공식적인 별자리로 지정되었다.

삼각형자리에 비해 모양이 훨씬 더 뚜렷하다. 2~3등성의 별들이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위도가 너무 낮아 국내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별자리의 넓이는 약 110평방도로 83번째로 커서 작은 편이며, 거대 인력체가 이 별자리와 인접 별자리인 직각자자리 사이에 있다.

3. 발견된 천체

파일:Triangulum Australe Outline.png
[[남쪽삼각형자리#구성원|남쪽삼각형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아트리아
Atria
베타성
남쪽삼각형자리 베타
β TrA
감마성
남쪽삼각형자리 감마
γ TrA
델타성
남쪽삼각형자리 델타
δ TrA
엡실론성
남쪽삼각형자리 엡실론
ε TrA
제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제타
ζ TrA
에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에타
η TrA
세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세타
θ TrA
이오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이오타
ι TrA
카파성
남쪽삼각형자리 카파
κ TrA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남쪽삼각형자리 1
남쪽삼각형자리 2
남쪽삼각형자리 3
남쪽삼각형자리 4
남쪽삼각형자리 5
남쪽삼각형자리 7
남쪽삼각형자리 8
남쪽삼각형자리 61
그 외 남쪽삼각형자리에 속한 항성
남쪽삼각형자리 X 남쪽삼각형자리 R 남쪽삼각형자리 S 남쪽삼각형자리 RT
남쪽삼각형자리 EK WISE 1639−6847 - -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025S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5979N ||<bgcolor=white,#1c1d1f><width=25%> ESO 69-6G ||<bgcolor=white,#1c1d1f><width=25%> -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남쪽삼각형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3.1. 항성

총 12개의 별에 그리스 문자가 붙여졌으나, 그중 2개의 별[2]이 제외되어 현재는 α(알파)~κ(카파)의 10개의 별만이 그리스 문자가 붙어 있다. 별들 중 α, β, γ 별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3.2. 심원천체

남쪽삼각형자리는 은하수 근처에 존재하지만 은하수 내 천체들 중 밝은 천체는 매우 적다. 그렇지만 별자리 자체가 작아서 관측이 가능한 멀리 있는 은하들도 거의 없다.

[1] 갈색왜성까지 포함하면 WISE 1639-6847 (16 광년)이 더 가깝다.[2] η2별과 λ별[3] ~G5[4] ~G2[5] ~G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