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8 00:23:34

테이블산자리

별자리
Constellation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1px"
※ 비공인 별자리는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름
}}}}}}}}}}}}
Z: 황도 12궁 (모두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들어감)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테이블산자리
Mensa / Men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men.gif
학명 Mensa
약자 Men
주요 별 수 4
가장 밝은 별 α Men (5.09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α Men (33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뱀자리, 팔분의자리, 카멜레온자리, 날치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딥 스카이 천체3.3. 외계 행성계 및 외계 행성

[clearfix]

1. 개요

Mensa[1], Men

하늘의 남극 부근에 있는 별자리. 위치상으로는 팔분의자리와 거의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그물자리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바로 맞은편의 팔분의자리를 제외하면 하늘의 남극에 가장 근접해 있는 만큼 대한민국을 비롯한 거의 모든 북반구 지역에서는 '전혀' 관측할 수 없다. 단, 북위 4도 이남 한정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계절로는 겨울철 별자리로 분류된다.

존재감이 매우 적어서 천문학 서적을 즐겨보는 사람들조차 모르는 경우가 상당하다. 일반인은 말할 것도 없다.

2. 상세

성도 상의 그림으로는 정상이 편평한 산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정작 실제 별자리의 형태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모두 5등성 이하의 어두운 별로 이루어져 있어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가장 밝은 알파성이 5등성으로, 이는 모든 별자리 가운데 가장 낮은 밝기이다. 참고로 가장 밝은 별조차 5등급보다 어두운 별자리는 이 별자리가 유일하다.[2]

특징적인 천체로 테이블산자리 파이와 퀘이사인 PKS 0637-752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발견된 천체 문단 참조.
파일:external/images.theage.com.au/Cape-Town-Table-Mountain-420x0.jpg
케이프타운테이블 마운틴. 정면에 보이는 경기장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경기장으로 쓰인 케이프타운 스타디움(구 그린포인트).

이 별자리의 특이점은 '실존하는 지명을 별자리 이름으로 사용한' 둘뿐인 사례라는 점인데[3], 실제 테이블산은 아프리카 케이프타운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별자리가 이런 이름을 갖게 된 데는 라카유[4]가 테이블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테이블산 정상 부근에는 기후에 따라 구름이 끼는 때가 있는데, 마침 테이블산자리 바로 옆에도 그 유명한 마젤란 성운이 위치해 있다. 이런 점을 테이블산의 특성에 빗대어 명명한 듯. 또한 성도상의 그림 속에서 산 정상이 편평한 이유도 실제 테이블산 정상이 칼로 잘라낸 듯 편평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젤란은하의 남쪽 일부가 속한 별자리로도 유명(?)하다. 북쪽 일부는 황새치자리가 차지하고 있다.

3. 발견된 천체

3.1. 항성

3.2. 딥 스카이 천체

3.3. 외계 행성계 및 외계 행성

이 별자리에서 확인된 외계 행성계는 단 3개뿐이다.


[1] 라틴어로 '테이블'이라는 뜻이다. 멘사의 어원이기도 하다.[2] 3등급보다 밝은 별이 없는 별자리는 39개나 되지만, 5등급 이내의 별이 1개 이하인 별자리는 이 별자리(아예 없음)와 육분의자리 둘뿐이다.[3] 다른 하나는 에리다누스자리이다.[4] 18세기 중엽의 프랑스 천문학자. 그 당시 직접 남반구까지 찾아가 천체를 관측했던 몇 안 되는 천문학자 중 한 명이다.[5] 태양(G2V)과 비슷한 성질을 가졌으며, 태양보다 질량, 반지름, 광도가 약간씩 더 큰 항성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