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5 19:48:20

두루미자리

별자리
Constellation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1px"
※ 비공인 별자리는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름
}}}}}}}}}}}}
Z: 황도 12궁 (모두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들어감)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두루미자리
Grus / Gru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gru.gif
학명 Grus
약자 Gru
주요 별 수 8
가장 밝은 별 Alnair (α Gru, 1.73 등급)
가장 가까운 별 글리제 832 (16.1 광년)
인접 별자리 남쪽물고기자리, 현미경자리, 인디언자리, 큰부리새자리, 불사조자리, 조각가자리
관측 가능 여부 △(대부분 지역) / O(제주도)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심원천체

[clearfix]

1. 개요

Grus, Gru

남쪽 지평선에 거의 수평으로 나란히 서 있는 별자리이다. 대한민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일부분만 관측 가능하지만, 제주도에 가면 지평선 가까이 전체를 볼 수도 있다.

2. 상세

원래는 남쪽물고기자리의 일부였으나, 17세기에 이르러 독립된 별자리로 분류되었다.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에 아라비아식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만들어진 시기가 시기인데다 남쪽물고기자리에서 분리된 만큼 전해지는 신화나 전설은 따로 없다.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 중에서도 이름과 형태가 그럴듯하게 들어맞는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 별이 연결된 형태를 잘 보면 작은 삼각형의 몸체에 긴 목과 다리가 붙은 모습이어서 언뜻 보면 두루미가 날개를 펴고 서 있는 모습처럼 보인다. 이 형태 때문인지 15세기 스페인 항해사들 사이에서는 플라밍고, 즉 홍학이라고 여겨지기도 했다. 형태를 보면 이쪽도 꽤 그럴듯한 해석. 때문에 과거에는 두루미자리 대신 홍학자리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1922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결국 두루미자리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확정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주변에 별이 그다지 많지 않은데다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도 후대의 별자리 치고는 밝은 별들이 제법 분포해 있어서[1] 찾기는 어렵지 않지만, 위치가 위치인데다 다리가 거의 큰부리새자리 근처까지 뻗어 있어 아쉽게도 대한민국에서는 전체를 볼 수 없다.

3. 발견된 천체

은하수와 비교적 떨어져 있는 편이라 주로 은하나 행성상성운 등을 볼 수 있다.

3.1. 항성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답지 않게 무려 27개의 별이 바이어 지정되어 그리스 문자가 붙었다. 이 중 맨 마지막 3개인 χ(카이), ψ(프사이), ω(오메가) 별은 없으며, δ(델타), μ(뮤), π(파이), σ(시그마)는 첨자가 붙어 1번과 2번으로 나누어졌고, τ(타우) 별은 3개로 나누어졌다. 이들 중에는 6~7(!)등급의 별들도 존재해서 육안으로 모두 보기는 어렵다.[2]

3.2. 심원천체

두루미자리에는 한 개의 행성상성운과 여러 은하들이 분포한다.



[1] 알파성(알나이르)이 1.73등성, 베타성과 감마성이 각각 2.07등성과 3등성이다.[2] 예를 들어 τ2 별을 이루는 두 별은 밝기가 각각 6.67등급과 7.04등급으로 매우 어둡다.[3] 그래서 준규칙변광성이라는 분류에 속한다.[4] 두 별 사이 거리는 약 6초이다.[5] 독립된 은하군이라는 자료도 있다.[6] 은하 분류상으로는 (R')SB(s)ab형이다.[7] 이와 같은 스타버스트(Starburst)가 일어나는 은하들은 대부분 적외선 영역에서 밝다.[8] 은하 분류상으로는 SB(s)ab형이다.[9] 출처[10] 눈으로 가장 잘 보이는 551nm파장 기준 13.76등급이고 445nm파장 기준으로는 12.12등급이다. 파장이 더 긴 빛에서는 더 밝게 보인다.[11] 11.85등급이라는 자료도 있다.[12] 오차범위가± 2700만 광년으로 매우 크다.[13] SAB(rs)cd형[14] SAB(rs)cd형[15] 2001ig라는 이름의 초신성이다.[16] 10.97등급이라는 자료도 있다.[17] SA(s)0^0형[18] SB(s)a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