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NXC 산하 게임 제작/유통 계열사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 | | | |
넥슨 (구 넥슨 재팬) 2002 | 넥슨코리아 (실질적 본사) 1994 | 넥슨게임즈 2022 | ||
| | | ||
니트로 스튜디오 2020 | 데브캣 2020 | 네오플 2001 | ||
| | | ||
엠바크 스튜디오 2018 | 세기천성 2004 | 렉시안 소프트웨어 2004 | ||
| | | ||
엔진스튜디오 2011 | 엔미디어플랫폼 2005 | 불리언게임즈 2012 | ||
| | | ||
TDF 2019 | 민트로켓 2022 | 버튼스 2024 | ||
| ||||
넥슨네트웍스 1995 | ||||
과거 계열사 [A] : 넥슨에 인수된 이후 개칭된 회사 | ||||
| | | ||
넷게임즈 2013 | 넥슨GT[A] 1993 | 넥슨레드[A] 2014 | ||
| | | ||
로두마니 스튜디오 2003 | 위젯 2001 | 띵소프트 2005 | ||
| | | ||
엔도어즈 1999 | 글룹스 2005 | 넥슨모바일[A] 2003 | ||
| | | ||
넥스토릭 2009 | 엔클립스 2006 | 궁 엔터테인먼트 1994 | ||
| | | ||
시메트릭스페이스 2006 | 리본게임즈 2010 | 빅휴즈게임즈 2000 | ||
| ||||
픽셀베리 스튜디오 2012 |
니트로 스튜디오 NITRO STUDIO | |
| |
<colbgcolor=#ED7210><colcolor=#fff> 법인명 | 정식: 주식회사 니트로스튜디오[1] 영문: Nitro Studio Inc. |
국가 |
|
설립 | 2020년 8월 26일 |
해체 | 미정 |
업종 | 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모기업 | 넥슨코리아 |
대표 | 문새벽[2] |
기업 규모 | 대기업 |
전신 | 로두마니 스튜디오(사실상)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직원 수 | 51명(2025년 8월) |
자본금 | 1억원(2024년) |
매출액 | 47억 8164만 원(2024년) |
영업이익 | -182억 5343만 원(2024년) |
당기순이익 | -214억 3388만 원(2024년) |
자산총액 | 178억 1222만 원(2024년)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12 (대치동, T412) 6, 7, 8층 니트로스튜디오 |
링크 | |
1. 개요
넥슨코리아의 개발법인.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중국 서버 및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개발사로 유명하다.2. 역사
본래는 넥슨과 원더홀딩스의 각각 절반 지분으로 투자를 받아 설립한 신규 개발법인으로[3], 카트라이더 IP를 활용한 게임을 개발한다. 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는 니트로스튜디오가 아닌 넥슨코리아와 텐센트가 제작하고 있다.2024년 2월 28일, 원더홀딩스가 모든 지분을 넥슨에 매각하여 넥슨의 100% 자회사가 되었다. #
2024년 10월 24일, 넥슨코리아는 니트로스튜디오를 흡수합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개발팀은 최원준 넥슨코리아 라이브본부장 산하의 넥슨코리아 라이브본부로 배속될 것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왔다. #
2025년 6월 16일,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서비스 종료가 발표되었다. 그리고 카트라이더 IP를 계승하는 신작 카트라이더 클래식의 개발을 니트로스튜디오가 아닌 넥슨코리아 라이브본부에서 담당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결국 2025년 8월 초, 전 직원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구성원 전체의 고용승계를 하기로 결정하면서, 모기업 넥슨코리아와 흡수합병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카트라이더 클래식뿐만 아니라 중국 카트라이더 또한 넥슨코리아 본부에서 개발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3. 개발 게임
3.1. 서비스 중인 게임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중국 서버[4](2020~ )
3.2. 서비스 종료한 게임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5](한국, 대만, 홍콩 서버: 2020~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2023~2025)[6]
4. 대표
본래는 박훈 전 넥슨 선임 디렉터와 류제일 전 원더홀딩스 CFO(최고재무책임자)를 공동 대표이사로 선임했었다. 그러나 박훈 전 대표는 2022년 HYBE의 위버스컴퍼니로 이적했으며, 류제일 전 대표는 2023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부진과 적자를 책임지고 물러났다. # 넥슨이 니트로스튜디오의 지분 100%를 가져가면서 정길수와의 공동대표 체제에서 1인대표 체제로 변경하면서 전 디렉터 서재우가 단독으로 대표가 되었다. # 서재우가 CJ ENM의 엠넷플러스로 이적하면서 버블파이터의 디렉터와 넥슨네트웍스의 대표직을 역임한 것으로 잘 알려진 문새벽이 대표로 취임했다.5. 여담
- 회사 자체가 카트라이더 시리즈 개발을 위해 설립된 회사이고 이름부터 니트로이다보니 회사 로고부터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니트로 아이템인 부스터 아이콘 문양이다.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월드 강남 스트리트 트랙에는 니트로스튜디오 본사로 보이는 건물이 있다. 트랙이 강남의 테헤란로 주변을 모티브로 하였기 때문에 같은 테헤란로에 위치한 자사의 본사를 게임 속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트랙에서의 위치는 테헤란로보단 영동대로에 있는 것에 가깝다.
[1] 오늘날 등기명에 띄어쓰기가 불가능해 '주식회사 니트로스튜디오'로 등록한 것일 뿐 대외 명칭은 '니트로 스튜디오'와 '니트로스튜디오'를 모두 사용하며, 역대 NXC 자회사 중 사명에 '스튜디오'가 붙는 기업의 경우 글자가 3글자 이상이면 모두 기본적으로는 띄어서 표기하였다. (EX. 로두마니 스튜디오, 데브캣 스튜디오(현 데브캣), 엠바크 스튜디오 등.) 이름이 2글자인 엔진스튜디오만이 띄어쓰기 없는 '엔진스튜디오' 표기만을 유지하고 있다.[2] 넥슨코리아의 COO 및 민트로켓의 사내이사직 겸직.[3] 넥슨과 원더홀딩스가 서로 지분의 50%를 나눠 갖고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데브캣 스튜디오도 독립 스튜디오 형태의 신규 개발법인으로 개편되었다.[4]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내외적으로 니트로스튜디오에 관한 언급이 아주 적어 원작 카트라이더를 개발 중이라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 유저들도 존재했는데, 그도 그럴 것이 니트로스튜디오 홈페이지에 직접 들어가도 설명란에선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만 언급을 했기 때문. 하지만 한국과 대만 서버의 문만 닫았고 조재윤을 포함한 여러 제작진들이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부서로 옮겼을 뿐, 니트로스튜디오의 원작 카트라이더 부서에서 개발을 진행했다. 그 증거로 12세대 엔진 소개 동영상(중국어)에서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개발팀을 방문했다'고 언급하며 자료화면으로 니트로스튜디오 사옥의 로고가 사용되었다.[5] 2004년부터 2011년까지는 로두마니 스튜디오, 2011년부터 2020년까지는 넥슨코리아 라이브본부에서 개발.[6] 10월 16일에 서비스 종료될 예정이다. 후속작 카트라이더 클래식은 넥슨 코리아 라이브본부에서 개발한다.